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 KOREAN
  • P-ISSN1229-4632
  • E-ISSN2733-5925
  • KCI

Cognizance of American civilization in 1950’s and Discussion of Woman's Bildung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12, v.0 no.27, pp.147-180
Kim Yunkyung

Abstract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e relation between American civilization and Discussion of Woman's Bildung in 1950's. As population who can read and write increased, printed media such as newspapers and magazines became a mass media from the exclusive property for a small number of intellects. Such increase of people's literacy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women especially. The concern and expectation of women readers focused on novel and other literature sectors and in addition to their preference on literature readings, they actively participated events like subscribing reader's notes, reader's literature class, reader's literature competition and women's literature competition and composed communal indemnity through the magazines. Women's magazines introduced to write poems and novels liasing their comtemporary famous authors and literary people and commissioned public measurement for poems, novels and essays written by their readers. Such lectures by literary people and public literature measurement were exclusively seen in the women's magazines and it was result of influences of readings according to increase of women readers and feminization of writing to publishing market in 1950's.

keywords
1950's, American Civilization, Culture Elite, Woman's Bildung, domestic woman, women readers, community of literature, women's magazine, literature norm, 1950년대, 미국문명, 문화엘리트, 교양여성, 가정여성, 여성독자, 문예공동체, 여성지, 문학규범

Reference

1.

여원

2.

주부생활

3.

권보드래 외, 아프레걸 사상계를 읽다, 동국대학교출판부, 2009.

4.

김경일, 한국의 근대와 근대성, 백산서당, 2003.

5.

박지향․김철․김일영․이영훈 엮음, 해방 전후사의 재인식 2, 책세상,2006.

6.

양평, 베스트셀러이야기, 우석, 1985.

7.

이한국 편저, 1957년도 출판연람, 대한출판연람사, 1957.

8.

정진성, 한국현대여성사, 한울아카데미, 2004

9.

천정환, 근대의 책읽기, 푸른역사, 2003.

10.

한국여성문학학회 여원연구모임, 여원 연구-여성, 교양, 매체, 국학자료원,2008.

11.

허은, 미국의 헤게모니와 한국 민족주의, 고대민족문화연구원, 2008.

12.

안 뱅상 뷔포, 이자경 역, 눈물의 역사 : 18-19세기, 동문선, 2000.

13.

강소연, 「1950년대 여성잡지에 표상된 미국문화와 여성담론」, 상허학보 No.18, 2006, 107-137면.

14.

김양선, 「1950년대 세계여행기와 소설에 나타난 로컬의 심상지리 -전후 여성작가들의 작품을 중심으로」, 한국근대문학연구 No.22, 2010,205-230면.

15.

김윤경, 「1950년대 미국문화의 유입과 여성의 근대경험 - 최정희의 끝없는 낭만을 중심으로, 비평문학 No.34, 2009, 49-69면.

16.

김윤경, 「1950년대 여성독자의 형성과 문학규범의 변화」,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17.

김은경, 「1950년대 여학교 교육을 통해 본 ‘현모양처’론의 특징」, 한국가정과교육학회 , Vol.19, No.4, 2007. 12, 137-151면.

18.

김혜수, 「1950년대 한국여성의 지위와 현모양처론」, 외대사학 vol.12,2000, 435-451면.

19.

노지승, 「1950년대 후반 여성 독자와 문학 장의 재편」, 한국현대문학연구 vol.30, 2010, 345-375면.

20.

서은주, 「1950년대 대학과 ‘교양’ 독자」, 현대문학의 연구 vol.40, 2010,7-39면.

21.

소영현, 「근대 인쇄매체와 수양론․교양론․입신출세주의」, 상허학보 No.18, 2006, 196-229면.

22.

소영현, 「교양론과 출판문화-교양의 제도화와 출판문화로 본 교양붐」, 현대문학의 연구 vol.42, 2010, 7-48면.

23.

이봉범, 「1950년대 신문저널리즘과 문학」, 반교어문연구 vol.29, 2010,261-305면.

24.

이봉범, 「1950년대 잡지저널리즘과 문학」, 상허학보, 2010. 10.

25.

이선미, 「여원의 비균질성과 독신여성 담론 연구」, 한국문학연구, 2008. 6,51-81면.

26.

이선미, 「1950년대 미국유학 담론과 ‘대학문화’」, 상허학보 No.25, 2009,235-273면.

27.

이선옥, 「여원의 중심담론과 여성들의 글쓰기-여류현상문예를 중심으로」,한국여성문학회, 여성문학연구 vol.19, 2008, 337-369면.

28.

이선옥, 「195,60년대 여원 ‘여류현상문예’와 교양․과학화 담론」,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2011. 6.

29.

이임하, 「1950년대 여성교육에서의 성차별과 현모양처 이데올로기」, 동방학지 제122집, 연세대국학연구소, 2003, 293-327면.

30.

임종명, 「해방 이후 한국전쟁 이전 미국기행문의 미국 표상과 대한민족의 구성」, 史叢 67호, 역사학연구회, 2008, 53-102면.

31.

조경원·이배용, 「해방이후 여성교육정책의 변화와 여성의 사회진출 양상」, 한국교욱학사 제22권 22호, 2000, 12, 26-283면.

32.

조은정, 「1960년대 여대생 작가의 글쓰기와 대중성」, 여성문학연구 vol.24,2010, 87-118면.

33.

천정환, 「처세․교양․실존-1960년대의 ‘자기계발’과 문학문화」, 민족문학사연구 40호, 2009, 91-133면.

34.

최미진, 「1950년대 신문소설에 나타난 아프레걸」, 대중서사연구 vol.18,2007, 12. 119-153면.

35.

허 윤, 「한국전쟁과 히스테리의 전유」, 여성문학연구 vol.21, 2009, 93-124면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