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Space and Environment

  • P-ISSN1225-6706
  • E-ISSN2733-4295
  • KCI

Alternative ‘Doing Home’ Practices of Single Young Korean Women through ‘Living Together’

Space and Environment / Space and Environment, (P)1225-6706; (E)2733-4295
2021, v.31 no.3, pp.48-90
https://doi.org/10.19097/kaser.2021.31.3.48

Abstract

본 논문은 20대, 30대 비혼여성들이 근대적 공·사 구분과 규범적 시공간성에 의해 구획되는 도시·주거환경 속에서 어떤 이유로, 그리고 어떤 방식으로 함께살기(living together)를 실천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이 같은 실천들은 도시·주거환경 속에서 어떤 함의가 있는지를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문제의식은 정책 과정이나 주류 담론 속에서 ‘비혼’이 종종 ‘혼자 사는 것’ 혹은 ‘임시의 것’으로만 여겨지는 세태에서 출발했다. 즉 이 연구는 비혼여성들의 함께살기 실천을 통해 ‘비혼’의 ‘독거 아님’과 ‘지속적임’의 가능성을 보다 적극적으로 파헤치려는 시도이다. 규범적 시공간성의 촘촘한 영향력 아래에서 비혼여성들에게 적절한 주거공간으로 제공되는 선택지는 많지 않다. 이러한 세태 속에서 비혼여성들은 규범적 시공간성의 틈새를 벌리고, 기회를 보고, 또 새로운 공간성을 마련하기 위해 분투하고 노력할 수밖에 없다. 이때 어떤 여성들은 혼자가 아닌 함께 사는 것을 선택하기도 한다. 이 연구를 통해 혼자 살지 않고 다양한 방법으로 다른 사람들과 주거공간을 공유하며 살아가는 이들이 정상가족의 테두리 바깥에서 어떻게 살아가는지, 이들이 집을 어떻게 의미화해내는지 살펴본다.

keywords
single women, living together, young women, doing home, alternative housing, 비혼, 함께살기(living together), 청년 여성, 집 꾸리기(doing home), 대안 주거

Reference

1.

권민지. 2018. 「‘내 집’만들기 주거불안계급 청년 여성의 공간전략」. 《공간과 사회》, 65권, 271–301쪽.

2.

권은경. 2015. 「여성친화공간 조성을 위한 비혼여성 전용 아파트 계획안」. 한양대학교 건축대학원.

3.

김순남. 2016. 「이성애 비혼여성으로 살아가기: 지속가능한 비혼, 젠더, 친밀성」. 《한국여성학 32》, 32권, 181–217쪽.

4.

김지유, 조희선. 2018. 「성인 비혼 남녀의 비혼 유형 관련요인 탐색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23권 3호, 208-228쪽.

5.

김하나, 황선우. 2019.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고양: 위즈덤하우스.

6.

김혜경. 2017. 「‘가족 이후’의 대안적 친밀성: 비혼 청년층의 공동주거 사례를 통해본 돌봄과 우정의 공동체 실험」, 《한국사회학》, 51권 1호, 155-198쪽.

7.

나영정, 2012. 「주거권과 가족상황차별」. 《월간 복지동향》, 163권, 46-52쪽

8.

박미선. 2018. 「국토정책 Brief」, 국토연구원.

9.

백미록. 2015. 「주거 불안을 통해 본 2,30대 비혼 여성의 주체성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서원기. 2010. 「해방이후 거실중심형 주택의 형성과정에 관한 연구: 1957~1980년서울에 건설된 중규모 도시주택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송제숙. 2016. 『혼자 살아가기: 비혼여성, 임대주택, 민주화 이후의 정동』. 파주:동녘

12.

안숙영. 2018. 「돌봄노동의 여성화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여성학》, 34권 2호, 1–32쪽.

13.

울프, 버지니아(Virginia Woolf). 2006. 『자기만의 방』. 이미애 옮김. 서울: 민음사.

14.

전남일, 양세화, 홍형옥. 2009. 『한국 주거의 미시사』. 파주: 돌베게.

15.

정민우, 이나영. 2011. 「‘가족’의 경계에 선 청년세대 :성별화된 독립과 규범적 시공간성」. 《경제와사회》, 89호, 105–145쪽.

16.

정성훈. 2011. 「현대 도시의 삶에서 친밀공동체의 의의」. 《철학사상》, 41권, 347-377쪽.

17.

조민정. 2011. 「서울시 도시형 생활주택 원룸형 주거의 계획특성 및 개선방안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20권, 156–166쪽.

18.

줄레조, 발레리(Valerie Gelezeau). 2007. 『아파트 공화국: 프랑스 지리 학자가 본 한국의 아파트』. 길혜연 옮김. 서울: 후마니타스.

19.

진희선, 전남일. 2001. 「다가구, 다세대 주택 공급의 공과와 개선방향」.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계획계》, 21권 2호, 15-18쪽.

20.

최서아. 2018. 「1인 가구를 위한 소규모 셰어하우스 디자인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하성규. 2000. 「공동주택 대량공급에 따른 주거규범의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개발학회지》, 12권 3호, 123–146쪽.

22.

Bowlby, S., Gregory, S., McKie, L.. 1997. ““Doing home”: Patriarchy, caring, and space.“Women’s Studies International Forum, Concepts of Home 20, pp. 343–350.

23.

Halberstam, J., 2005. “In a queer time and place: Transgender bodies, subcultural lives.”NYU press.

24.

McDowell, L., 1983. “Towards an understanding of the gender division of urban space.”Environment and planning D: Society and Space 1, pp. 59–72.

25.

McDowell, L., Massey, D., 1984. “A woman’s place.” Geography matters, pp. 128–47.

26.

West, C., Zimmerman, D.H., 1987. “Doing gender.” Gender & society 1, pp. 125–151.

27.

White, Naomi Rosh. 2002. “‘Not Under My Roof!’: Young People’s Experiences of Home.”Youth and Society, 34(2): pp. 214~231.

28.

경서, 초롱. 2019. “돈없고 집없고 가족없는 여성들의 ‘함께/살기’ 전략.” https://blogs.ildaro.com/3571(2019. 9. 1.).

29.

홍상지. 2017. ““지금 나는 충분히 행복합니다” 목소리 내기 시작한 비혼 여성들”. https://news.joins.com/article/21729708(2019. 9. 1.).

30.

통계청, 2020, 2020년 사회조사 결과 보도자료

31.

“결혼? 비혼? 나는 어떻게 살아야 할까?_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위즈덤하우스 인터뷰 영상, 2019년 3월 22일.

Space and Envir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