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토지」와 겁탈의 변검술

Various Faces of Rape in Park, Kyungri’s 「Toji(the Land)」

여성문학연구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12, v.0 no.27, pp.181-212
이경 (한국국제대학교)

Abstract

이 글은 서사의 중요한 계기로 작용하지만 이와 관련된 연구는 거의 축적되어 있지 않은 『토지』의 겁탈모티프를 분석함으로써 겁탈의 가부장적 계보를밝히고 이에 대한 여성인물들의 대응양식을 통해 여성의 주체적, 능동적 가능성과 가부장제 이데올로기에 대한 반담론을 가능성을 찾고자 하는 시도이다. 이성애, 성매매, 성폭력을 동일선상에 위치지우는 연속선 개념과 비가렐로의 겁탈의 계보학 등에 기대어 겁탈은 정상과 질서를 위협하는 예외적이고 일탈적 충동이 아니라 정상과 질서가 바탕해 있는 구조, 즉 가부장 권력, 제도,젠더, 국가 등의 전 담론체계와 연동된 폭력임을 드러내었다. 소설의 남성인물들은 사랑과 겁탈을 분할하고 있지만, 여성을 동원하여 남성주체를 성장시키며 동성간의 연대 또한 공고히 하는 매개로 작용한다는 점에서 양자는 상통함을 밝혀내었다. 또한 새론 마커스와 깁슨-그래함의 담론전략을 원용하여 겁탈을 수용하는여성인물의 대응양식을 해석함으로써 타자화와 피해자화로 작동하는 여성 통제 매커니즘을 넘어서는 가능성을 찾을 수 있었다. 정조관념으로부터 일탈하는 여성인물들의 태도에 유의하여 죽음 혹은 의사죽음을 명하는 가부장제와협상하거나 가부장제를 부정하는 주체화의 궤적을 탐색하였다. 욕망을 기입하고 스스로가 상황과 맥락을 구성하는 여성인물의 능동성에서 여성을 피해자화함으로써 스스로의 주체성을 확보하는 남성지배 이데올로기에 균열을 일으키는 반담론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keywords
겁탈, 강간 스크립트, 강간통념, 남성동맹, 반담론, 박경리, 토지, Rape, Rape Script, Rape Myth, Men's League(Männerbund), Count-Narrative, Park Kyungri, Toji(the Land)

참고문헌

1.

김국희, 「박경리 토지의 여성인물연구」, 경희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2004.

2.

김애리ㆍ박정열, 「성역할 관련 태도가 강간통념 수용에 미치는 영향」, 기본간호학회지 제15권 제1호, 2008, 98-106면.

3.

김은하, 「비밀과 거짓말, 폭로와 발설의 쾌락」, 여성문학연구 제26호. 2011,299-330면.

4.

방은주, 「박경리 장편소설에 나타난 사랑의 의미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석사학위논문, 2003.

5.

백옥경, 「조선시대의 여성폭력과 법 - 경상도 지역의 <검안>을 중심으로-」,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제19집, 2009, 93-126면.

6.

신진욱, 「비판적 담론 분석과 비판적ㆍ해방적 학문」, 경제와사회 제89호,2011, 10-45면.

7.

이 경, 「토지에 나타난 질병의 젠더화 연구」, 현상과 인식 제31권, 2007,152-174면.

8.

이 경, 「토지에 나타난 길과 집 사이의 여성서사」, 제1회 박경리 문학제문학포럼 자료집 꿈꾸는 자가 창조한다: 박경리 문학 오십년의재조명, 토지문학관, 2010.

9.

이 진, 「토지의 가족서사 연구」, 목포대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10.

이금란, 「박경리 소설에 나타난 가족 이데올로기 연구」 숭실대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6.

11.

이상진, 「탕녀의 운명과 저항: 박경리의 성녀와 마녀에 나타난 성 담론수정양상 읽기」, 여성문학연구 제17호, 2007, 289-324면.

12.

장필화, 「여성 체험의 공통성」, 철학과현실 제31호, 1996.

13.

정미숙, 「박경리 애정소설에 나타난 사랑의 유형과 특성연구」, 호서대 대학원,석사학위논문, 2009.

14.

정혜경, 「한국 현대소설에 나타난 여성 정체성의 변모과정 연구」, 부산대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15.

정희진, 페미니즘의 도전, 교양인, 2005.

16.

채희윤, 「토지에 나타난 간통의 생태학」, 현대문학 1994.10.

17.

최지선, 「박경리 토지에 나타난 남성인물의 존재방식과 욕망 양상 연구」,부산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18.

다리우시 갈라신스키, 크리스 바커, 백선기 역, 문화연구와 담론분석(언어와정체성에 대한 담화), 커뮤니케이션북스, 2009.

19.

바바라 설리반, 「매춘을 다시 생각하기」, 칠라 불벡, 이소영 역, 행동하는페미니즘 - 호주학 연구총서 2 지구문화사, 2000.

20.

바바라 크리드, 손희정 역, 여성괴물: 억압과 위반 사이, 여이연, 2008.

21.

수잔 브라운밀러, 편집부 역, 성폭력의 역사, 일월서각, 1990.

22.

엘리자베스 그로츠, 임옥희역, 뫼비우스의 띠로서의 몸, 여이연, 2001.

23.

조르쥬 비가렐로, 이상해 역, 강간의 역사, 당대, 2002.

24.

조세핀 도노번, 김익두ㆍ이월영 역, 페미니즘 이론, 문예출판사, 1993.

25.

McKinnon, C., 「강간: 강요와 동의에 대하여」, 케티 콘보이ㆍ나디아 메디나ㆍ사라 스탠베리 편, 고경하 외 편역, 여성의 몸, 어떻게 읽을 것인가?, 한울, 2001.

26.

Fairclough, N., Language and Power, 2/e, London: Longman, 2001.

27.

Gibson-Graham, J. K., The End of Capitalism (As We Knew It) (A Feminist Critique of Political Economy),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2006.

28.

Marcus, S., "Fighting bodies, fighting words: A theory and politics of rape prevention," in: J. Butler and J. W. Scott, ed., Feminists Theorize the Political, New York: Routledge, 1992.

여성문학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