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Space and Environment

  • P-ISSN1225-6706
  • E-ISSN2733-4295
  • KCI

Identifying and Responding to At-Housing-Risk Households in the Post-COVID19 Era: Focusing on the Double Precarity of the Working Poor

Space and Environment / Space and Environment, (P)1225-6706; (E)2733-4295
2020, v.30 no.4, pp.124-171
https://doi.org/10.19097/kaser.2020.30.4.124

Abstract

This paper approaches at-housing-risk household phenomenon as a structural problem of capitalism. The theoretical resources for this are the working poor and housing vulnerable groups. The double precarity of the working poor refers to the combination of labor precarity and housing precarity. The dynamics of housing vulnerability can be used to distinguish between current housing poverty and future housing crisis. Underneath the housing crisis, which develops in the stages of income reduction, overdue rent, and involuntary displacement, lies the double precarity of the working poor. The nature of housing crisis is shaped by the simultaneous precarity of labor and housing in urban space, particularly the process of housing precarity due to precarious labor. Exploring the nature of such problem requires qualitative rearticulation beyond the quantitative expansion of housing welfare policies as a countermeasure. The working poor’s housing crisis represents a blind spot in housing welfare policy, which is based on current state of housing poverty. As housing crisis is a fundamentally different problem compared to housing poverty, a new method of housing welfare policy that is distinct from direct housing support should be discussed in response to the housing crisis. An empirical analysis of Korean case support the conceptual consideration of at-housing-risk households. The combination of labor precarity and housing precarity exists regardless of income level in Korea. Furthermore, labor precarity may be as significant as, or more significant than, low-income level in determining who has no choice but to choose unstable housing in large cities. This approach allows the recognition of housing crisis as a unique structural problem in the capitalist society, not as a one-time event caused by COVID-19.

keywords
주거위기가구, 근로빈곤층, 이중 불안, 주거취약계층, 코로나19, At-Housing-Risk Households, working poor, double precarity, housing vulnerable groups, COVID-19

Reference

1.

강남훈. 2013. 「불안정노동자와 기본소득」. ≪마르크스주의 연구≫ 10(2), 12~42쪽.

2.

강미나·김혜승·박미선·이재춘·김지혜·이길제·조윤지·우지윤·이건우, 2020a. 『2019년도 주거실태조사: 요약보고서』. 세종: 국토교통부.

3.

강미나·김혜승·박미선·이재춘·김지혜·이길제·조윤지·우지윤·이건우, 2020b. 『2019년도 주거실태조사: 통계보고서』. 세종: 국토교통부.

4.

강미나·이후빈. 2020. 「포스트코로나 시대 건강한 집, 건강한 이웃」. ≪국토≫ 464. 30~33쪽.

5.

김을식·김재신. 2020. 「코로나10 고용 충격, 위기 대응과 뉴 노멀의 모색」. ≪이슈&진단≫422, 1~21쪽.

6.

구인회. 2002. 「빈곤층의 사회경제적 특성과 빈곤이행: 경제위기 이후의 시기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 48, 82~112쪽.

7.

구인회. 2005. 「빈곤의 동태적 분석: 빈곤지속기간과 그 결정요인」. ≪한국사회복지학≫57(2), 351~374쪽.

8.

국토교통부. 2015. “월세시대를 맞아 새로이 개편한 월세통계, 첫 공표”. 2015년 7월 30일 보도자료.

9.

국토교통부. 2020. 국토부-LH-지자체, “코로나로 인한 주거위기가구 지원”. 2020년 7월 6일보도자료.

10.

금재호. 2004. 「취업으로 빈곤극복이 가능한가」. ≪경제분석≫ 10(3), 72~111쪽.

11.

경기도. 2020. 도, 아파트 거주 위기가구 일제조사 실시. 2020년 1월 17일 보도자료.

12.

김영란. 2004. 「신빈곤(new poverty)의 발생구조와 빈곤정책 변화에 관한 연구: 근로빈민(working poor)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정책≫ 20, 245~273쪽.

13.

김윤이. 2011. 「임대료 연체에 의한 강제퇴거 현황 및 대응방향」. ≪도시와 빈곤≫ 93, 48~73쪽.

14.

김주영·유승동. 2013. 「가구특성이 주택점유형태와 주택유형 선택에 미치는 영향 분석: 생애주기상 가구원수 변화와 가구의 경제적 특성을 중심으로」. ≪주택연구≫ 21(4), 61~86쪽.

15.

김준형·고진수·김정섭·신중호·김대진·서정석·전예솔. 2017. 『서울시 주거취약계층 및 외국인실태조사』. 서울: 서울특별시.

16.

남원석. 2012. 「주거복지정책 프로그램의 평가와 과제」. ≪주택도시연구≫ 2(2), 19~32쪽.

17.

남원석. 2013. 「주거취약계층의 개념 및 유형에 관한 연구」. ≪주택연구≫ 21(2), 47~71쪽.

18.

노대명·최병두·조명래·류정순. 2006. 「새로운 도시빈곤으로서 근로빈곤층의 발생과 대책」.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2(6), 671~692쪽.

19.

박경현. 2020.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포용적 국토균형발전 방향」. ≪국토≫ 464. 6~10쪽.

20.

박미선. 2013. 「주택 점유형태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시대적 변화 연구: 1990년~2010년을 중심으로」. ≪도시행정학보≫ 26(3), 291~314쪽.

21.

박미선. 2017. 「한국 주거불안계급의 특징과 양상: 1인 청년을 중심으로」. ≪공간과 사회≫27(4), 110~140쪽.

22.

박미선·조윤지. 2020. 「코로나19 같은 감염병 상시 위기 시대, 1인가구 주거불안 양상과 주거정책 시사점」. ≪국토이슈리포트≫ 18, 1~8쪽.

23.

박성식. 2013. 『한국 부동산 시장의 임대료-보증금 전환구조』.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4.

박인권. 2017. 「도시의 사회적 약자 불안정화 과정: 불안계급 이론의 비판과 확장」. ≪공간과사회≫ 27(4), 36~78쪽.

25.

박정민·오욱찬·이건민. 2015. 「최저주거기준과 주거비 과부담을 기준으로 한 빈곤가구의 주거취약 유형화와 관련요인」. ≪사회복지연구≫ 46(2), 101~123쪽.

26.

배순석. 2010. 「최저주거기준 개선의 필요성과 추진방향」. ≪국토≫ 341, 16~23쪽.

27.

배순석·김혜승·윤해련·박환용·이용만·전한건. 2002. 『시장소외계층을 위한 주택정책 수립연구』. 서울: 건설교통부.

28.

백승호. 2014. 「서비스경제와 한국사회의 계급, 그리고 불안정 노동 분석」. ≪한국사회정책≫21(2), 57~90쪽.

29.

송아영·김소영·김아래미·임수진. 2020. 『서울특별시 긴급임시주택 제도 마련을 위한 연구 용역』. 서울: 서울주택도시공사.

30.

신민정. 2020. 「임대차3법, 기울어진 운동장에서 세입자 권리 강화」. 한겨례 2020년 8월 3일신문기사.

31.

신용상. 2014. 「임대차시장 월세화의 정책적 함의: 수익성 저하를 중심으로」. ≪주간 금융브리프≫ 23(22), 10~11쪽.

32.

오미애·이희정·임미화·김성길·박영신·임준·나백주·이상주. 2020. 「공중위생과 도시계획(Ⅰ):도시와 감염병」. ≪도시정보≫ 457, 6~17쪽.

33.

윤주선·이근형·김승남·김유진·이명범·이왕건·최진석·이익진. 2020. 「공중위생과 도시계획(Ⅱ): COVID-19 이후의 도시정보」. ≪도시정보≫ 458, 5~16쪽.

34.

이광일. 2013. 「신자유주의 지구화시대, 프레카리아트의 형성과 ‘해방의 정치’」. ≪마르크스주의 연구≫ 10(3), 115~143쪽.

35.

이상일·이창무. 2006. 「전세와 보증부월세간 선택요인과 주거수요 편차」. ≪주택연구≫14(1), 139~163쪽.

36.

이성호. 2020. 수원형 주거복지 대상 유형화 방안 연구. 수원시정연구원 기본과제 중간발표자료.

37.

이송렬·김하나. 2020. 「‘전세의 월세화’ 본격화...임대차법 시행에 사라지는 전세」. 한국경제2020년 8월 15일 신문기사.

38.

이영아. 2017. 「불안 공간과 도시 빈곤층의 불안한 삶」. ≪공간과 사회≫ 27(4), 79~109쪽.

39.

이우종. 2020. 「도시계획과 공중위생」. ≪도시정보≫ 457, 4~5쪽.

40.

이정민·황승진. 2018. 「최저임금 인상이 임금분포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제의 분석≫24(2), 1~42쪽.

41.

이진경. 2012. 「프롤레타리아트와 프레카리아트: 정규직 노동자와 비정규직 노동자의 비대칭성에 관하여」. ≪마르크스주의 연구≫ 9(1), 173~201쪽.

42.

이진희. 2020. 「언택트 일상화에 따른 도시공간 이용 패턴 변화와 도시계획 대응」. ≪국토≫464. 15~20쪽.

43.

이창무. 2014. 「민간임대주택시장의 변화추세와 장기전망」. ≪공간과 사회≫ 48, 83~135쪽.

44.

임세희. 2016. 「주거비 과부담 결정요인」. ≪한국사회복지학≫ 68(3), 29~50쪽.

45.

임세희·박경하. 2017. 「유형별 주거빈곤가구의 차이: 최저주거기준 하위기준미달, 주거비 과부담, 중복주거빈곤가구」. ≪한국사회정책≫ 24(4), 31~62쪽.

46.

장세훈. 2005. 「현단계 도시빈곤의 지속과 변모: ‘신빈곤’ 현상에 대한 탐색」. ≪경제와 사회≫ 66, 95~125쪽.

47.

정건섭·김성우·배정환. 2018. 「주택 임대시장의 월세화 진행과정에서 점유형태의 변화 요인분석」. ≪정책분석평가학회보≫ 28(2), 165~183쪽.

48.

정원오·김수현. 1999. 「한국의 노숙원인에 관한 연구」. ≪서울시정연구≫ 7(1), 69~90쪽.

49.

조명래. 1995. 「도시경제구조의 변화와 새로운 도시빈곤의 등장」. ≪도시연구≫ 1, 75~130쪽.

50.

조명래. 1997. 「신빈곤에 관한 시론」. ≪경제와 사회≫ 34, 219~242쪽.

51.

조판기·민범식·손경환·박세훈·김성수·김재철·김동근·서민호·이승욱·박근현·이지은, 2013. 『생활인프라 실태의 도시간 비교분석 및 정비방안』. 안양: 국토연구원.

52.

주현태·황석준·이창무. 2017. 「저소득 임차가구 가구특성이 보증금 비중 선택 및 주거비 부담에 미치는 영향」. ≪국토계획≫ 52(7), 121~139쪽.

53.

최병호·김미곤·노대명·이현주·박능후·신명호. 2004. 「신빈곤의 현황과 대책에 대한 좌담회」. ≪보건복지포럼≫ 89, 4~36쪽.

54.

허진욱·정성태·안미성·양지성. 2020. 『Week Ahead: Great Lockdown and Grand Reopening』. 서울: 삼성증권.

55.

홍경준. 2004. 「빈곤에 대한 동태적 분석: 빈곤주기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24, 187~210쪽.

56.

Banki, S. 2013. “Precarity of Place: A Complement to the Growing Precariat Literature.”Global Discourse 3(3-4), pp. 450~463.

57.

Breman, J. 2013. “A Bogus Concept?” New Left Review 84, pp. 130~138.

58.

California. 2020. Tenant, Homeowner, and Small Landlord Relief and Stabilization Act of 2020, California Assembly Bill No. 3088. http://leginfo.legislature.ca.gov/faces/billNavClient.xhtml?bill_id=201920200AB3088

59.

Chaudhuri, S. 2003. Assessing Vulnerability to Poverty: Concepts, Empirical Methods and Illustrative Examples.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60.

Desmond, M. 2016a. Evicted: Poverty and Profit in the American City. New York: Crown Publishing Group.

61.

Desmond, M. 2016b. Milwaukee Area Renters Study User’s Guide. Harvard Dataverse.

62.

Desmond, M. 2016c. Milwaukee Area Renters Study Instrument. Harvard Dataverse.

63.

Desmond, M., & Gershenson, C. 2016. “Housing and Employment Insecurity among the Working Poor.” Social Problems 63, pp. 46~67.

64.

Desmond, M. Gershenson, C., & Kiviat, B. 2015. “Forced Relocation and Residential Instability among Urban Renters.” Social Service Review 89(2), pp. 227~262.

65.

Desmond, M., & Shollenberger, T. 2015. “Forced Displacement From Rental Housing:Prevalence and Neighborhood Consequences.” Demography 52, pp. 1751~1772.

66.

Doran, K. Cha, S. Cho, R. DiPietro, B. Gelberg, L., & Kushel, M. 2020. “Housing as Health Care during and after the COVID-19 Crisis.” https://deepblue.lib.umich.edu/bitstream/handle/2027.42/154767/Doran%20main%20article.pdf?sequence=1

67.

Farha, L. 2020. COVID-19 Guidance Note: Protecting renters and mortgage payers. United Nations Human Rights Special Procedures.

68.

Hartman, C., & Robinson, D. 2003. “Evictions: The Hidden Housing Problem.” Housing Policy Debate 14(4), pp. 461~501.

69.

IMF(International Monetary Fund). 2020. World Economic Outlook: The Great Lockdown. Washington, DC, April.

70.

Kochhar, R., & Passel, J. 2020. Telework may save U.S. jobs in COVID-19, especially among college graduates. Washington: Pew Research Center.

71.

Long, J. 1997, Regression Models for Categorical and Limited Dependent Variables, California: SAGE Publishing.

72.

Louviere, J. Hensher, D., & Swait, J. 2000. Stated Choice Methods: Analysis and Application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73.

Marlene, K. 1998. “The Working Poor: Lousy Jobs or Lazy Workers.” Journal of Economic Issues 32(1), pp. 65~78.

74.

Maroto, M., & Pettinicchio, D. 2020. An unequal labor market means that Covid-19 has been especially harmful for vulnerable groups including people with disabilities. USApp – American Politics and Policy Blog. 21 May 2020.

75.

Room, G. Lawson, R., & Laczko, F. 1989. “‘New Poverty’ in the European Community.”Policy & Politics 17(2), pp. 165~176.

76.

Standing, G. 2011. The Precariat: The New Dangerous Class. London: Bloomsbury Academic.

77.

Standing, G. 2014. “Understanding the Precariat throuugh Labour and Work.” Develop ment and Change 45(5), pp. 963~980.

78.

The Lancet. 2020. “Redefining Vulnerability in the era of COVID-19.” Lancet 395, p. 1089.

79.

Thomson Reuters Practical Law. 2020. COVID-19: Commercial and Residential Tenant Eviction Moratoriums Select State and Local Laws Tracker (US). https://content. next.westlaw.com/Document/I50fd3ae86ac711eaadfea82903531a62/View/FullText.html?originationContext=document&transitionType=DocumentItem &contextData=(sc.Default)&firstPage=true&bhcp=1

80.

Waite, L. 2009. “A Place and Space for a Critical Geography of Precarity?” Geography Compass 3(1), pp. 412~433.

Space and Envir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