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자립마을은 기후변화와 에너지 위기에 대한 지역적 대응이며, 주민들의자발적인 주도와 참여가 핵심적인 성패 요소다. 이 연구는 지역 주민들이 에너지자립마을 운동에 참여하는 동기가 무엇이며 어떠한 변화와 성장을 겪는지 살펴보고, 이를 생태시민성의 관점에서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를 위해 관악구에서 에너지자립마을 활동을 하는 소모임 구성원들에 대한 참여관찰과 심층면접을 위주로 하면서 문헌 조사를 병행하며 사례 연구를 진행했다. 주민들은 초기에는 사회적 관계망이나 재미에 이끌려 참여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점차 사회적인 의미를 부여하며 생태시민성을 함양해갔다. 이들이 시민성을 형성하는 과정은전통적인 학습보다는 참여와 실천을 통한 사회적 학습의 양상을 보였다. 또한 구성원 각자의 생태시민성은 부족해 보였으나, 집단적으로 하는 활동은 생태시민들의 모습을 띠었다. 이러한 양상은 생태시민성을 개인 차원의 접근에 머무르기보다 사회적으로 접근해야 할 필요성을 제기하며, 과정적이고 학습적인 관점에서해석해야 함을 시사한다. 참여자들은 교육 수준이나 환경의식이 평범한 성인들로서 이들의 변화에 대한 이 연구 결과는 에너지전환운동이 대중적으로 확산될 수 있는 전략적 기초가 될 수 있다.
The Energy Self-Sufficient Village (ESSV) movement, which relies heavily on voluntary resident participation, is a local response to climate change and the energy crisis in South Korea. This study aims to explore why participants get involved in the ESSV movement and how they have changed and grown through their ESSV experience, and to understand these findings from an ‘ecological citizenship’ perspective. We conducted a qualitative case study using primarily participant observation of Gwanak District’s ESSV, using both interviews and a literature survey. Many respondents reported initially getting involved in the ESSV movement due to recommendations from social contacts or for leisure. However, participants then attached social meaning to their ESSV activities and cultivated ecological citizenship. ESSV participants’ experiences with citizenship development reveal a departure from conventional classroom learning and instead demonstrate a type of social learning cultivated through participation and practice. We found that, while individually, members did not have high levels of ecological citizenship, collective activities among members seemed to reveal stronger ecological citizenship. This implies that rather than approaching the concept of ecological citizenship through an individual perspective, we must approach ecological citizenship from collective and procedural perspectiv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 which reveal behavioral and attitudinal changes experienced by adult participants with average levels of education and environmental awareness ― can inform strategies for expanding energy transition movements to reach the greater public.
곽영순. 2009. 『질적연구: 철학과 예술 그리고 교육』. 서울: 교육과학사.
구도완. 2012. 「특집: 생태와 녹색평화-사상, 문학, 운동 생태민주주의 관점에서 본한국 반핵운동」. ≪통일과 평화≫ 4 (2), 57∼86쪽.
김동춘. 2013. 「시민권과 시민성」. ≪서강인문논총≫ 37, 5∼46쪽.
김병연. 2011. 「생태 시민성 논의의 지리과 환경 교육적 함의」.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19(2), 221∼234쪽.
김소영·남상준. 2012. 「생태시민성 개념의 탐색적 논의」. ≪환경교육≫ 25(1), 105∼116쪽.
김찬국. 2013. 「특집논문: 생태시민성 논의와 기후변화교육」. ≪환경철학≫ 16(단일호), 35∼60쪽.
김찬국·최돈형. 2010. 「우리나라 기후 변화 교육의 방향에 관한 고찰」. ≪환경교육≫23(1): 1∼12쪽.
김희경. 2012. 「생태시민성 관점에서 본 에코맘과 교육적 함의」. ≪시민교육연구≫44(4), 55∼75쪽.
김희경·신지혜. 2012. 「생태시민성 관점에서의 환경교과 분석-고등학교 ‘환경과 녹색성장’ 교육과정 및 교과서를 중심으로」.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20(1), 125∼141쪽.
박순열. 2010a. 「생태시티즌십(ecological citizenship) 논의의 쟁점과 한국적 함의」. ≪환경사회학연구 ECO≫ 14(1), 167∼194쪽.
박순열. 2010b. 「한국 생태시티즌십(ecological citizenship) 인식유형에 관한 경험적 연구」. ≪환경사회학연구 ECO≫ 14(2), 7∼52쪽.
박종문. 2015. 「도시 지역공동체 주민의 에너지 시민성 형성과정: 서울시 성대골 에너지전환운동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박종문·윤순진. 2016. 「서울 성대골 사례를 통해 본 도시 지역공동체 에너지전환운동에서의 에너지시민성 형성과정」. ≪공간과 사회≫ 55, 79∼138쪽.
박진희. 2015. 「재생에너지 협동조합의 현황과 과제」. ≪환경사회학연구ECO≫ 19(1), 173∼211쪽.
서선영. 2010. 「한국 Eco-Mom(환경친화주부)의 정체성과 그린생활의 의미 분석」. ≪소비문화연구≫ 13, 123∼139쪽.
심광택. 2012. 「지속가능한 사회과 목표 설정: 생태적 다중시민성」. ≪사회과교육≫51(1), 91∼107쪽.
윤순진. 2002. 「지속가능한 발전과 21세기 에너지정책」. ≪한국행정학보≫ 36(3), 147∼166쪽.
윤순진. 2003. 「지속가능한 에너지체제로의 전환을 위한 에너지정책 개선방향」.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14(1), 269∼299쪽.
윤순진·김소연·정민지. 2011. 「한국과 일본 원자력 사회기술체계 발전 경로의 유사성과 상이성」. ≪환경사회학연구 ECO≫ 15(2), 147∼195쪽.
윤순진·심혜영. 2015. 「에너지 전환을 위한 전략적 틈새로서 시민햇빛발전협동조합의 가능성과 제도적 한계-서울시 사례를 중심으로」. ≪공간과 사회≫ 51(단일호), 140∼178쪽.
윤순진·이유진. 2008. 「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한 지역에너지 자립」. 『지속가능한 사회이야기』 법문사.
이유진. 2010. 「주민이 만드는 에너지 자립마을-정부 저탄소 녹색마을정책의 문제점」. ≪씨오쟁이≫ 11, 59∼68쪽.
이유진. 2014. 「지역에너지 전환을 위한 에너지 자립마을 실험 분석」. 한국환경사회학회 2014년 봄 학술대회, 118∼144쪽.
이유진·진상현. 2015. 「에너지자립마을의 사회적 자본에 관한 연구: 정부·주민 주도형 사례를 중심으로」. ≪지방정부연구≫ 19(3), 153∼176쪽.
이필렬. 2003. 「중앙집중적 에너지 시스템의 기술적, 사회적 위험」. ≪문화과학≫ 167∼183쪽.
한숭희. 2006. 『평생교육론: 평생학습사회의 교육학』. 서울: 학지사.
허 준. 2012. 『위기 변화 그리고 공동체학습』. 파주: 교육과학사.
Bay, U. 2013. “Transition town initiatives promoting transformational community change in tackling peak oil and climate change challenges.” Australian Social Work 66(2), pp. 171∼186.
Bull, R., J. Petts, and J. Evans. 2008. “Social learning from public engagement: Dreaming the impossible?” Journal of Environmental Planning and Management, 51(5).
Crick, B. 1999. “The Presuppositions of Citizenship Education.” Journal of Philosophy of Education, 33(3).
Clover, D. 2002. “Traversing the gap: Concientizacióon, educative-activism in environmental adult education.” Environmental Education Research 8(3), pp. 315∼323.
Connelly, J. 2006. “The virtues of environmental citizenship.” Environmental citizenship, pp. 49∼73, Cambridge, MI: MIT Press.
Devine-Wright, P. 2007. “Energy citizenship: psychological aspects of evolution in sustainable energy technologies.” Governing technology for sustainability.
Dobson, A. 2003. Citizenship and the environment. Oxford,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Dobson, A. 2006. “Ecological citizenship: a defence.” Environmental Politics 15(03), pp. 447∼ 451.
Geels, F. W. 2012. “A socio-technical analysis of low-carbon transitions: introducing the multi-level perspective into transport studies.” Journal of Transport Geography 24, pp. 471∼482.
Giddens, A. 2009. 『기후변화의 정치학』. 홍욱희 역. 서울: 에코리브르.
Gough, S., and W. Scott. 2006. “Promoting environmental citizenship through learning:toward a theory of change.” Environmental citizenship, pp. 263∼285.
Hayward, T. 2006. “Ecological citizenship: justice, rights and the virtue of resourcefulness.”Environmental politics 15(03), pp. 435∼446.
Hopkins, R. 2008. The transition handbook: from oil dependency to local resilience. Green books Totnes.
Hopkins, R. 2010. “Localisation and resilience at the local level: the case of Transition Town Totnes(Devon, UK).” University of Plymouth.
Hughes, T. P. 1987. “The evolution of large technological systems.” The social construction of technological systems: New directions in the sociology and history of technology, pp. 51∼82.
Kilgore, D. W. 1999. “Understanding learning in social movements: A theory of collective learning.” International journal of lifelong education 18(3), pp. 191∼202.
Kollmuss, A., and J. Agyeman. 2002. “Mind the Gap: Why do people act environmentally and what are the barriers to pro-environmental behavior?” Environmental Education Research 8(3), pp. 239∼260.
Latta, P.A. 2007. “Locating democratic politics in ecological citizenship.” Environmental Politics 16(3), pp. 377∼393.
Lave, J., and E. Wenger. 1991. Situated learning: Legitimate peripheral participa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Lincoln, Y. S., and E. G. Guba. 1985. Naturalistic inquiry. Vol. 75, Sage.
Lovins, A. B. 1977. “Soft energy paths: Toward a durable peace.” Friends of the Earth International, San Francisco.
Lovins, A. B. 1990. “The negawatt revolution.” Across the Board 27(9), pp. 18∼23.
Nikel, J. 2008. Differentiating and evaluating conceptions and examples of participation in environment-related learning. Springer.
Seyfang, G. 2009. Green Shoots of Sustainability. Permaculture.
Seyfang, G., and A. Haxeltine. 2012. “Growing grassroots innovations: exploring the role of community-based initiatives in governing sustainable energy transitions.”Environment and Planning-Part C 30(3), pp. 381.
Sobel, D. 2007. “Climate change meets ecophobia.” Connect Magazine, 21(2), pp. 14∼21.
Spradley, J. P. 2006. 『참여관찰법』 신재영 역. 서울: 시그마프레스.
Steg, L., G. Perlaviciute, and E. van der Werff. 2015. “Understanding the human dimensions of a sustainable energy transition.” Frontiers in psychology 6.
Walker, G., P. Devine-Wright, S. Hunter, H. High, and B. Evans. 2010. “Trust and community: Exploring the meanings, contexts and dynamics of community renewable energy.” Energy Policy 38(6), pp. 2655∼26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