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한국의 도시 분야 국제개발협력의 방향성과 역할 :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와 새로운 도시의제(NUA) 간 상호연계성을 중심으로

A New Direction and Accountability of the ROK’s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for Sound Urbanization

공간과 사회 / Space and Environment, (P)1225-6706; (E)2733-4295
2016, v.26 no.4, pp.77-108
https://doi.org/10.19097/kaser.2016.26.4.77
권구순 (서울사이버대학교)
김유식 ((사)한국해비타트)

Abstract

본 논문은 유엔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와 유엔 해비타트 III 회의에서 채택된새로운 도시의제(NUA) 간 상호 연계성 분석을 통해 ‘포용성과 지속가능성을 갖춘 도시’와 ‘재난에 대한 복원력을 갖춘 안전한 도시’의 공통적인 개념과 이를 구현하는 데 필수적인 ‘개발재원’을 기여요소로 구성한 분석틀을 도출했다. 이를 토대로 도시 분야를 포함해 국제개발협력을 수행하는 정부기관인 한국국제협력단(KOICA)을 공적 영역으로 도시화 국제개발협력의 전문성을 갖춘 민간단체인 한국해비타트를 민간영역의 사례로 분석해서 향후 도시화 국제개발협력의 방향성을제시했다. 공적 영역에서, 첫째, 포용성과 지속가능성을 갖춘 도시화를 위한 개발협력의플랫폼 역할과 사업수행이 요구된다. 둘째, 안전한 도시와 관련한 재난위기 경감의 개념을 기존 도시 부문 ODA의 기획과 추진에 반영할 필요가 있다. 셋째, 도시화 ODA 사업에 필요한 재원을 조성할 수 있는 개발재원의 다양화와 확보체계구축을 지속적으로 추진해야 한다. 민간 영역의 경우, 첫째, NUA에 부합하는 도시분야 사업발굴과 주거권에 대한옹호활동이 병행되어야 한다. 둘째, 지역중심 재난경감사업의 규모와 질적 제고를통해 복원력기반의 안전성을 확보해야 한다. 셋째, 사업의 다각화와 더불어 재원조성을 위해 정부와 민간기업을 포괄하는 파트너십 형성이 필요하다.

keywords
UN Habitat, New Urban Agenda, SDGs,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ODA, 유엔 해비타트, 새로운 도시의제, 지속가능 발전목표, 국제개발협력, 공적개발원조

참고문헌

1.

국제개발협력민간협의회. 2014. 『2012∼2013 인도적 지원 민관협력자금지원사업 결과보고 요약집』. 서울: KCOC.

2.

국제개발협력민간협의회. 2015. 『필리핀 태풍 하이엔 피해지역 민간단체 조기복구사업 결과보고회 자료집』(2015.3.26).

3.

국제개발협력민간협의회. 2016. 『17년 국제개발협력 종합시행계획』. 제26차 국제개발협력위원회 의결안건(제26-1호).

4.

권구순. 2016. 「국제인도적지원 활동에서의 회복탄력성 개념화외 적용에 대한 고찰」. 국제개발협력학회 하계학술대회 논문집(2016.6.17).

5.

권구순 외. 2016. 「해외긴급구호의 법적 기반 및 운영체계연구: 일본, 호주, 스위스를 중심으로」. ≪국제개발협력≫, 2016-2호, 115∼140쪽.

6.

김 인. 2015. 「KOICA 중장기 전략에서의 SDG주류화 노력」. 제29회 KOICA 개발협력포럼 자료집(2015.11.26).

7.

김진경. 2015. 「포용적 성장과 빈곤감소」,. 제26회 KOICA 개발협력포럼 자료집(2015. 2.27).

8.

민간위원회. 2016. 「유엔 해비타트 III 한국 민간위원회 발족 선언문」. UN-Habitat 한국 민간위원회 발족식 및 기념세미나자료집(2016.07.19).

9.

박수영. 2015. 『Post-2015체제의 개발재원 논의분석』. 성남: 한국국제협력단.

10.

박예린 외. 2015. 「Goal 17 이행수단과 글로벌 파트너십 강화」, ≪지속가능개발목표(SDGs) 수립현황과 대응방안≫, KOICA, 331∼352쪽.

11.

방설아 외. 2015. 「Goal 11 회복력 있고 지속가능한 도시와 거주지 조성」. ≪지속가능개발목표(SDGs) 수립현황과 대응방안≫, KOICA, 217∼238쪽.

12.

방설아. 2015. 「개발도상국의 도시빈곤과 KOICA의 도시개발 원조사업에 관한 연구- Post 2015 SDGs를 바탕으로」.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3.

오수현. 2016a. 「혁신적 개발재원 조성(Innovative Financing for Development): 개념의 발전과 동향」. ≪국제개발협력≫ 2016-3호, 31∼52쪽.

14.

오수현. 2016b. 「혁신적 개발재원 조성(Innovative Financing for Development): 개념의 발전과 동향」. 제32회 개발협력 포럼 발표자료(2016.10.05).

15.

외교부. 2010. 「2011~2015년 분야별 국제개발협력 기본계획(안): 무상협력/다자협력 (UN 및 기타국제기구)」. 제8차 국제개발협력위원회 의결안건 제8-1호(2010. 12.21).

16.

원도연. 2015. 「유엔 SDG 이행을 위한 후속조치 및 평가체계」. 제31회 KOICA 개발 협력포럼 자료집(2016.7.29).

17.

이나래 외. 2013. 「개발도상국의 건전한 도시화를 위한 한국 공적개발원조(ODA)의 방향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지≫ 14-4호, 111∼120쪽.

18.

조공장 외. 2016. 「ODA분야 세이프가드 정책동향 및 운영현황: JICA를 중심으로」. ≪국제개발협력≫ 2016-3호, 81∼107쪽.

19.

한국국제협력단. 2015. 「2014 KOICA 대외무상원조실적 통계」. 한국국제협력단.

20.

Bates, Roberts. 1981. Markets and States in Tropical Africa. Berkeley, C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1.

Demographia. 2016. Demographia World Urban Areas: 12th Annual Edition. Demographia.

22.

Habitat for Humanity. 2016a. “Navigating Habitat III Influencing the New Urban Agenda.” Internal resource.

23.

Habitat for Humanity. 2016b. “Global Urban Approach Update.” Internal resource.

24.

Lipton, Michael. 1977. Why Poor People Stay Poor: Urban Bias in World Development. Cambridge, MA: Havard University Press.

25.

McNamara, Robert. 1984. “The Population Problem: Time Bomb or Myth.” Foreign Affairs 62, pp. 1107∼1131.

26.

OECD/DAC. 2016. ODA by sector(indicator), doi: 10.1787/a5a1f674-en.

27.

Parnell, Susan. 2016. “Defining a Global Urban Development Agenda.” World Development 78(2016), pp. 529∼540.

28.

Satterthwaite, D. 1997. “Can UN conferences Promote Poverty Reduction? A review of the Istanbul Declaration and the Habitat Agenda.” Paper presented to Woodrow Wilson Workshop on Examining the Legacy of Habitat II Workshop, Washington DC.

29.

Smith, Allan, Lingas, Elena, and Rahman, Mahfuzar. 2000. “Contamination of Drinking Water by Arsenic in Bangladesh: A Public Health Emergency.” Bulletin of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78-9, pp. 1093∼1103.

30.

Todaro, Michale and Smith, Stephen. 2006. Economic Development. Essex: Pearson.

31.

UN. 1977. “A/RES/32/162 - Institutional Arrangements for International Cooperation in the Field of Human Settlements.” UN Documents: Gathering a body of global agreements.

32.

UN-Habitat. 2004. The challenge of slums: global report on human settlements 2003. UN-Habitat.

33.

UN-Habitat. 2016a. “Urbanization and Development: Emerging Futures.” World Cities Report 2016, UN-Habitat.

34.

UN-Habitat. 2016b. Habitat III: Draft New Urban Agenda. UN-Habitat.

35.

UNISDR. 2015. Sendai Framework for Disaster Risk Reduction 2015∼2030. UNISDR.

36.

USAID. 2012. Building Resilience to Recurrent Crisis: USAID Policy and Program Guidance. Washington DC: USAID.

37.

http://stats.oecd.org/#(접속일: 2016.10.17).

38.

http://stat.koica.go.kr(접속일: 2016.10.18).

39.

http://thecityfix.com/blog/the-big-gap-habitat-iii-making-the-new-urban-agenda-actionablealyssa-fischer-holger-dalkmann(접속일: 2016.10.25).

40.

http://www.odakorea.go.kr/ODAPage_2012/T02/L03_S01_02.jsp(접속일자 2016.12.5).

공간과 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