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5-6706
  • E-ISSN2733-4295
  • KCI

북한도시연구방법론으로서 소셜네트워크서비스 활용에 관한 시론: 인스타그램을 중심으로

Seeing North Korean cities through the lens of Instagram

공간과 사회 / Space and Environment, (P)1225-6706; (E)2733-4295
2019, v.29 no.4, pp.118-156
https://doi.org/10.19097/kaser.2019.29.4.118
황진태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초록

본 논문은 새로운 북한도시연구방법론으로서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의 활용가능성을 탐색한다. 그동안 국내 북한연구의 발전이 어려운 원인 중 하나는 남북한이 군사적, 정치적으로 대치하고 있는 구조로 인하여 남한 사회에 사는 연구자로서 북한 관련 자료의 확보가 어려웠기 때문이다. 이러한 제약에도 불구하고, 북한학계는 문헌자료, 구술자료, 시각영상자료로 이어지는 방법론적 개선을 시도해 왔다. 앞선 북한연구자들의 방법론적 고민을 적극 공감한 필자는 기존 방법론을 보완할 새로운 방법으로 SNS(특히, 이미지 공유 중심의 매체적 특성을 갖는 인스타그램)를 주목한다. 인스타그램에는 현재 북한의 도시공간을 담는 다양한 시각자료들이 풍부하게 존재하며, 앞으로 자료의 양이 폭발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는 점에서 북한도시를 비롯한 북한연구에서 중요하게 다뤄질 필요가 있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은 국내 지리학계와 북한학계가 SNS의 활용을 적극적으로 검토할 것을 제언한다.

keywords
북한도시, 인스타그램, 소셜네트워크서비스, 방법론적 국가주의, 평양, North Korean cities, Instagram, social network service, methodological statism, Pyongyang

Abstract

In this paper, I attempt to explore the fruitfulness of social network service (SNS) as a new research methodology for studying North Korean cities. Under continuing military and political tensions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it has been very difficult for South Korean researchers to access to North Korean materials. Despite its constraints, they have attempted to improve research methodology by focusing on literature materials, interview materials, and visual images, etc. Acknowledging the problem orientation of predecessors, I try to consider the powerful function of Instagram as a mobile photo-sharing and video-sharing site. Through an empirical, but explorative study, I suggest that Instagram should be explored in a wider context in that it includes the multiple realities of the current North Korean cities.

keywords
북한도시, 인스타그램, 소셜네트워크서비스, 방법론적 국가주의, 평양, North Korean cities, Instagram, social network service, methodological statism, Pyongyang

참고문헌

1.

권헌익·정병호. 2013. 『극장국가 북한: 카리스마 권력은 어떻게 세습되는가』. 창비.

2.

고유환. 2015. 「북한연구방법론의 현황과 과제」. 조영주 편저. 『북한 연구의 새로운 패러다임: 관점·방법론·연구방법』. 한울아카데미, 27~53쪽.

3.

김기혁. 2014. 「도로 지명을 통해 본 평양시의 도시 구조 변화 연구」. ≪문화역사지리≫, 26(3), 34~55쪽.

4.

김기혁. 2016. 「한국 인문지리학 분야에서 북한 연구의 동향과 과제」. ≪대한지리학회지≫, 51(5), 713~737쪽.

5.

김연철. 1998. 「북한 연구에서 ‘위로부터 시각’과 ‘아래로부터의 시각’」. ≪통일문제연구≫, 8(2), 5~19쪽.

6.

드브레, 레지스. 1994. 『이미지의 삶과 죽음』. 전병국 옮김. 시각과언어.

7.

박규택. 2016. 「사이공간으로서 로컬리티: 수행적 관계성, 미결정성, 관계적 스케일의 정치」.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9(3), 1~12쪽.

8.

박동민. 2018a. 「현대 조선식 건축의 탄생: 평양 대극장 건설과 북한의 사회주의 리얼리즘 건축」.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계획계≫, 34(10), 119~130쪽.

9.

박동민. 2018b. 「건축가 김정희와 평양시 복구 총 계획도: 신화와 역사」. ≪건축역사연구≫, 27(2), 125~138쪽.

10.

박동민. 2019. 「기능에서 상징으로: 평양역사 건설, 1907-1958」.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계획계≫, 35(4), 115~126쪽.

11.

박민영·박경. 2017. 「인스타그램 해시태그(Hashtags) 분석을 통한 방문객들의 지오사이트 인식에 대한 분석」. ≪한국지형학회지≫, 24(1), 93~104쪽.

12.

박배균. 2012. 「한국학 연구에서 사회-공간론적 관점의 필요성에 대한 소고」. ≪대한지리학회지≫, 47(1), 37~59쪽.

13.

박배균·지상현·이승욱 엮음. 2019. 『한반도의 신지정학: 경계, 분단, 통일에 대한 새로운 상상력』. 한울아카데미.

14.

박배균·황진태 엮음. 2017. 『강남 만들기, 강남 따라하기: 투기지향 도시민과 투기성 도시개발의 탄생』. 동녘.

15.

박순성·홍민 엮음. 2010. 『북한의 일상생활세계: 외침과 속삭임』. 한울아카데미.

16.

박예림·강영옥·김동은·이주윤·김나연. 2019. 「플리커 데이터의 텍스트마이닝을 통한 서울방문 외국인 관광객의 서울 이미지 분석」.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27(1), 11~23쪽.

17.

백낙청. 1998. 『흔들리는 분단체제』. 창작과비평사.

18.

북한도시사연구팀 엮음. 2013. 『사회주의 도시와 북한: 도시사연구방법』. 한울.

19.

북한도시사연구팀 엮음. 2014. 『함흥과 평성: 공간·일상·정치의 도시사』. 한울.

20.

서울역사박물관 기획. 2018. 『2017 서울생활문화자료조사: 대치동 사교육 1번지』. 서울역사박물관.

21.

서유석. 2012. 「북한 열병식 개최의 역사와 성격변화」. ≪국방연구≫, 55(2), 77~101쪽.

22.

안재섭. 2013. 「북한연구방법론의 현황과 과제」. 북한도시사연구팀 엮음. 『사회주의도시와 북한: 도시사연구방법』. 한울, 77~101쪽.

23.

양문수. 2015. 「북한 문헌, 어떻게 읽을 것인가: ≪경제연구≫의 사례」. 조영주 편저. 『북한 연구의 새로운 패러다임: 관점·방법론·연구방법』. 한울아카데미, 109~137쪽.

24.

에버라드, 존. 2014. 『영국 외교관, 평양에서 보낸 900일』. 이재만 옮김. 책과함께.

25.

와다 하루키. 2002. 『북조선: 유격대국가에서 정규군국가로』. 서동만 옮김. 돌베개.

26.

이민부. 2019.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지리학: 지도학과 지형학을 중심으로」. 『(사)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19년 연례학술대회 자료집』, 39~47쪽.

27.

이민부·김걸. 2016. 「통일지리학의 연구동향과 과제」. ≪대한지리학회지≫, 51(6), 873~892쪽.

28.

이상헌·김은혜·황진태·박배균 엮음. 2017. 『위험도시를 살다: 발전주의 도시화와 핵위험경관』. 알트.

29.

이수안. 2017. 「도시공간 향유의 인스타그램 분석과정에 대한 행위자네트워크 이론적 해석」. ≪사회사상과 문화≫, 20(1), 219~254쪽.

30.

이주윤·강영옥·김나연·김동은·박예림. 2018. 「궤적 데이터 마이닝을 통한 서울방문관광객의 이동 특성 분석」. ≪한국지도학회지≫, 18(3), 117~129쪽.

31.

임동우. 2011. 『평양 그리고 평양 이후』. 효형출판.

32.

장세훈. 2017. 『냉전, 분단 그리고 도시화: 남북한 도시화의 비교와 전망』. 알트.

33.

전상인·김미영·조은희. 2015. 「국가권력과 공간: 북한의 수도계획」. ≪국토계획≫, 50(1), 21~40쪽.

34.

정재연. 2019. 『평양, 제가 한번 가보겠습니다』. 넥서스북.

35.

정창현. 2013. 『평양의 일상』. 역사인.

36.

정현주. 2013. 「페미니스트 지리학과 젠더」.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편. 『현대 문화지리의 이해』. 푸른길, 243~247쪽.

37.

조영주 편저. 2015. 『북한 연구의 새로운 패러다임: 관점·방법론·연구방법』. 한울.

38.

조정아. 2015. 「구술자료를 활용한 북한도시 연구: 이론적 자원과 방법」. 조영주 편저. 『북한 연구의 새로운 패러다임: 관점·방법론·연구방법』. 한울아카데미, 170~197쪽.

39.

조정아·최은영. 2017. 『평양과 혜산, 두 도시 이야기: 북한 주민의 삶의 공간』. 통일연구원.

40.

주성하. 2018. 『평양자본주의백과전서』. 북돋움.

41.

진천규. 2018. 『평양의 시간은 서울의 시간과 함께 흐른다』. 타커스.

42.

최완규 엮음. 2004. 『북한 도시의 형성과 발전: 청진, 신의주, 혜산』. 한울아카데미.

43.

최완규 엮음. 2006. 『북한 도시의 위기와 변화: 1990년대 청진, 신의주, 혜산』. 한울아카데미.

44.

최완규 엮음. 2007. 『북한 “도시정치”의 발전과 체제 변화: 2000년대 청진, 신의주, 혜산』. 한울아카데미.

45.

카르티에-브레송, 앙리. 1986. 『앙리 까르띠에-브레쏭』. 강운구·권오룡 옮김. 열화당.

46.

튜더, 다니엘·제임스 피어슨. 2017. 『조선자본주의공화국』. 전병근 옮김. 비아북.

47.

황일도. 2015. 「야간 위성사진을 이용한 북한경제 관찰방법론 연구: 1992-2009 불빛개수 증감으로 본 상황추이를 중심으로」. 조영주 편저, 『북한 연구의 새로운패러다임: 관점·방법론·연구방법』. 한울아카데미, 198~227쪽.

48.

황진태. 2018. 「행성적 도시화와 한반도 도시연구」. 통일연구원 주최 KINU북한도시포럼 발표자료, 대한민국역사박물관 개최, 11월 29일.

49.

홍민. 2013. 「북한연구에서 ‘공간’ 이해와 도시사의 가능성」. 북한도시사연구팀 엮음. 『사회주의 도시와 북한: 도시사연구방법』. 한울, 102~137쪽.

50.

홍민. 2015. 『북한의 시장화와 사회적 모빌리티: 공간구조·도시정치·계층변화』. 통일연구원.

51.

홍민. 2017. 『김정은 정권의 통치 테크놀로지와 문화정치』. 통일연구원.

52.

홍민·박순성 엮음. 2013. 『북한의 권력과 일상생활: 지배와 저항 사이에서』. 한울아카데미.

53.

홍윤기. 2004. 「송두율 교수 사건을 통해 본 한국 민주주의와 인권; 양심과 사상의자유와 국가보안법-송두율 교수 사건을 중심으로」. ≪민주법학≫, 26, 29~81쪽.

54.

Agnew, J. 1994. “The territorial trap: the geographical assumptions of international relations theory.” Review of International Political Economy, 1(1), pp. 53~80.

55.

Brenner, N. 2004. New State Spaces: Urban Governance and the Rescaling of Statehood. Oxford University Press.

56.

Buffardi, L. E., and Campbell, W. K. 2008. “Narcissism and social networking web sites.”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34(10), pp. 1303~1314.

57.

Doucette, J., and Park, B. G. 2018. Urban Developmentalism in East Asia. Brill.

58.

Glassman, J. 2018. Drums of War, Drums of Development: The Formation of a Pacific Ruling Class and Industrial Transformation in East and Southeast Asia, 1945-1980. Brill.

59.

Hwang, J. T. 2014. “Territorialized urban mega-projects beyond global convergence: the case of Dongdaemun Design Plaza & Park Project, Seoul.” Cities, 40, pp. 82~89.

60.

Hwang, J. T. 2016. “Escaping the territorially trapped East Asian developmental state thesis.” The Professional Geographer, 68(4), pp. 554~560.

61.

Jang, K. M. and Kim, Y. 2019. “Crowd-sourced cognitive mapping: a new way of displaying people’s cognitive perception of urban space.” PloS one, 14(6), e0218590.

62.

Jessop, B. 2016. “Territory, politics, governance and multispatial metagovernance.” Territory, Politics, Governance, 4(1), pp. 8~32

63.

Jessop, B. Brenner, N. and Jones, M. 2008. “Theorizing sociospatial relations.” Environment and Planning D: Society and Space, 26(3), pp. 389~401.

64.

Knox, P. L., and Taylor, P. J. (Eds.). 1995. World Cities in a World System. Cambridge University Press.

65.

Latham, A., and McCormack, D. P. 2009. “Thinking with images in non-representational cities: vignettes from Berlin.” Area, 41(3), pp. 252~262.

66.

Lee, S. H. Hwang, J. T., and Lee, J. 2018. “The production of a national riskscape and its fractures: nuclear power facility location policy in South Korea.” Erdkunde, 72(3), pp. 185~195.

67.

Lee, S. O. Jan, N., and Wainwright, J. 2014. “Agamben, postcoloniality, and sovereignty in South Korea.” Antipode, 46(3), pp. 650~668.

68.

Macpherson, H. 2010. “Non-representational approaches to body-landscape relations.”Geography Compass, 4(1), pp. 1~13.

69.

Park, B. G. 2005. “Globalization and local political economy: the multi-scalar approach.”Global Economic Review, 34(4), pp. 397~414.

70.

Rose, G. 2016. Visual Methodologies: An Introduction to Researching with Visual Materials. Sage.

71.

Sheldon, P., and Bryant, K. 2016. “Instagram: motives for its use and relationship to narcissism and contextual age.” Computers in Human Behavior, 58, pp. 89~97.

72.

Thrift, N. 2007. Non-representational Theory: Space, Politics, Affect. Routledge.

73.

Wallerstein, I. 1974. “The rise and future demise of the world capitalist system: Concepts for comparative analysis.” Comparative Studies in Society and History, 16(4), pp. 387~415.

74.

Weiser, E. B. 2015. “#Me: narcissism and its facets as predictors of selfie-posting frequency.”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86, pp. 477~481.

75.

≪주간경향≫. 2014.12.23. “나는 멍 때린다, 고로 존재한다.”

76.

The Washington Post. 14 May, 2016. “North Korea’s one-percenters savor life in ‘Pyonghattan’.”

공간과 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