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여범」의 독해 방식 연구

A Study on Ways of Reading Yeobeom

여성문학연구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12, v.0 no.28, pp.299-330
김정경 (서강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Abstract

본고에서는 사도세자의 친모 선희궁 영빈 이 씨가 쓴 「여범」의 독해 방식을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또한 지금까지의 규훈서 연구들이 주로 텍스트의 내용에 초점을 맞추었다고 보고, 이와는 다르게 텍스트의 형식을 보다 면밀하게 검토함으로써 다른 규훈서들과 구별되는 「여범」 고유의 특질 및 문학사적 위상을 드러내려고 했다. 이를 위해 2장에서는 「여범」과 가장 유사한 방식으로 쓰여진 「열녀전」 및여러 규훈서의 서술상에 나타나는 특징을 찾아내어, 이 규훈서들이 독해되는방식을 체계화 했다. 그 결과 이 규훈서들에서는 인물을 둘러싼 사건이 보편적도덕 원리를 입증하는 방식으로 재현되며, 따라서 독자들은 텍스트 외적 요인들이 가리키는 바에 따라 작품 속에 등장하는 인물들을 해석한다는 것을 알았다. 3장에서는 「여범」의 서술 방식 또는 독해 방식이 전 장에서 살펴본 규훈서와 동일한가라는 물음의 해답을 찾고자 했다. 그 결과 「여범」은 주석이나 논평대신 텍스트 내적인 구조와 이야기 세계 내부 인물들의 발화를 통해 입전 인물들에 대한 규범적 해석을 유도한다는 점에서 이전의 규훈서들과는 다른 방식으로 독해될 수 있는 텍스트임을 알았다. 결론적으로 『여범』에는 한문 텍스트를 읽고 쓰는 방식뿐만이 아니라 한글텍스트를 읽고 쓰는 방식, 즉 탈맥락적인 독해방식이 새롭게 적용되었으며, 이두 가지 방식의 대화적 상황은 전자의 방식이 지배적이던 체계에 도전한다는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보았다.

keywords
Yeobeom, Yeolyeojeon, a contingency reading, a decontextualized reading, an honorific title, a speech origin, intertextuality, 『여범』, 『열녀전』, 규훈서, 상황의존적 독해, 탈상황맥락적 독해, 상대높임법, 발화기원, 다성성

참고문헌

1.

선희궁 이 씨, 여범(대제각 영인판, 1977; 소재영 역주, 형설출판사, 1981)

2.

송철의․이현희․장윤희․황문환, 역주 오륜행실도, 서울대학교출판부, 2006.

3.

빙허각 이 씨, 정양완 역주, 규합총서, 보진재, 2008.

4.

「어제내훈」, 조선시대의 규범서, 민속원, 2000.

5.

유향, 이숙인 역, 열녀전, 예문서원, 1996.

6.

이숙인 역주, 「여범첩록」, 여사서, 여이연, 2003.

7.

권보드래, 한국근대소설의 기원 , 소명출판, 2000.

8.

유협, 성기옥 역, 문심조룡 , 지식을 만드는 지식, 2010, 63쪽.

9.

조현우, 고전서사의 허구성과 유가적 사유 , 보고사, 2007.

10.

최혜진, 「여성 영웅의 서사적 전개-여범」, 규훈문학 연구 , 역락, 2004, 125~166쪽.

11.

노효붕, 조미원․박계화․손수영 역, 역사에서 허구로 , 길, 2001, 99~100쪽.

12.

Barthes, Roland, 김웅권 역, S/Z , 동문선, 2006, 235쪽.

13.

Foucault, Michel, 오생근 역, 감시와 처벌 , 나남출판, 1994, 27쪽.

14.

Morris, Pam, 강희원 역, 문학과 페미니즘 , 문예출판사, 1997, 228~229쪽.

15.

강영숙, 「한국열녀전연구」, 영남대 박사학위논문, 2010, 1~153쪽.

16.

강영숙, 「조선조 열녀전의 구성방식과 문학사적 의의」, 정신문화연구 30권2호, 2007, 119~144쪽.

17.

곽정식, 「열전양식의 구성적 특질에 관한 연구」, 문화전통논집 제3집, 경성대학교 향토문화연구소, 1995, 22~44쪽.

18.

김경미, 「열녀전의 보급과 전개」, 한국문화연구 13, 2007, 51~82쪽.

19.

김병문, 「발화기원 소거로서의 언문일치체의 의미에 관하여」, 사회언어학 제16권 2호, 81~103쪽.

20.

김언순, 「조선시대 여훈서에 나타난 여성의 정체성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박사학위논문, 2006, 1-205쪽.

21.

김언순, 「조선후기 사대부 女訓書에 나타난 여성상 형성에 대한 연구」, 한국교육사학 제28권 1호, 2006, 27~61쪽.

22.

백진우, 「한문 야담문학 속 논평의 양상과 기능에 대하여」, 고전과 해석 6집, 2009, 179~202쪽.

23.

안주호, 「인용동사의 문법적 고찰」, 우리말글 37, 2006, 143~169쪽.

24.

윤분희, 「규훈서 여범 연구」, 여성문학연구 11, 2004, 319~345쪽

25.

이호권, 「조선시대 한글 문헌 간행의 시기별 경향과 특징」, 한국어학 41,83~114쪽.

26.

조현우, 「행실도 열녀편 도상변화의 문화적 의미」, 한국문학 이론과 비평 50, 2011, 333~357쪽.

27.

최혜진, 「 여범 의 여성주의적 독해-작가와 서술의식을 중심으로-」, 아시아여성연구 43집 1호, 2004, 41~64쪽.

여성문학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