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도시재생에서 공기업주도형 성장기계의 형성 과정 및 영향 분석

Study on the Process and Effects of the Growth Machine Driven by Public Corporation in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s

공간과 사회 / Space and Environment, (P)1225-6706; (E)2733-4295
2018, v.28 no.3, pp.82-110
https://doi.org/10.19097/kaser.2018.28.3.82
이영은 (토지주택공사연구원)

초록

이 논문은 이익추구형 민간 도시개발과 달리 공공이 주도하는 도시재생사업에서는 공공성과 수익성이 동시에 실현되어야 함을 전제로 하고 있다. 도시재생사업이 기본적으로 국가, 지자체, 기금, 공기업 사업비 등 다양한 공공 자금을 특정 장소에 투입하는 사업이기 때문이다. 최근 도시재생 뉴딜사업은 실행력 제고를 위해공공기관제안형이 등장하는 등 공기업의 역할도 확대되고 있는바, 공공과 민간의복합적 성격을 갖는 도시재생에서 공공기관의 역할 및 기대 효과에 대한 점검이필요하다. 이를 위해 이 논문은 전통적인 성장기계 이론을 근거로 도시재생에서공기업이 주도하는 새로운 성장기계의 형성을 밝히고 이로써 나타나는 사업 성격과 영향을 분석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2014년에 선정된 13개 도시재생 선도사업의 활성화 계획상 단위사업 구성과 지가변동률을 분석했고 성장기계 형성 과정에관련되는 주요 주체들의 인터뷰를 수행했다. 분석 결과 몇몇 사례에서 공기업주도형 성장기계의 형성 과정을 확인할 수 있었고 해당 지역에서는 성장기계가 형성되지 않은 여타 지역보다 성장추구형 개발사업과 지가 상승이 급격하고 빠르게 진행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작년에 새로 도입된 공공기관제안형 도시재생사업에 대해 공공기관의 역할과 사업 추진 방식, 사업 후 기대 효과등 좀 더 세밀한 정책적 검토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

keywords
growth machine, public corporation, urban regeneration, 13 public-led urban regeneration projects. regeneration action plan, 성장기계, 공공기관, 도시재생, 13개 선도사업, 도시재생 활성화 계획

Abstract

This article assumes that unlike the profit-seeking urban development, urban regeneration projects should be implemented as public projects that seek both public and profitable at the same time. The reason for this is that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is basically a project to invest various public funds, including the central government, local governments, funds and public corporations, into a specific location.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the character of the growth machine in the regeneration projects which were selected as leading projects in 2014 by examining the process of building growth machine and the fluctuation rate of land price in the regeneration projects. Especially focussing on the projects which local government and public corporations together take part in. The analysis shows that traditional growth machines exist in urban regeneration but are formed by public corporations and that they have an impact on than in other areas where growth machines are not formed. Therefore, designing and promoting the characteristics and direction of the public-led growth machine is going to determine the success of the new urban regeneration newdeal projects which were chosen from 2017.

keywords
growth machine, public corporation, urban regeneration, 13 public-led urban regeneration projects. regeneration action plan, 성장기계, 공공기관, 도시재생, 13개 선도사업, 도시재생 활성화 계획

참고문헌

1.

국토교통부 외 지원기구. 2014. 「2014년 도시재생선도지역 사업모니터링 평가계획(안)」.

2.

국토교통부. 2014. 「도시재생사업 신청 가이드라인」.

3.

국토교통부. 2016a. 「도시재생 선도 사업 시행 가이드라인」.

4.

국토교통부. 2016b. 「일반근린재생형 도시재생사업시행 가이드라인」.

5.

국토교통부•한국감정원. 2018. 「R-ONE 부동산 통계자료」.

6.

김은혜. 2011. 「2016년 도쿄올림픽의 좌절과 고시의 정치경제」. ≪공간과사회≫, 제21권 3호, 66~101쪽.

7.

노영길. 2005. 「전남도청 이전과정에서의 정책 네트워크에 관한 연구」. 목포대학교박사학위논문.

8.

박순열. 2002. 「새만금을 통해서 본 전북성장연합의 생태통치전략에 대한 연구」. ≪환경사회학연구 ECO≫, 2.

9.

박재욱. 1997. 「대기업도시의 성장연합과 권력엘리트: 울산과 포항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과 국제정치≫, 제13권 1호, 61~88쪽.

10.

백두주. 2003. 「지방자치와 환경 정치: 명지대교 건설을 둘러싼 부산지역 성장정치」. ≪지역사회연구≫, 제11권 1호, 167~198쪽.

11.

선도지역 시•구. 2016. 「도시재생활성화 계획」. 부산 동구, 대구 남구, 광주 동구, 경남 창원, 전북 군산, 충남 천안, 충북 청주, 강원 태백, 충남 공주, 전남 목포, 전남 순천, 서울 종로, 경북 영주.

12.

이성호. 2008. 「새만금 간척사업과 지역성장 정치」. ≪지역사회연구≫, 제16권 4호, 55~77쪽.

13.

이영은 외. 2017. 「도시재생사업 총괄 사업 운영 주체 도입 방안」. 토지주택연구원.

14.

이윤석. 2005. 「전라남도 도청 이전 정책결정에 관한 실증 연구」. 경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5.

장원호. 2000. 「성장기제(growth machine)와 상품으로서의 도시」. ≪국토≫, 102~107쪽.

16.

정근식. 1991. 「한국사회의 지역 지배 이데올로기」. 『한국사회와 지배이데올로기: 지식사회학적 이해』. 녹두.

17.

정병순. 1995. 「기업가적 정부와 미시적 공간 개발의 정치」. 한국 공간 환경 연구회엮음. 『일상생활과 생활정치』. 대윤.

18.

정필립•우명제 외. 2015. 「성장기제이론을 통한 도시 성장의 정치경제학적 접근」. ≪국토계획≫, 제50권 4호, 5~21쪽.

19.

Gotham, K. F. 2000. “Growth Machine Up-Links: Urban Renewal and the Rise and Fall of a Pro-Growth Coalition in a U.S. City.” Critical Sociology, SAGE Publication.

20.

Harding, A. 1996. “Is There a ‘New Community Power’ and Why Should We Need One?” IJURR, Vol. 20, No. 4.

21.

Hunter, Floyd. 1953. Community Power Structure. Chapel Hill,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22.

Jonas, A. E. G. and D. Wilson. 1999. The urban growth machine: Critical Perspectives two decade later. Alba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23.

John Abbott. 1996. Sharing the City. UK: Earthscan.

24.

Knapp, A. and Vojnovic. 2013. “Rethinking the Growth Machine.” Urban Geography, 34(1), pp. 53~85.

25.

Logan, J. R. and H. L. Molotch. 1987. Urban Fortune: The Political economy of Place. Berkeley: UC Berkeley Press.

26.

Molotch, Harvey. 1976. “The city as Growth Machine: toward a political economy of Place.” American journal of Socialogy, 82(2), pp.309~332.

27.

Peterson, Paul E. 1981. City Limits.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8.

Robinson, Tony. 1995. “Gentrification and Grassroots Resistnace in San Francisco’s Tenderloin.” urban Affairs Review, Vol. 30, No. 4.

29.

Saunders, P. 1984. 김찬호 외 옮김. 1991. 『도시와 사회이론』. 풀빛.

30.

Savage, M. and A. Warde. 1993. Urban Sociology, Capitalism and Modernity. Macmillan.

31.

Schneider, M. and P. Teske. 1993. “Challenging the ‘Equilibrium’ of the Growth Machine.” The Journal of Politics, 55(3), pp. 720~736.

32.

Stone, Clarence N. 1989. Regime Politics: Governing Atlanta 1946-1988. Lawrence:University Press of Kansas.

33.

Thorns, D. C. 1992. “Fragmenting Societies?: A comparative analysis of regional and urban development.” Routledge.

34.

Urry, J. 1985. “Social Relations, Space and Time.” Gregory, D. and J. Urry (eds.). Social Relations and Spatial Structures. Macmillan.

35.

Vogel, R. K. and B. E. Swanson. 1989. “The growth machine vs. the antigrowth coalition.” Urban Affairs Quarterly, 25(1), pp. 63~85.

공간과 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