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225-6706
이 글은 한국의 에너지시스템을 다층적 관점에서 분석하고 다양한 전환 경로를 탐색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우선 전환연구 및 전환의 지리학에 대해서 개괄적으로 살펴보고, 다양한 전환 경로를 탐색하기 위한 ‘사회기술 시나리오’ 방법론과 네덜란드 에너지전환의 시나리오를 검토한다. 이어 한국의 에너지시스템을 거시환경, 레짐 그리고 틈새라는 다층적 관점을 통해서 분석한 후, 한국의 에너지전환을 위한 세 가지 전환 경로 ― 중앙집권적 점진적 전환 경로, 에너지 분권과 자립의 경로, 그리고 동북아 슈퍼그리드 경로 ― 시나리오를 개발하고 토론할 것이다. 이 각 전환 경로는 국가적, 지역적, 국제적 스케일의 전환 경로를 보여준다. 이는 한국의 에너지전환 담론이 국가적 스케일에 갇혀 있다는 점을 지적하면서, 다양한 스케일 사이에서의 경합과 이에 대한 분석과 토론은 에너지전환의 달성 가능성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This article aims to analyze Korea’s energy system from a multi-level perspective(MLP) and explore various transition pathways. First of all, this paper provides an overview of transtion studies and the geography of transition, and examines the ‘socio-technical Scenario’ methodology and the scenario of Dutch energy transition to explore the various pathways. After analyzing Korea’s energy system through the MLP of landscape, regime and niche, I will develop and discuss three transition pathways for energy transition in Korea: centralized and gradual pathway, energy decentralization and independence pathway, and Northeast Asia Super Grid pathway. Each of these transition pathways represents a national, regional and international scale. This pointed out that the current discourse on energy conversion in Korea is confined to the national scale, and competition between the various scales and its analysis and discussion will help to increase the possibility of achieving energy transition.
≪건설경제≫. 2018.4.30. “한-중 전력망 연계 사업 가사화... 동북아 수퍼그리드 속도 붙나.” http://m.cnews.co.kr/m_home/view.jsp?idxno=201804271144498610618#cb.
관계부처 합동. 2018. 『2030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달성을 위한 기본 로드맵 수정안』.
김병윤. 2008. 「전환 및 전환관리: 배경과 논의」. 송위진 외. 『사회적 목표를 지향하는 혁신정책의 과제』. 과학기술정책연구원.
김종달. 1999. 「에너지체제 전환정책」. 『새천년을 향한 환경·보건복지 정책』. 대통령 자문정책기획위원회.
김형수·한재각. 2019. 「가상발전소와 전력중개시장: 시민참여 가능성의 검토」. ≪에너진포커스≫ 91호, 에너지기후정책연구소.
박배균. 2012. 「한국학 연구에서 사회-공간론적 관점의 필요성에 대한 소고」. ≪대한지리학회지≫ 47(1)호, 37-59.
박진희. 2008. 「지속가능한 에너지 시스템 전환과 재생가능 에너지」. 송위진 외. 『사회적 목표를 지향하는 혁신정책의 과제』.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산업통상자원부. 2017a. 『재생에너지 3020 이행계획안』.
산업통상자원부. 2017b. 『제8차 전력수급기본계획(2017-2031)』.
산업통상자원부. 2019. 『제3차 에너지기본계획』.
송위진 편. 2017. 『사회·기술시스템전환: 이론과 실천』. 한울아카데미.
윤재영. 2018a. 「남북한 전력분야 협력방안과 과제」. ≪석유와 에너지≫ 313호, 26-29.
윤재영. 2018b. 「동북아 에너지협력의 미래: 동북아 슈퍼그리드를 중심으로」. 에너지기후정책연구소 창립 기념 심포지엄 발표문(서울, 2018.11.2).
이명석·김병근. 2014. 「사회-기술 전환이론 비교 연구: 전환정책 설계와 운영을 위한 통합적접근」. ≪학국정책학회≫ 23(4)호, 179-209.
이보아. 2018. 「에너지 전환의 지리에 아상블라주 사유 더하기」. ≪한국도시지리학회≫21(1)호, 93-106.
이성규·김남일. 2018. 『유럽 전력망 연계의 확대 과정과 장애 요인: 동북아 전력 계통 연계에대한 시사점』. 에너지경제연구원.
이성규·정규재. 2017. 『동북아 슈퍼그리드 구축사업 관련 해외 사례분석과 시사점』. 에너지경제연구원.
이은희·정환수. 2016. 「신기후체제하의 CCS 도입 전망」. ≪이슈리포트≫ 15호, (재)한국이산화탄소포집및처리연구개발센터, 8-11.
이정필·권승문. 2018. 「한반도 에너지전환의 비전과 가능성 모색」. 에너지기후정책연구소 창립 기념 심포지엄 발표문(서울, 2018.11.2).
이필렬. 1999. 『에너지 대안을 찾아서』. 창작과비평사.
장영배·한재각. 2008. 『시민참여적 과학기술정책 형성 발전방안』. 과학기술정책연구원.
한국에너지(2019.9.23). 「두산중공업, 발전용 대형 가스터빈 국산화... 세계 5번째 독자모델보유 ‘눈앞’」. http://www.koenerg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8288.
한재각. 2017a. 「유럽의 지역에너지 발전 과정과 시사점」. ≪에너지 포커스≫ 겨울호, 에너지경제연구원, 39-60.
한재각. 2017b. 「당진 시장은 왜 단식 농성을 했을까?」. ≪프레시안≫(2017.4.18). http://www.pressian.com/news/article/?no=156170&ref=nav_search.
한재각·이정필·김현우. 2017. 「에너지산업 구조개편과 에너지민주주의 대안: 지역화/공유화접근을 제안하며」. ≪에너지포커스≫ 75호, 에너지기후정책연구소.
한재각·이영희. 2012. 「한국의 에너지 시나리오와 전문성의 정치」. ≪과학기술학연구≫12(1)호, 107-144.
행정안전부. 2017. 「지방자치분권 5년 밑그림 나왔다」. 보도자료(2017.10.27).
Bridge, G. et al. 2013. “Geography of energy transition: Space, place and the low-carbon economy,” Energy Policy, 53, pp. 331-340.
Hall, D. et al. 2013. “Energy Liberalisation, privatisation and public ownership,” PSIRU Paper(2013. 9). https://www.world-psi.org/sites/default/files/en_psiru_ppp_final _lux.pdf.
Geels, F. W. 2014. “Reconceptualising the co-evolution of firms-in-industries and their environments. Developing an inter-disciplinary Triple Embeddedness Framework,”Research Policy, 43(2), pp. 261-277.
Geels, F. W., and Schot, J. 2007. “Typology of sociotechnical transition pathways,”Research policy, 36(3), pp. 399-417.
Geels, F. W. et al. 2016. “The enactment of socio-technical transition pathways: a reformulated typology and a comparative multi-level analysis of the German and UK low-carbon electricity transitions(1990–2014),” Research Policy, 45(4), pp. 896-913.
Hofman, P., and Elzen, B. 2010. “Exploring system innovation in the electricity system through sociotechnical scenarios,” Technology analysis & strategic management, 22(6), pp. 653-760.
IRENA. 2019. Renewable Capacity Statistics 2019.
Penna, C. C., and Geels, F. W. 2015. “Climate Change and the Slow Reorientation of the American Car Industry(1979-2012): An Applications and Extension of the Dialectic Issue LifeCycle(DILC) Model,” Research Policy, 44(5), pp. 1029-1048.
Rotmans, J., and Loorbach, D. 2010. “Conceptual Framwork for Analyzing Transition,” in John G. et al., ed. Transition to Sustainble Development: New Directiopn in the Study of Long Term Transformative Change. Routledge, pp. 126-139.
Schwanen, T. 2018. “Thinking complex interconnection: Transition, nexus and Geography,” Transactions of the Institute of British Geographers, 43(2), pp. 262-283.
STRN. 2010. “A mission statement and research agenda for the Sustainability Transition Research Network,” http://www.transitionsnetwork.org/files/STRN_research_agenda_20_August_2010(2).pdf.
STRN. 2019. “A mission statement and research agenda for the Sustainability Transition Research Network”. Updated version(2019). https://transitionsnetwork.org/research-agenda-updated-version-2019/.
Turnheim, B., and Geels, F. W. 2013. “The Destabilisation of Existing Regimes:Confronting a Multi-dimensional Framework with a Case Study of the British Coal Industry(1931-1967),” Research Policy, 42(10), pp. 1749-1767.
Verbong, G., and Geels, F. W. 2010. “Exploring sustainability transitions in the electricity sector with socio-technical pathways,” Technological Forecasting and Social Change, 77(8), pp. 1214-1221.
Verbong, G. 2012. “Future Electricity Systems: Visions, Scenarios and Transition Pathways,”in Verbong, G., and Loorbach, D(eds.). Governing the Energy Transition:Reality, Illusion or Necessity?. London: Routledge, pp. 203-219.
Vertgart, P. 2012. “Carbon Capture and Storage: Sustainable Solution or Reinforced Carbon Lock-in,” in Verbong, G., and Loorbach, D(eds.). Governing the Energy Transition: Reality, Illusion or Necessity?. London: Routledge, pp. 101-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