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 ENGLISH
  • P-ISSN1229-067X
  • E-ISSN2734-1127
  • KCI

노인의 꿈 경험에 관한 탐색적 연구* -상담 장면에서의 꿈 활용가능성을 중심으로-

A Research on the Dream Experienced by Elderly -Focusing on the application of dream in counseling elderly-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P)1229-067X; (E)2734-1127
2013, v.32 no.3, pp.549-570
주은선 (덕성여자대학교)
신설애 (덕성여자대학교)

초록

본 연구는 노인들이 생각하는 꿈의 의미와 노인들을 대상으로 한 상담에서 꿈의 활용가능성과 효과성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합의적 질적 연구법(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CQR)을 사용하여 12명의 노인들을 대상으로 면접을 통해 그들의 꿈에 대한 경험을 탐색하였다. 분석결과 과거, 현재, 미래의 3개의 중심개념과 각각 3개의 영역, 총 24개의 범주가 구성되었다. 첫 번째 중심개념 과거에서는 노인들이 과거에 경험하였던 꿈에 대한 태도 및 경험, 그들이 가지고 있는 미해결과제 그리고 이러한 부분을 어떻게 상담에서의 활용할 수 있는가에 대한 결과가 도출되었다. 두 번째 중심개념은 현재로 현재 노인들이 꿈을 꾸는 양상과 빈도, 현실에서 꿈의 실제 적용 및 반영 그리고 상담에서의 적용으로 나뉜다. 세 번째 중심개념은 미래로 노인들이 관심을 가지고 있는 질병이나 죽음을 예견하는 흉몽에 대한 태도, 죽음에 대한 준비, 상담에서의 요구가 보고되었다. 마지막으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꿈을 통하여 노인들의 삶을 되돌아볼 수 있는 매개체로써의 꿈, 노인들을 대상으로 한 상담에서의 꿈의 활용가능성을 위한 논의가 제시되었다.

keywords
꿈, 노인상담, 합의적 질적 연구법, Dream, elderly counseling,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Abstract

This research aimed to explore the possibility and effectiveness of using dreams is counseling elderly. Using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CQR), 12 elderly were interviewed on dream experience. Based on the analysis, three core ideas, three domains in each core ideas and 24 categories were drawn. In the “Past” core idea, “Attitude on past dreams”, “Unfinished issues” and “Application in counseling” domains were retrieved. In the “Present” core idea, “Facets and frequency of dreams”, “Reflecting the present”, and “Usage of dreams” domain were drawn. Finally in the “Future” domain, “Nightmare”, “Preparation of death” and “Request in counseling” were developed. Several suggestions were discussed for the possibility and the effectiveness of using dreams in counseling elderly.

keywords
꿈, 노인상담, 합의적 질적 연구법, Dream, elderly counseling,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참고문헌

1.

곽수인 (2006). 노인의 생활실태에 따른 상담욕구에 관한 연구. 한일장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

구본권 (1999). 한국 어머니의 태몽과 태교: 일반아동 어머니와 장애아동 어머니의 비교. 강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인문과학논집. 5(1). 215-235.

3.

권중돈 (2010). 노인복지론. 서울: 학지사.

4.

김기태, 최송식, 박미진 (2007). 노인의 심리사회적 자원과 스트레스 및 우울과의 관계. 한국노인복지학회: 노인복지연구, 36, 91- 112.

5.

김영건 (2004). 꿈에 대한 심리학적 및 생리학적 고찰. 협성대학교 신학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6.

김지희 (2002). 회상요법을 통한 집단미술치료가 노인의 우울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7.

김태식 (2006). 노인상담 서비스전달체계 인식에 관한 연구. 광운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8.

김태원 (2010). 노인상담 욕구에 관한 연구. 한서대학교 정보산업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9.

노경란 (1984). 자기노출과 정신건강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노병일, 모선희 (2007). 사회적 지지의 수준과 차원이 노인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회: 한국노년학, 27(1), 53-69.

11.

도복름, 최영숙 (2003). 치매와 회상을 적용한 미술치료, 김천과학대학 논문집 29, 11-26.

12.

문은숙 (2003). 노인상담의 실태와 요구에 관한 연구. 제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3.

송혜원 (2011). 노인의 생활실태가 상담욕구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 우송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4.

안이환 (2002). 상담에서의 꿈. 한국심리학회: 상담 및 심리치료, 연차학술발표대회 논문집. 393-398.

15.

여인숙, 김춘경 (2006). 노년기 자아통합감에 관련된 심리사회적 요인 분석. 한국사회보장학회: 사회보장연구, 22(2), 79-104.

16.

유 경, 민경환 (2003). 노년기 정서 경험과 적응의 특성: 정서최적화.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2(2), 81-97.

17.

윤 진 (1999). 성인․노인심리학. 서울: 나눔의 집.

18.

윤 황, 이영호 (2011). 한국인의 전형적인 꿈 경험.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0(4), 1213- 1229.

19.

이효선 (2008). 노인상담과 연구. 서울: 신정.

20.

정선남 (2005). 인생회고프로그램이 노인의 죽음불안도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원격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1.

정채주 (2001). 자기성장 집단상담이 노인의 자기표출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정철환 (2011. 8. 23). 2명 중 1명이 빈곤층… 노인 삶 OECD 중 최악. 2012.6.12., http:// 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1/08/23/2011082300194.html 에서 인출

23.

주은선 (1998). 한국심리치료자들의 치료적 관계: 서구 문화적 심리치료자들과의 비교 연구.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7(1), 39-56.

24.

최금주 (2009). 노인의 영적 웰빙이 자아통합과 죽음불안에 미치는 영향. 대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5.

최명균 (2012). 노인상담에서 상담자의 역전이 경험. 백석대학교 기독교전문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6.

통계청 (2011) 2010고령자 통계. 대전: 통계청.

27.

Adler, A. (1956). The individual psychology of Alfred Adler. Edited by H. L. A. and R. Ansbacher. New York: Haper Torchbooks.

28.

Erikson, E. H. (1997). The life cycle completed. New York: W. W. Norton

29.

French, T., & Fromm. E. (1964). Dream interpretation: A new approach. New York: Basic Books.

30.

Freud, S. (1972). Die Traumdeutung, in: Sigmund Freud Studienausgabe, BD II. hrsg. von Alexander Mitscherlich, angela richards und james strachey. Frankfurt am Main: S. Fischer Verlag.

31.

Hill, C. E. (2010). 꿈치료: 탐색․통찰․실행의 촉진.(주은선, 주은지 역). 서울: 학지사. (원저 2004년 출판)

32.

Hill, C. E. (2013). 합의적 질적 연구.(주은선 역). 서울: 학지사. (원저 2011년 출판). 미출판원고.

33.

Jourard, S. M., & Lasakow, P. (1958). Some factors in self-disclosure. Journal of Abnormal and Social Psychology, 56, 91-98.

34.

Jung, L. (2001). C. G. Jung. Traum und Traumdeutung. München: Deutscher Taschenbuch Verlag.

35.

Moss, R. (2010). 꿈의 힘: 꿈 우연 그리고 상상의 역사.(신현경 역). 서울: 수막새. (원저출판 2009년)

36.

Perls, F. (1970). Dream seminars. In J. F. Shepherd &I. L. Shepherd(Eds.), Gestalt therapy now. New York: Harper.

37.

Szmigielska, B., & Holda, M. (2007). Students'Views on the Role of Dreams in Human Life. Dreaming, 17(3), 152-158.

한국심리학회지: 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