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동북아 수퍼그리드와 에너지전환의 경로

Northeast Asian Supergrid and the Pathway of Energy Transition in Korea

공간과 사회 / Space and Environment, (P)1225-6706; (E)2733-4295
2020, v.30 no.1, pp.247-286
https://doi.org/10.19097/kaser.2020.30.1.247
홍덕화 (충북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Abstract

이 논문은 정의로운 전환의 시각에서 한국 정부가 제안하고 있는 동북아 수퍼그리드를 평가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한-중-일, 남-북-러의 전력망을 연결하는 동북아 수퍼그리드를 통해 재생에너지의 공급 안정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북아시아의 긴장을 완화할 수 있다는 기대가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전환 경로로서 동북아 수퍼그리드가 갖는 함의는 충분히 검토되지 않고 있다. 특히 에너지정의, 에너지 민주주의 등 정의로운 전환을 주창하는 사회운동이 확산되고 있는 만큼 바람직한 미래의 관점에서 동북아 수퍼그리드를 재조명할 필요가 있다. 그동안의 동북아 수퍼그리드 논의를 정리하면, 수퍼그리드가 이질적 요소들로 구성된다는 점은 인식되고 있지만 이질적 연결망에 대한 상상은 제한적이다. 이로 인해 자본주의와 사회주의의 전력망을 연결하는 방안이 폭넓게 논의되지 못한 채 전력시장 자유화가 동북아 수퍼그리드의 조건처럼 제시되는 경향이 있다. 한편 에너지 안보의 측면에서 동북아 수퍼그리드는 성장주의에 갇혀 있으며 수퍼그리드의 다차원적인 위험을 과소 평가한다. 더불어 정부가 제시하는 동북아 수퍼그리드가 평화를 실현하는 동시에 지속가능성과 에너지 민주주의를 강화할 수 있을지 불투명하다. 동북아 수퍼그리드가 구체화되는 것과 함께 전환 경로를 둘러싼 경합의 징후가 나타나고 있는 만큼 동북아 수퍼그리드는 막연한 환호의 대상이 아니라 공동체 에너지, 에너지 커먼즈 등 다양한 전환 경로를 성찰하는 계기가 되어야 한다.

keywords
수퍼그리드, 에너지전환, 에너지경관, 에너지정의, 에너지 안보, super grid, energy transition, energy landscape, energy justice, energy security

참고문헌

1.

공혜원 외. 2020. 「배출제로를 향한 분기점: 2020 정세전망」. ≪Energy Focus≫ No.96.

2.

김경술. 2015. 「통일 대비 에너지부문 장단기 전략 연구(1차년도)」. 에너지경제연구원.

3.

김경술. 2017. 「동북아 에너지협력과 북한 요인」. 김연규 엮음. 『21세기 동북아 에너지협력과 한국의 선택』. 사회평론아카데미.

4.

김연규 엮음. 2017. 『21세기 동북아 에너지협력과 한국의 선택』. 사회평론아카데미.

5.

김연규 . 2018. 『한국의 에너지 전환과 북방경제협력』. 사회평론아카데미.

6.

김진수. 2017. 「동북아 슈퍼그리드」. 김연규 엮음. 『21세기 동북아 에너지협력과 한국의 선택』. 사회평론아카데미.

7.

산업통상자원부. 2014. 「제2차 에너지기본계획」.

8.

산업통상자원부. 2017a. 「제8차 전력수급기본계획」(2017-2031).

9.

산업통상자원부. 2017b. 「9-Bridge 분야별 추진방향: 전력, 가스, 조선」. 북방경제협력위원회 제1차회의(2017.12.7).

10.

산업통상자원부. 2019. 「제3차 에너지기본계획」.

11.

성원용. 2019. 「신북방정책과 남북러 삼각협력: 과제와 발전 전망」. ≪IDI 도시연구≫ 제16권, 45-91.

12.

우준모. 2018. 「신북방정책 비전의 국제관계이론적 맥락과 러시아 신동방정책과의 접점」. ≪국제지역연구≫ 제21권 5호, 105-130.

13.

윤성학. 2018. 「러·중·일의 동북아 슈퍼그리드 추진 전략과 한국의 대응」. 김연규 엮음. 『한국의 에너지 전환과 북방경제협력』. 사회평론아카데미.

14.

이성규·정규재. 2018. 「동북아 슈퍼그리드 구축 사업 관련 해외 사례분석과 시사점」. 에너지경제연구원.

15.

이유신. 2018. 「러시아 PNG 도입 방안과 실현 가능성」. 김연규 엮음. 한국의 에너지 전환과북방경제협력. 사회평론아카데미.

16.

이재승. 2007. 「동북아 에너지 협력 논의의 쟁점과 분석틀: 국제정치경제학적 의제 설정을중심으로」. ≪한국정치연구≫ 제16권 2호, 137-164.

17.

이재승·유정민·이흥구. 2016. 「에너지 인프라 안보의 개념틀과 구성요소 분석: 한국에의 적용을 중심으로」. ≪국제관계연구≫ 제21권 2호, 135-170.

18.

이정필·한재각. 2014. 「영국 에너지전환에서의 공동체에너지와 에너지시티즌십의 함의」. ≪ECO≫ 제18권 1호, 73-112.

19.

코너하우스. 이정필 외 옮김. 2015. 『에너지 안보: 지금은 안보이는 에너지 안보 상상하기』. 이매진.

20.

한재각. 2018. 「에너지전환의 개념 분석과 한국 에너지정책을 위한 시사점」. ≪Energy Focus≫ 2018 가을호, 72-98.

21.

한재각·김현우. 2019. 지역에너지전환과 에너지분권. ≪Enerzine Focus≫ No.92.

22.

한재각·이정필. 2018. 「재생에너지 확대를 위한 이익 공유화 전략의 모색」. 에너지노동사회네트워크 외. 재생에너지3020 평가와 RPS 제도 개선 방안 토론회 자료집 (2018.8.13).

23.

홍건식. 2019. 「신기후체제와 동북아시아 에너지협력: 차별화된 책임에서 지역책임으로」. ≪동북아연구≫ 제34권 1호, 37-66.

24.

홍덕화. 2017. 「에너지 전환 전략의 분화와 에너지 공공성의 재구성: 전력산업 구조개편을중심으로」. ≪ECO≫ 제21권 1호, 147-187.

25.

홍덕화. 2018. “남북 에너지 협력은 이제 현실로 다가왔다,” ≪프레시안≫(2018.6.1).

26.

홍덕화. 2019. 「에너지 민주주의의 쟁점과 에너지 커먼즈의 가능성」. ≪ECO≫ 제23권 1호, 75-105.

27.

Becker, S., and M. Naumann. 2017. “Energy Democracy: Mapping the Debate on Energy Alternatives,” Geography Compass, 11(8), pp. 1-13.

28.

Borup, M. et. al. 2006. “The Sociology of Expectations in Science and Technology,”Technology Analysis & Strategic Management, 18, 3/4, pp. 285-298.

29.

Bouzarovski, S., and N. Simcock. 2017. “Spatializing Energy Justice,” Energy Policy, 107, pp. 640-648.

30.

Bridge, G. 2018. “The Map is not the Territory: A Sympathetic Critique of Energy Research’s Spatial Turn,” Energy Research & Social Science, 36, pp. 11-20.

31.

Bridge, G., Bouzarovski, S., Bradshaw, M., and N. Eyre. 2013. “Geographies of Energy Transition: Space, Place and the Low-carbon Economy,” Energy Policy, 53, pp. 331-340.

32.

Bridge, G. et. al. 2018. Energy and Society: A Critical Perspective. Routledge.

33.

Burke, M., and J. Stephens. 2017. “Energy Democracy: Goals and Policy Instruments for Sociotechnical Transition,” Energy Research & Social Science, 33, pp. 35-48.

34.

Burke, M., and J. Stephens. 2018. “Political Power and Renewable Energy Futures: A Critical Review,” Energy Research & Social Science, 35, pp. 78-93.

35.

de Rubens, G., and L. Noel. 2019. “The Non-technical Barriers to Large Scale Electricity Networks: Analysing the Case for the US and EU Supergrids,” Energy Policy, 135 (http://lps3.doi.org.libproxy.snu.ac.kr/10.1016/j.enpol.2019.111018).

36.

Foxon, T. 2013. “Transition Pathways for UK Low Carbon Electricity Future,” Energy Policy, 52, pp. 10-24.

37.

Gailing, L., Andrea, B., Kern, K., and A. Röhring. 2019. “Socio-spatial Dimensions in Energy Transitions: Applying the TPSN Framework to Case Studies in Germany,” Environment and Planning A: Economy and Space (https://doi.org/10.1177/0308518X19845142).

38.

Geels, F. et. al. 2016. “The Enactment of Socio-technical Transition Pathways: A Reformulated Typology and a Comparative Multi-level Analysis of the German and UK Low-carbon Electricity Transitions(1990-2014),” Research Policy, 45, pp. 896-913.

39.

Goldthau, A. 2014. “Rethinking the Governance of Energy Infrastructure: Scale, Decentralization and Polycentrism,” Energy Research & Social Science, 1, pp. 134-140.

40.

Hamouchene, H. 2016. “The Struggle for Energy Democracy in the Maghreb,” Rosa Luxemburg Stiftung North Africa Office.

41.

Healy, N., and J. Barry. 2017. “Politicizing Energy Justice and Energy System Transitions:Fossil Fuel Divestment and a Just Transition,” Energy Policy, 108, pp. 451-459.

42.

Heffron, R., and D. McCauley. 2017. “The Concept of Energy Justice across the Disciplines,” Energy Policy, 105, pp. 658-667

43.

Hickel, J., and G. Kallis. 2019. “Is Green Growth Possible?” New Political Economy (https://doi.org/10.1080/13563467.2019.1598964).

44.

Hojčková, K., Sandén, B., and H. Ahlborg. 2018. “Three Electricity Futures: Monitoring the Emergence of Alternative System Architectures,” Futures, 98, pp. 72-89.

45.

Jasanoff, S., and S-H Kim. 2009. “Containing the Atom: Sociotechnical Imaginaries and Nuclear Power in the United States and South Korea,” Minerva, 47, pp. 119-146.

46.

Jenkins, K., McCauley, D., Heffron, R., and H. Stephan. 2016. “Energy Justice: A Conceptual Review,” Energy Research & Social Science, 11, pp. 174-182.

47.

Jenkins, K., Sovacool, B., and D. McCauley. 2018. “Humanizing Sociotechnical Transitions through Energy Justice: An Ethical Framework for Global Transformative Change,” Energy Policy, 117, pp. 66-74.

48.

Larkin, B. 2013. “The Politics and Poetics of Infrastructure,” Annual Review of Anthropology, 42, pp. 327-343.

49.

McCauley, D., and R. Heffron. 2018. “Just Transition: Integrating Climate, Energy and Environmental Justice,” Energy Policy, 119, pp. 1-7.

50.

Miller, C., Iles, A., and C. Jones. 2013. “The Social Dimensions of Energy Transitions,”Science as Culture, 22(2), pp. 135-148.

51.

Ottinger, G. 2013. “The Winds of Change: Environmental Justice in Energy Transitions,”Science as Culture, 22(2), pp. 222-229.

52.

Parks, B., and T. Roberts. 2010. “Climate Change, Social Theory and Justice,” Theory, Culture & Society, 27(2-3), pp. 134-166.

53.

Schmitt, T. 2018. “(Why) did Desertec Fail? An Interim Analysis of a Large-scale Renewable Energy Infrastructure Project from a Social Studies of Technology Perspective,” Local Environment, 23(7), pp. 747-776.

54.

Scholten, D., and R. Bosman. 2016. “The Geopolitics of Renewables: Exploring the Political Implications of Renewable Energy Systems,” Techological Forecasting & Social Change, 103, pp. 273-283.

55.

Slota, S., and G. Bowker. 2017. “How Infrastructures Matter,” in U. Felt et. al.(eds.), The Handbook of 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 (4th ed.). MIT Press.

56.

Sovacool, B., Burke, M., Baker, L., and. C. Kotikalapudi. 2017. “New Frontiers and Conceptual Frameworks for Energy Justice,” Energy Policy, 105, pp. 677-691.

57.

Szulecki, K. 2018. “Conceptualizing Energy Democracy,” Environmental Politics, 27(1), pp. 21-41.

58.

van de Graaf, T., and B. Sovacool. 2014. “Thinking Big: Politics, Progress, and Security in the Management of Asian and European Energy Megaprojects,” Energy Policy, 74, pp. 16-27.

59.

Vakulchuk, R., Overland, I., and D. Scholten. 2020. “Renewable Energy and Geopolitics:A Review,”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122. https://doi.org/10.1016/j.rser.2019.109547.

60.

Verbong, G., and F. Geels. 2010. “Exploring Sustainability Transitions in the Electricity Sector with Socio-technical Pathways,” Technological Forecasting & Social Change, 77, pp.1214-1222.

61.

Walker, G. 2012. Environmental Justice: Concepts, Evidence and Politics. Routledge.

62.

≪경향비즈≫. 2018. “몽골, 러시아로부터 한중일까지 전력망 연결 속도 내나”(2018.5.16).

63.

≪동아일보≫. 2018. “동북아를 잇는 전력 실크로드”(2018.6.29).

64.

≪디지털타임스≫. 2018. “남북 전력연결 시동, 슈퍼그리드 수혜주 부상”(2018.6.11).

65.

≪에너지신문≫. 2018. “동북아슈퍼그리드, 퍼즐 완성은 북 참여”(2018.6.12).

66.

≪주간한국≫. 2018. “시진핑, 푸틴도 관심 갖는 동북아 전력망 프로젝트”(2018.12.24).

67.

≪프레시안≫. 2018. “중동의 산유국이 사막에 햇빛발전소를 짓는 이유?”(2018.2.4).

68.

≪한국경제≫. 2018. “한-중-일-러 연결하는 동북아 전력망사업에 7-8조 원 필요”(2018.12.11).

69.

≪한국에너지≫. 2018a. “동북아 슈퍼그리드, 한-중-일-러 청정 전력망 연계 에너지 수급 안정성 확보”(2018.5.21).

70.

≪한국에너지≫. 2018b. “동북아 슈퍼그리드 유감”(2018.12.17). 한국전력 동북아수퍼그리드 홈페이지(http://home.kepco.co.kr/kepco/SG/main/main.do).

공간과 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