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Space and Environment

A Study on the Institutional Measures for Promoting the Long-term Lease of Public Land in Jeju

Space and Environment / Space and Environment, (P)1225-6706; (E)2733-4295
2016, v.26 no.2, pp.235-263
https://doi.org/10.19097/kaser.2016.26.2.235


Abstract

본 연구는 제주도의 공공토지 활용 실태를 분석해 공공토지 장기임대 활성화를위한 제도개선방안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제주도의 공유재산 임대활용 실태, 비축토지 이용실태, 외국인 토지보유 실태 등을 분석해, 제주도의 공공토지 활용의 한계와 문제점을 도출했다. 본 연구에서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공공이 토지를 소유하면서 개인에게 사용권을 주는 방안, 즉 공공이 임차인을 선정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지고,공공계획과 일치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는 개발사업을 배제할 수 있는 공공토지 장기임대방식 도입과 장기임대 활성화를 위한 제도개선 방안을 제안했다. 공공토지 장기임대를 활성화하기 위한 제도개선방안으로 장기임대 수의계약 허용, 임대기간 장기화, 임대료 산정방식 개선, 임대료 감면, 영구시설물 축조 및 처분 허용, 사권설정 강화, 제3자 재매각 방지, 제3자 전대 허용, 민간개발방식 다양화 등을 제시했다. 또한 공공토지 장기임대를 제도적으로 정착시키기 위한 정책제언으로 공공토지 임대를 위한 관리규정(업무지침) 제정, 관리운영 조직체계개선, 토지비축제도 개선, 특별법 제정 등을 제시했다.

keywords
공공토지, 공유재산, 공공토지 임대제도, 제주투자진흥지구, 토지비축제도, public land, public assets, public land leasehold systems, investment promotion zone, land banking system, Jeju

Reference

1.

강성일. 2014. 「복합리조트, 제주경제 발전을 위한 썩은 동아줄은 아닌가?」. ≪여럿이함께 숲이 되자≫ 통권 제53호, 14~21쪽.

2.

경기도의회. 2013. 『경기도 국공유지 현황분석 및 활용방안』. 경기개발연구원.

3.

기획재정부. 2009. 『국유재산관리체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법제연구원.

4.

김범수‧권대중. 2013. 「국·공유지 보존·관리·처분의 합리화 방안」. ≪대한부동산학회지≫, 제31권 제1호, 5~25쪽.

5.

김태일. 2014. 「제주의 개발, 이대로 좋은가-환경, 경관, 공동체의 상실」. 『지속가능한 제주사회를 위한 공유재산 관리체계 구축방안 정책토론회 자료집』. 제주특별자치도 행정자치위원회.

6.

김행종. 2013. 「국유지의 운용실태 분석과 이용개선에 관한 연구」. ≪한국지적학회지≫, 제29권 제1호, 13~31쪽.

7.

김현국. 2013. 「중국 자본투자 및 관광 문제점과 개선방안」. ≪여럿이 함께 숲이 되자≫, 통권 제52호, 8~40쪽.

8.

남창우. 2001. 「외국의 국공유재산 실태와 관리제도: 국공유지 중심으로」. ≪지방재정≫, 제108호, 94~108쪽.

9.

남창우. 2010. 「국유재산의 관리체계실태와 효율적 개선방안」. ≪도시행정학보≫, 제23집 제4호, 269~297쪽.

10.

박헌주. 1992. 「스웨덴의 공유지임대제의 배경과 전개과정」. ≪도시문제≫, 제27권제282호, 93~99쪽.

11.

서울특별시. 2014. 『서울시 보유 부동산 이용실태와 효율적 활용방안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12.

이귀택. 2012. 「국유지 관리의 실태 분석 및 효율화 방안」. 전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3.

이상경. 2005. 「외국의 국‧공유지 임대제도」. ≪해외정보≫ 2000년 10월호. 서울시정개발연구원.

14.

이준용‧손재영. 2014. 「국유부동산 운용‧관리 효율화를 위한 실증 연구」. ≪부동산연구≫ 제24집 제3호, 49~62쪽.

15.

이태일‧지대식. 1990. 『공공토지 장기임대제도에 관한 연구』. 국토개발연구원.

16.

정희남‧강빛나래‧박준‧이형찬. 2014. 「네덜란드 공영개발사업의 특성과 시사점」. ≪국토정책브리프≫, 제478호(2014.8.18).

17.

제주특별자치도. 2014. 「대규모 투자사업에 대한 제주도의 입장」. 보도자료 (2014.7.31).

18.

제주특별자치도. 2015a. 「제주토 토지비축제도 총괄현황」. 내부자료.

19.

제주특별자치도. 2015b. 「제주투자진흥지구 국공유지 매각현황(2014년 12월)」. 내부자료.

20.

조계근. 2012. 『강원도 공유재산의 효율적 관리 운영방안』. 강원발전연구원.

21.

조성찬. 2011. 「토지사유제의 대안으로서 공공토지 임대제의 정당성 연구」. ≪토지+자유연구≫ 2011-4(8호), 1~22쪽.

22.

조성찬. 2015. 『제주 예래휴양형주거단지 개발사업의 중단 원인 및 출구전략 모색』. 토지+자유연구소.

23.

조성찬‧성승현. 2014. 「공공토지임대제의 한계 극복을 위한 토지협동조합 모델 및전통시장 적용 연구」. ≪도시행정학보≫ 제27집 제1호, 1~33쪽.

24.

한영조. 2014. 「공유재산 관리정책에 대한 문제점과 개선방안: 지속가능한 공유재산관리체계 구축 모색을 중심으로」. 『지속가능한 제주사회를 위한 공유재산 관리체계 구축방안 정책토론회 자료집』. 제주특별자치도 행정자치위원회.

25.

홍영철. 2014. 「드림타워에서 신화역사공원, 송악산까지」. ≪여럿이 함께 숲이 되자≫ 통권 제53호, 8~13쪽.

26.

Bourassa, Steven C. and Yu-Hung Hong(eds.). 2003. Leasing Public Land: Policy Debates and International Experiences. Cambridge, Massachusetts: Lincoln Institute of Land Policy.

27.

Dornette, J. and Ven, V. I. 2005. The Use of Public Ground Lease in European Cities. The Development Corporation Amsterdam.

28.

≪세계일보≫. 2014.4.20. “도지사 스스로 허무는 개발가이드라인.”

29.

≪스페셜경제≫. 2015.3.13. “‘땅 장사’ 의혹 휩싸인 보광제주…… 도덕성 논란 ‘재점화’.”

30.

≪연합뉴스≫. 2015.8.13. “법원, 제주 예래휴양형주거단지 개발 공사 중지 결정.”

31.

≪제민일보≫. 2015.6.1. “인천 규제완화 추진 제주 위협, 특별자치도 위상 약화 우려.”

32.

≪헤드라인제주≫. 2013.6.20. “보광제주 ‘마이더스의 손’? …… 땅 팔아 100억 차익의혹.”

Space and Envir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