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Reading of the Novels of Kang Kyoung-Ae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06, v.0 no.16, pp.353-373
Kyoung-Soo Kim
  • Downloaded
  • Viewed

Abstract

이 글은 강경애의 장편소설에 대한 기존의 해석의 빈틈을 문제삼는다. 강경애의 장편소설의 경우 그것이 과연 작가의 젠더의식을 고스란히 구현하고 있는가? 기존의 지배적인 논의가 페미니스트적 텍스트에 대한 페미니스트적 전망에서 도출된 독해라면, 동일한 작품을 다른 각도, 이를테면 남성비평 phallic criticism의 전망에서 볼 경우 작품의 의미가 어떻게 달리 읽혀질 수 있는가 하는 점 등이 문제의식인 셈이다. 강경애의 『인간문제』는 이야기-선의 전개상 중심인물을 남성 주인공인 첫째로 상정할 수 있는 충분한 근거가 있으며, 또 그렇게 해석하는 것이 여성인물 중심으로 해석했을 때보다 훨씬 자연스럽다. 그리고 『어머니와 딸』의 이야기 또한 개연성의 측면에서나 소설의 핍진성의 측면에서 남성 인물인 봉준의 인물화가 훨씬 안정적이다. 비록 이 두 편에서 여성문제가 중요한 주제적 국면을 이루고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그것은 여러 의미망 가운데 하나일 뿐, 여러 주제들을 통합하고 주도하는 상위수준의 주제는 되지 못한다. 위와 같은 해석은 문학연구에 있어서 작가의 젠더와 젠더의식의 일치를 자명한 것으로 간주하는 해석이 놓칠 수 있는 작품의 의미영역을 드러내주는 예로서 충분한 근거를 제공한다. 이런 결과는 이 두 편의 소설이 작가의 현실 경험을 토대로 쓰인 것이라기보다는 개인적인 독서체험으로부터 씌어졌을 가능성을 보여준다. 그리고 이때 강경애의 독서체험의 원천이 되어주었던 작품들은 시기적으로 볼 때 거의 대부분 춘원과 김동인, 그리고 염상섭과 장혁주 등과 같은 남성작가의 작품이었을 가능성이 크다. 인물화 및 장면화의 유사성이 그에 대한 한 증거다. 이런 정황을 감안해볼 때 강경애 소설이 남성중심적인 전망을 강하게 내보이고 있는 것은 어쩌면 매우 자연스러워 보인다. 강경애가 놓였던 이런 문제적인 독서체험의 상황은 아마도 1930년대에 활동했던 상당수 여성작가들의 문학적 환경이기도 했을 것이다. 식민지 시대 여성작가들의 문학적 수련의 성격과 본질에 관한 연구가 향후 여성문학 연구의 긴요한 과제일 수밖에 없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keywords
젠더의식, 남성비평, 여성문학, 페미니스트적 전망, 독서체험, 가부장제, gender-consciousness, feminist reading, phallic criticism, patriarchy

Reference

1.

일제시대 여성문학에 나타난 구여성의 정체성에 관한 연구,

2.

(2003) 1930년대 소설과 근대성의 지형학,

3.

(1995) 유사남성적 언술과 ‘젠더’의식의 착종,

4.

(1992) 「강경애의 <인간문제>」,

5.

(2001) 1930년대 경향소설의 이중서사 연구-이기영의 고향과 강경애의 인간문제를 중심으로, 서강대 대학원

6.

The Reader's Construction of Meaning,

7.

(1996) seismic orgasm-Sexual Intercourse and Narrative Meaning in Mina Roy,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