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 KOREAN
  • P-ISSN1229-4632
  • E-ISSN2733-5925
  • KCI

Park Wan-seo's Novel and Criticism: Logic of the Appreciation and Interpretation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11, v.0 no.25, pp.29-58
Sunmi Lee

Abstract

박완서는 1990년대 두 권의 자전소설 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와 그 산이 정말 거기있었을까가 나오고, 1999년 단편소설전집이 출판사 ‘문학동네’에서 발간된 이후, 새롭게 발견된듯이 문단에서 주목받기 시작한다. 그러나 1970년 나목으로 등단할 때부터 줄곧 호의적으로 평가받은 작가는 아니다. 특히 1980년대에는 여성작가이면서 대중작가이고, 소시민적 내면심리를주로 묘사하는 작가라는 점 등이 단점으로 평가되어 혹독하게 비판받기도 했다. 게다가 작품에 대한 연구도 그다지 풍성하지 않다. 자전소설로 알려진 최근의 소설과 엄마의 말뚝 에 연구가 집중되어 있으며, 많은 장편소설들과1970~80년대 단편소설들은 명성에 비해 논의가 활발히 이루어졌다고 보기는어렵다. 이 글은 박완서 소설을 긍정적으로나 부정적으로 과잉 해석한 경우를 통해 박완서 소설 해석에 내재된 지식인 사회의 담론화 양상과 사회 인식의 문제를검토한다. 따라서 이 글은 박완서 소설에 대한 연구이면서 동시에, 박완서 소설이 해석되는 한국사회의 담론적 흐름에 대한 연구이기도 하다. 나아가 박완서 소설이 한국사회의 어떤 현실적 문제를 서사적으로 재현하고 비판하는가를따져보는 자리이기도 하다. 1980년대가 작품을 폄하하는 방식으로 ‘오독’의 예를 보여주었다면, 1990년대 이후는 작품을 과도하게 신화화하는 방식으로 ‘오독’할 가능성을 내비친다. 박완서의 2009년 작품인 빨갱이 바이러스 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박완서소설은 평화, 모성, 따뜻함, 포용, 너그러움보다는 따뜻한 언어로 포장된 내면에 잠복해있는 이기심이나 상처를 ‘혐오감’, ‘고약함’ 등의 정서를 매개로 헤집어 밝혀내는 것에 더 가깝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빨갱이’라는 정체를 특수하게 구성하는 한국사회의 현실을 냉정히 성찰하려는 주제의식이 강하다. 전쟁에서 모든 것을 시작하는 작가는 마지막까지도 여전히 한국사회는 냉전이 지배적인 질서라는 점을 환기한다. 문제는 전쟁의 과정이고 전쟁을 기억/망각하게 하는 전후 사회의 성격인 것이다. 박완서 문학을 해석하는 것은 이런 전쟁의 연관성을 외면하고서는 이를 수 없는 미로이기도 하다. 박완서 문학은 한국전쟁과 한국 근현대사를 ‘아는 것’은 힘이 된다는 것을 절감하게 하는 텍스트이다.

keywords
해석, 공감, 자전소설, 오독, 사회담론, 전쟁, 근대성, 빨갱이 바이러스, 냉전, Park Wan-seo, appreciation, interpretation, autobiographical novel, social discourse, Korean-War, Korean modern history

Reference

1.

강인숙, 박완서 소설에 나타난 도시와 모성, 둥지, 1997.

2.

김동춘, 전쟁과 사회, 돌베개, 2000.

3.

김동춘, 근대의 그늘, 당대, 2000.

4.

박명림, 한국전쟁의 발발과 기원, 나남, 1996.

5.

박태균, 한국전쟁-끝나지 않은 전쟁, 끝나야 할 전쟁, 책과함께, 2005.

6.

박혜경, 박완서의 엄마의 말뚝 을 읽는다, 열림원, 2003.

7.

역사문제연구소 엮음, 1950년대 남북한의 선택과 굴절, 역사비평사, 1998.

8.

이경호, 권명아 엮음, 박완서 문학 길찾기, 세계사, 2000.

9.

이선미, 박완서 소설 연구, 깊은샘, 2004.

10.

이정희, 오정희 박완서 소설의 두 가지 풍경, 청동거울, 2003.

11.

정병준, 한국전쟁: 38선 충돌과 전쟁의 형성, 2006.

12.

시몬느 드 보부아르, 노년, 책세상, 2002.

13.

강진호, 반공주의와 자전소설의 형식 , 국어국문학 133호, 2003.5, 313~337쪽.

14.

강진호, 전쟁의 상처와 유년의 향수 , 월간 문화예술, 2004.4, 110~116쪽.

15.

권명아, 박완서 문학 연구 , 작가세계, 1994. 겨울.

16.

권명아, 추모 고 박완서 선생-작가를 기억하는 미래형 방식을 위하여: 박완서, 그녀가 남긴 것 , 작가세계, 2011. 봄, 94~102쪽.

17.

김경수, 여성 경험의 소설화와 삽화 형식 , 현대소설, 1991. 겨울, 323~333쪽.

18.

김경연, 전승희, 김영혜, 정영훈, 여성해방의 시각에서 본 박완서의 작품세계 , 여성 2호, 1988, 201~236쪽.

19.

김경원, 박완서 논쟁과 여성문학이 나아갈 길 , 말, 1991.7, 226~229쪽.

20.

김병익, 박완서, 거짓된 세상을 아프게 껴안다 , 모든 것에 따뜻함이 숨어있다, 웅진지식하우스, 2011, 266~287쪽.

21.

김수진, 전상성과 병리성의 경계에 선 모성 , 여/성이론, 1999(창간호).

22.

김양선, 오세은, 안주와 탈출의 이중심리, 오늘의 문예비평, 1991, 52~67쪽.

23.

김양선, ‘복원’과 ‘복수’의 네버엔딩 스토리 , 작가연구, 2003. 상반기.

24.

김윤식, 박완서론-망설임 없는 의식 , 우리 문학의 넓이와 깊이, 서래헌, 1979, 124~127쪽.

25.

김윤식, 천의무봉과 대중성의 근거-박완서론 , 문학사상, 1988.1, 143~162쪽.

26.

김치수, 역사의 상처와 문학적 극복-박완서 씨의 삶과 문학 , 문학과 사회, 2011. 봄, 388~397쪽.

27.

김현주, <발언>의 정신과 새로운 문화 도덕의 형성 , 박완서 문학 길찾기, 세계사, 2000, 146~165쪽.

28.

김형중, ‘집’과 ‘근대’-박완서 장편소설 그 남자네 집과 공지영 소설집 별들의 들판 , 문학동네, 2005. 봄, 402~416쪽.

29.

박완서, 신형철 대담, 우리들의 마음 공부는 계속됩니다 , 문학동네, 2008. 봄, 48~69쪽.

30.

박혜경, 겉멋과 정욕 , 그 여자네 집, 문학동네, 319~337쪽.

31.

백낙청, 사회비평 이상의 것 , 창작과비평, 1979. 여름.

32.

백지연, 황혼의 삶을 향한 따뜻한 시선 , 동서문학, 1999. 봄, 302~307쪽.

33.

류보선, 고통의 기억, 기억의 고통 , 문학동네, 1998. 봄.

34.

서영채, 사람다운 삶에 대한 갈망 , 박완서 단편소설 전집 3 아저씨의 훈장, 문학동네, 1999, 365~385쪽.

35.

신수정, 증언과 기록에의 소명 , 소설과사상, 1997. 봄, 227~246쪽.

36.

유종호, 고단한 세월 속의 젊음과 중년 , 창작과비평, 1977. 가을, 214~220쪽.

37.

염무웅, 사회적 허위에 대한 인생론적 고발 , 세계의 문학, 1977. 겨울.

38.

오생근, 한국 대중문학의 전개 , 권영민 엮음, 해방 40년의 문학4, 민음사, 1977(발표년도도 1977), 22~242쪽.

39.

이동하, 집없는 시대의 꿈 , 세계의 문학, 1982. 겨울, 238~247쪽.

40.

이동하, 한국 대중소설의 수준 , 집 없는 시대의 문학, 정음사, 1985.

41.

이선미, 세계화에 탈냉전에 대응하는 소설의 형식:기억으로 발언하기 , 박완서 소설 연구, 깊은샘, 2004, 403~432쪽.

42.

이선미, 1960년 전후 (성)문화풍속과 ‘사랑’의 사회성 , 상허학보, 2010.6, 411~432쪽.

43.

이선미, 한 길 사람 속을 파헤치는 소설-분단/냉전의 문화와 마음의 흔적 , 실천문학 2011. 봄, 264~281쪽.

44.

이선영, 세파 속의 생명주의와 비판의식 , 그 가을의 사흘동안, 나남, 1985, 411~425쪽.

45.

이선옥, 박완서 소설의 다시쓰기 , 실천문학, 2000. 가을, 53~67쪽.

46.

임규찬, ‘자아’를 넘어선 ‘자기의 우주’ , 창작과비평, 1999. 봄.

47.

전흥남, 박완서 노년 소설의 담론 특성과 문학적 함의 , 국어문학 42집, 2007.2, 33~66쪽.

48.

조한혜정, 박완서 문학에 있어 비평이란 무엇인가 , 작가세계, 1991. 봄, 97~144쪽.

49.

최경희, <엄마의 말뚝1>과 여성의 근대성 , 민족문한가연구 9호, 1996.

50.

최성실, 자, 이제 희망에 대해서 말씀드리지요 , 문예중앙, 1999. 봄.

51.

홍정선, 한 여자 작가의 자기사랑 , 역사적 삶과 비평, 문학과지성사, 1986.

52.

황광수, 민족문제의 개인주의적 굴절 , 창작과 비평, 1985. 가을, 269~282쪽.

53.

황도경, 정체성 확인의 글쓰기 , 이화어문논집, 1994, 623~667쪽.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