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Mechanism of Subjectivation and Gender Dynamics in Poetryabout 'the 5.18 Gwangju Democratic Uprising'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07, v.0 no.17, pp.31-73

  • Downloaded
  • Viewed

Abstract

이 글은 오월광주-시의 주체화 메커니즘을 젠더적 관점에서 접근하여 그 의 미를 규명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첫 번째로는 화자의 두드러진 존재감과 언어 의 상징적.은유적 기능이 복합적으로 연관되는 양상을 살폈다. 이념-공간으로 서의 ‘광주’와 가족화된 여성 어휘는 상호지시적 관계를 통해 ‘시적 오월광주’라 고 할 만한 세계를 창출한다. 이때 '여성'은 오월광주를 의미화.언어화하는 주체에서 배제된다. 다음으로는 5월 비극의 전형으로서 ‘젖가슴이 잘린 여학생’과 ‘대검에 찔려 죽은 임산부’가 가장 자주, 그리고 반복적으로 선택되는 이유를 검토하였다. ‘젖 가슴이 잘린 여학생’을 표상하는 데에는 일차적으로 성적 순결함에 대한 이념 이, 그리고 ‘대검에 찔려죽은 임산부’의 표상에는 가부장적 정상 가족에 대한 이데올로기가 개입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때 국가권력에 저항하는 정치적 주체화는 가족을 보호하는 가부장적 주체화 과정과 동일시된다. 젠더 정치학의 관점에서 볼 때 오월광주-시는 보수적인 경향을 지닌다. 가 족 이데올로기는 텍스트 전체를 관할하는 강한 구심력으로 작동하며 공/사 영역에 남성/여성을 배치한다. 마초적인 당대 지배권력에 대한 저항은, 그 지배권력의 작동 기제를 일부 복사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으로 볼 수 있었다. 고정희의 .프라하의 봄 8.은 이 아이러니를 넘어서는 가능성을 제시하는 시이다. 오월광주에 대한 일정한 해석과 의미 부여를 거부하는 이 시는, 오월광주를 의미 화하는 주체들이 피하고 싶어 한 ‘외상적 중핵’을 보여준다.

keywords
광주민중항쟁, 오월광주, 오월광주-시, 주체, 주체화, 젠더, 젠더 정치학, the 5.18 Gwangju Democratic Uprising, gender-politics, subjectivation, patriarch, poetry, the 5.18 Gwangju Democratic Uprising, gender-politics, subjectivation, patriarch, poetry

Reference

1.

(1987) 누가 그대 큰 이름 지우랴,

2.

(1990) 고은 외 하늘이여 땅이여 아아,

3.

(1990) 마침내 오고야 말 우리들의 세상,

4.

(2000) 꿈, 어떤 맑은 날, 이룸

5.

(1985;) 나는 첫 아이였어요 누가 그대,

6.

(1986;) 고 은 5월이 가면 시여 날아가라 누가 그대,

7.

(1986;) 프라하의 봄 8 누가 그대,

8.

(1987;1987;) 누가 그대 나의 칼 나의 피 하늘이여 땅이여,

9.

(1984;) 국밥과 희망 누가 그대,

10.

(1980) 아아 광주여! 우리나라의 십자가여! 누가 그대,

11.

(1986;) 여자의 사랑은 총알보다도 더 멀리 날아간다 누가 그대,

12.

(1987;) 한 번 본 너의 얼굴은 우리 시대의 예수 하늘이여 땅이여,

13.

(1987) 너는 있다 우리 시대의 예수,

14.

(1986;) 누이의 헌혈가 누가 그대,

15.

(1985;) 화해에 대하여 2 누가 그대,

16.

(1987;) 망령의 노래 못다 핀 그날의 꽃들이여 누가 그대 70 여성문학연구 17,

17.

(1982) 가을 ; 누가 그대,

18.

(1990;1993) 오월이 살아 하늘이여 땅이여 너는 꽃이다 창작과 비평사,

19.

(1985;) 단 한 줄의 시도 쓸 수가 없다 누가 그대,

20.

(1988;) 하늘이여 땅 이여,

21.

(1984;) 사월에서 오월로 누가 그대,

22.

(1991) 5월 여성연구회 편 광주민중항쟁과 여성 한국기독교사회문제연구원,

23.

(2004) 18 민중항쟁과 여성주체의 경험 , 경인문화사

24.

(2006) 광주5월민중항쟁 이후의 문학 18 민중항쟁과 문학, 5.18 기념재단

25.

(2005) 대한민국은 군대다―여성학적 시각에서 본 평화군사주의남성성, 청년사

26.

(2000) 세 겹의 저주 , 문학동네

27.

(2006) 5.18 시’의 문학사적 위상.5.18 민중항쟁과 문학, 5.18 기념재단

28.

(2005) 순수-민족-누이를 열망하는 서로 다른 고백 또는 콤플렉스―꽃 잎.과 .박하사탕, 나남

29.

(2000) 영상기록으로 본 왜곡과 진실,

30.

(2006) 5월의 재구성과 의미화 방식에 대한 연구 18 민중항쟁과 문 학, 5.18 기념재단

31.

(2003.10) 5월의 재구성과 의미화 방식에 대한 연구 ,

32.

오월광주 - 시의 주체 구성 메커니즘과 젠더 역학 71,

33.

(1987) 5월의 문학적 수용과 전망 누 가 그대 큰 이름 지우랴―5월광주항쟁 시선집,

34.

(1996) 5.18 그 삶과 죽음의 기록, 풀빛

35.

(2006.8) 문학의 묵시록 이후, 현대문학

36.

(1986) 오월은 푸르구나 우리들은 자란다 사람과 사람 사이의 신호,

37.

(2003) 의미를 체현하는 육체 , 인간사랑

38.

(1989) 광주봉기에 대한 혁명적 시각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