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5-6706
  • E-ISSN2733-4295
  • KCI

커먼즈 정치 관점에서 본 한국사회 길과 보행의 변화: 192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를 중심으로

Changes in Korean Society’s Roads and Walking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olitics of the Commons: Focusing on the 1920s to the 1990s

공간과 사회 / Space and Environment, (P)1225-6706; (E)2733-4295
2022, v.32 no.2, pp.323-392
https://doi.org/10.19097/kaser.2022.32.2.323
황명주 (서울대학교)
윤순진 (서울대학교)

초록

이 연구에서는 한국사회의 열악한 보행환경의 원인을 커먼즈 정치 관점에서 탐색한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의 근대적 대중교통 이용이 본격화된 1920년대부터 보행환경을 개선·차별화한 아파트단지가 출현한 1990년대까지 언론기사를 담론분석하여, 근대화 과정에서 커먼즈로서의 길과 보행의 의미가 사회적으로 재구성된 과정과 원인을 분석하였다. 근대 교통수단의 도입으로 종래 커먼즈로 존재해왔던 길은 변화를 겪게 되었다. 1960~1980년대 개발시대에는 길과 보행에 대한 근대적 의미 변용이 이루어지며 ‘길=통행’으로 의미가 축소되었다. 이러한 의미 축소의 원인은 크게 세 가지로, 길에서의 ‘생활혁명’ 요구, 권위주의 국가의 폭력적 공간화, 경제성장 중심주의였다. 1990년대 이후에는 보행권 운동과 함께 커먼즈로서의 길과 보행의 회복이, 다른 한편으로는 아파트단지를 중심으로 근린주거지역의 보행환경 양극화와 커먼즈 왜곡이 진행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길과 보행의 의미가 사회적으로 재구성되는 과정을 추적함으로써, 향후 보행환경 개선을 위한 상상력을 제고하는 데 의의를 둔다.

keywords
Commons, the Politics of the Commons, Road, Walking, Discourse Analysis, Apartments, 커먼즈, 커먼즈 정치, 길, 보행, 담론분석, 아파트

Abstract

This study explores the causes of poor walking environment in Korean societ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olitics of the commons. To this end, media articles were analyzed from 1920s, when the use of modern transportation began in earnest, to 1990s, when some new apartment complexes with improved and differentiated pedestrian environment appeared in Korea. Through a discourse analysis on media articles, the process and causes of socially reconstructed meaning of the roads as the commons and walking on the roads in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in Korea were examined. With the introduction of modern public transportation, the road that used to exist as a commons has undergone changes. In the development era of the 1960s and 1980s, the modern meaning of roads and walking was changed, and the meaning was reduced to ‘road = passage.’ There were three main reasons for this reduction in meaning: the demand for a ‘life revolution’ on the road, the spaced violence by the authoritarian state, and growth-centric economic development. After the 1990s, the roads as a commons were restored along with the pedestrian rights movement. On the other hand, the polarization of the pedestrian environment and distortion of the commons in neighboring residential areas were found mainly in the newly constructed apartment complexe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clarifying the socially reconstructed process of the meaning of roads as commons and enhancing imagination to improve the walking environment in the future.

keywords
Commons, the Politics of the Commons, Road, Walking, Discourse Analysis, Apartments, 커먼즈, 커먼즈 정치, 길, 보행, 담론분석, 아파트

공간과 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