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229-4632
냉전 시기를 단지 근대화(성) 시기로만 간주하면 여러 가지 오류가 발생할수 있다. 냉전 체제의 ‘차이’가 소거된다는 점, 서구적 근대화(성)에 대한 의식적ㆍ무의식적 지향성이 포착된다는 점, 신식민적 제 특성이 은폐된다는 점이다. ‘냉전 미학’은 냉전 체제 하에서의 예술적 지향성 및 서사적 특성을 담론화하는 미학적 장치를 총칭하는 개념이다. 신식민성을 배제하지 않으면서, 지배(종속)와 저항의 양면을 고찰하고 담론화 과정에 비판적으로 접근하기 위해고안된 개념이다. 해방 후-1950년대 신문소설의 감각화, 사적 영역화, 젠더화, 무논리성ㆍ즉자성, 극단적인 이분법이라는 내적 형식들은 냉전체제의 문제를 ‘제시’해 주기보다 ‘은폐’하였고, 신식민적 타자들을 양산하는데 더 기여하였다. 이러한 방법하에 특히 여성(성)은 ‘내부 냉전’ 요소로 확대ㆍ배치되었으며, 이 과정에서 냉전-분단이 남성의 노이로제였음도 확인시켜 주었다. 당시의 신문소설은 냉전의 다양한 국면을 반영하면서 냉전 미학을 창출해보여 주었다. 체제경쟁, 이념경쟁, 이분법적 대립, 내부 냉전 요소 만들기, 특정주제 다루지 않기, 특정 주제 극단화 하기, 냉전에 대한 풍자 결여 등 당시의신문소설은 비정치적 형태의 위장된 냉전 무기였다. 당시 신문소설의 계몽구조는 신식민적 타자의 생산을 통한 계몽구조였다. 이는 잡지 소재의 단편이나장편, 전작 장편의 서사전략과 다른 것이었다. 냉전 미학은 내적 형식을 통해‘여성성’을 가장 근본적인 냉전 요소로 배치하였고, 냉전 미학에서 ‘젠더’는 기본모순의 핵심이었다.
김남천, 1945년 8ㆍ15(자유신문 1945.10.15-1946.6.28),
염상섭의 효풍 (자유신문 1948.1.1-11.3),
취우(조선일보 1952.8.1-1953.2.10,을유문화사, 1954),
김동리의 해방(동아일보1949.9.1-1950.2.16),
김광주의 태양은 누구를 위하여(경향신문 1951.12.1-1952.4.1,백아사, 1952),
석방인(경향신문 1953.7.10-12.30, 대영당, 1954),
최정희의 녹색의 문(서울신문 1953.2.25-7.8, 정음사, 1954),
정비석의 청춘산맥(경향신문 1950.1.1-6.25, 문성당, 1952)
자유부인(서울신문 1954.1.1-8.6, 정음사, 1954, 영화화)
민주어족(한국일보 1954.12.10-1955.8.8, 정음사, 1955)
낭만열차(한국일보 1956.4.25-11.24, 동진문화사, 1958, 영화화)
슬픈 목가(동아일보 1957.3.1-7.27, 춘조사, 1957)
유혹의 강(서울신문1958.2.1-10.29, 신흥출판사, 1958),
박계주의 진리의 밤(경향신문 1948.10.1-1949.4.23, 평범사, 1952),
별아 내 가슴에(서울신문 1954.11.2-1955.5.2, 영화화),
김말봉의 생명(조선일보1956.11.28-1957.9.16, 동인문화사, 1957)
푸른 날개(조선일보1954.3.26-9.13, 형설문화사, 1954) ,
김내성의 애인(경향신문1954.10.1-1955.6.30, 육영사, 1955.)
실낙원의 별(경향신문1956.6.1-1957.7.25, 정음사, 1957),
박화성 고개를 넘으면(한국일보 1955.8.9-1956.4.23, 동인문화사, 1956, 영화화)
사랑(한국일보 1956.11.25-1957.9.15, 동인문화사, 1957)
내일의 태양(경향신문 1958.6.1-12.14, 영화화),
안수길의 제2의 청춘(조선일보1957.9.17-1958.6.14, 일조각, 1958),
박영준의 태풍지대(서울신문 1957.7.15-1958.1.31, 민중서관, 1958),
장덕조의 격랑(경향신문 1957.12.1-1958.5.31, 신태양사, 1959).
한무숙의 빛의 계단(한국일보 1959.9.6-1960.2.6, 현대문학사, 1960),
안수길의 부교(동아일보1959.7.21-1960.4.1, 한국영배주식회사, 1960)
강웅경 외, 감각하는 인간 , 한양대 출판부, 2003.
구모룡 외, 파시즘 미학의 본질 , 예옥, 2009.
권보드래 외, 아프레걸. 사상계를 읽다 , 동국대학교 출판부, 2009.
김광열 외, 패전 전후 일본의 마이너리티와 냉전 , 제이앤씨, 2006.
김덕호ㆍ원용진 엮음, 아케리카나이제이션 , 푸른역사, 2008.
박찬표, 한국의 국가형성과 민주주의-냉전 자유주의와 보수적 민주주의의기원- , 후마니타스, 2007.
성공회대 동아시아연구소 편, 냉전 아시아의 문화풍경 1 , 현실문화, 2008.
이영미 외, 김내성연구 , 소명출판, 2011.
정근식 편, (탈)냉전과 한국의 민주주의 , 선인, 2011.
조정민, 만들어진 점령서사 , 산지니, 2009.
조희연 편, 한국의 정치사회적 지배담론과 민주주의 동학 , 함께 읽는 책,2003.
마루카와 데쓰시, 장세진 옮김, 냉전문화론 , 너머북스, 2010.
베른트 슈퇴버, 최승완 옮김, 냉전이란 무엇인가-극단의 시대 역사비평사,2008.
팀 에덴서, 박성일 옮김, 대중문화와 일상, 그리고 민족정체성 , 이후, 2002.
김동윤, 「1950년대 신문소설연구」, 제주대 박사논문, 1999, 1-234쪽.
김복순, 「해방 후 대중소설의 서사방식(상)」, 인문과학연구 19집, 명지대인문과학연구소, 1999, 33-60쪽.
김복순, 「낭만적 사랑의 계보와 서사원리로서의 젠더」, 어문연구 151호,2011, 285-317쪽
김복순, 「해방 후 대중성의 재편과 젠더 연관」, 여성문학연구 제26호,2011, 225-271쪽.
김복순, 「1950년대 박화성 소설에서의 대중성의 재편과 젠더」, 대중서사연구,제26호, 2011, 229-260쪽.
김성수, 「박계주의 대지의 성좌 연구」, 현대문학의 연구 29, 2006,287-320쪽.
김은하, 「전후 국가근대화와 위험한 미망인의 문화정치학-정비석의 우혹의 강을 대상으로」,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49집, 2010, 211-229쪽.
안미영, 「김말봉의 전후 소설에서 선ㆍ악의 구현양상과 구원 모티ㅂ프」, 현대소설연구 23, 317-340쪽.
이봉범, 「단정수립 후 전향의 문화사적 연구」, 대종문화연구 64집, 2008,215-254쪽.
이선미, 「공론장과 ‘마이너리티 리포트’」, 대중서사연구 26, 2011, 111-150쪽.
이순진, 「한국전쟁 후 냉전의 논리와 식민지 기억의 재구성, 기억과 전망23호, 2010, 70-105쪽.
이영미, 「정비석 장편연애ㆍ세태소설의 세계인식과 그 시대적 의미」, 대중서사연구 26, 2011, 7-44쪽.
테어도르 휴즈, 「냉전세계질서 속에서의 해방공간」, 한국문학연구, 28집,2005, 한국문학연구 28집, 2005, 3-29쪽.
홍석률, 「분단의 매듭풀기」, 분단의 히스테리, 창비, 2012.
황동하, 「냉전기 한국 지식인의 소련인식, 아시아문화연구 19집, 2011,272-302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