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노화의 공포와 공생 지향의 상상력 -구비설화 ‘고려장이 없어진 유래’(436-11유형)를 중심으로-

Fear on Aging and the Imagination toward Symbiotic Society -Focusing on Analysis on the Folklore Type No. 436-11. ‘The Motivation of Abolishing Goryeojang’-

여성문학연구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13, v.0 no.29, pp.196-230
최기숙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HK교수)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Abstract

이 논문은 『한국구비문학대계』의 ‘고려장이 없어진 유래(436-11)’ 유형을 대상으로 ‘쓸모없는 존재’가 되어 언제든 버려질 수 있다는 노인의 공포와 위기의식이 어떻게 이야기 형식으로 재현되어 공감대를 형성했는지, 그리고 노인 스스로 자신의 사회적 존재 가치를 증명하기 위해 어떠한 설득의 방법을 모색했는지를 분석했다. 선행 연구에서 해당 유형의 하위 범주는 ‘문제형’과 ‘지게형’으로 분류되었는데, 이 논문에서는 부모의 자애에 감동한 아들이 불효를 거두는 ‘자애형’과 노인 부모의 사회적 독립을 강조한 ‘자립형’을 포함한 네가지 범주로 유형화하여, 노인의 사회적 생존을 위한 설득의 방법과 공생 지향의 성찰적 상상력을 분석했다. ‘문제형’과 ‘자립형’이 노인의 쓸모와 능력을 입증하는 방식으로, 사회구성원으로서의 자격 기준을 제시한 사회적 기대에 부응한 것이라면, ‘지게형’은 ‘쓸모’라는 가치 기준을 넘어선 성찰적 지향을 추구했다는 점에서, ‘자애형’은 정서적 감응을 인간적 삶의 가능성으로 상정했다는 점에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네 가지 대응 방식은 노인과 노화를 바라보는 사회 구성원의 공포와 불안을 반영하지만, 가장 큰 양적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이 ‘문제형’이라는 것은 지혜와 경험, 지식 등 노인의 ‘쓸모’를 입증하는 방식으로 노인의 문화적 위치가 확보되는 과정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가 우세하게 작동했음을 의미한다. 설화 구연자의 대부분이 노인층(60~97세. 64%)인 것을 고려하면, 이는 노인 자신이 사회에 쓸모있는 존재로 인정받고 싶다는 사회적 인정 욕구를 표출한 결과로 해석할 여지가 충분하다. 그러나 그 이면에는 언제든 사회적 가치를 입증해야만 사회적 존재로서의 문화적 위치를 확보할 수 있다는 생존의 스트레스가 반영되어 있다. ‘지게형’에는 노년층 부모가 자식에 대한 무조건적인 효를 기대하기보다는 자신들을 보편적인 인간 존재로 바라보고 존중해주기를 기대하는 심리적 요구가 투영되어 있었다. 이 설화 유형은 ‘장유유서’나 ‘효’라는 윤리적 차원이 아니라, 누구나 늙는다는 생물학적 자연을 인정하는 방향에서 ‘공생’과 ‘돌봄’의 문화가 필요하다는 요청을 담고 있었다. 고려장이 폐기되는 맥락에 대한 서사적 상상력은 자녀의 부모에 대한 효도라는 윤리적이고 이념적인 차원을 강조하기보다는, 노인(가족)과 공생해야 하는 현실적이고 합리적인 지점을 모색하고, 인간은 언젠가 모두 노인이 된다는 자기성찰성의 문제를 형성했다는 특징을 보여주었다.

keywords
고려장, 노인, 노화, 구비설화, 공포, 지혜, 돌봄, 공생, Goryeojang, The aged, aging, folk tales, fear, wisdom, caring, symbiosis

참고문헌

1.

강진옥, 「효자호랑이 설화에 나타나는 효 관념」, 민속연구 1집, 안동대 민속학연구소, 1991, 81-101쪽.

2.

김민한, 「高麗葬說話의 虛構性에 關한 硏究」, 한국사상과 문화 5집, 한국사상문화학회, 1999, 103-145쪽.

3.

김양진, 「한국고대설화 속의 노인 이미지 특성 연구」, 새얼어문논집 17호,새얼어문학회, 2005, 197-227쪽.

4.

서태수, 「자녀희생효 설화를 통해 본 효행주체의 의식」, 청람어문교육 5집, 청람어문교육학회, 1991, 240-271쪽.

5.

손진태, 한국민족설화의 연구 , 을유문화사, 1979,

6.

지교헌, 한민족의 정신사적 기초 , 정신문화연구원, 1988,

7.

이수자, 「高麗葬설화의 형성과 의미」, 국어국문학 98집, 국어국문학회, 1987, 131-162쪽.

8.

이우식, 「고려장 설화에 대하여」, 얼과 문화 18호, 우리문화연구원, 1990,

9.

이인경, 한국구비문학대계 소재 설화 해제 , 민속원, 2008, 1-717쪽.

10.

이정호, 인도전래동화 2, 웅진출판주식회사, 1986, 1-159쪽,

11.

정경민, 「자녀희생효 설화에 나타난 ‘효’와 ‘모성’의 문제」,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24집,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12, 5-42쪽.

12.

조희웅, 설화학 강요 , 새문사, 1989, 1-231쪽.

13.

최기숙, 「‘효/불효’ 설화에 나타난 가족 관계의 문학적 상상과 문화 문법에관한 비판적 독해 : ‘불효를 이용해 효도하게 하기(431-1)’ 유형을중심으로」, 구비문학연구 31호, 2010, 115-156쪽.

14.

Barthes, Roland, 신화론 , 정현 역, 현대미학사, 1995,1-246쪽.

15.

Minois, Georges, 노년의 역사 , 박규현ㆍ김소라 옮김, 아모르문디, 2010, 1-560쪽.

16.

Propp, V. Y, 민담의 역사적 기원 , 최애리 옮김, 문학과 지성사, 1990,1-462쪽.

17.

Thane, Pat 편, 노년의 역사 , 안병직 옮김, 글항아리, 2012, 1-504쪽.

18.

上野千鶴子(우에노 치즈코), 「プライバシーの解體」, 生き延びるために思 想-ジエンダー平等の罠 . 岩波書店, 2006, pp.1-416.

여성문학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