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The Scientific Community South Korea in the 1950s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13, v.0 no.29, pp.37-69
Tae-Ho Kim

Abstract

This article traces the formation of the (South) Korean scientific community, from the liberation of Korea in 1945 through the early 1960s, to provide background for understanding Korean’s percep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To illuminate the historical events that had shaped the South Korean scientific community, this research begins with the story of the first generation of Korean scientists under Japanese colonial rule before 1945, and goes through scientists’ migration to North Korea during the conflict between two Koreas. With the armistice, Korean scientific community had been also divided, and the scientists in the South appealed for social support for rebuilding and developing scientific enterprise throughout the 1950s, including the “Atoms for Peace” programs initiated by the US. This paper especially focuses on articles related to science or technology in Sasanggye, an intellectual monthly magazine, to show who the contributors were and which topics they prioritized.

keywords
과학기술자 사회, 한국전쟁, 월북과 월남, 재건, 『사상계』, scientific community, Korean War, wartime migration, postwar reconstruction, Sasanggye (magazine)

Reference

1.

「발명조선의 귀중한 수확: 혁혁한 선인 유업에 천재적 창안」, 동아일보 1936.1.1.

2.

「학자 배출: 학계의 盛事」, 동아일보 1931.7.21.

3.

고대승, 「한국의 원자력 기구 설립과정과 그 배경」, 한국과학사학회지 14권 1호, 1992, 62-87쪽.

4.

김근배 외, 한국 과학기술 인물 12인 , 해나무, 2005.

5.

김근배, 「빛바랜 사진 속의 근대과학」, 과학과 기술 , 2008년 3월.

6.

김근배, 「월북과학자와 흥남공업대학의 설립」, 아세아연구 40권 2호, 1997, 95-130쪽.

7.

김근배, 한국 근대 과학 기술 인력 의 출현 , 문학과지성사, 2005.

8.

김동일, 나의 걸어온 길: 구순을 맞이하여 , 보진재, 1998.

9.

김상현, 「 사상계 와 과학․기술 담론: 1950-1960년대 한국의 사회기술적상상」, 2013년 한국여성문학학회 봄 학술대회 발표문, 2013.4.20.

10.

김성원, 「식민지시기 조선인 박물학자 성장의 맥락: 곤충학자 조복성의 사례」, 서울대 석사학위논문, 2008.

11.

김성준, 「1950 년대 한국의 연구용 원자로 도입 과정과 과학기술자들의 역할」, 한국과학사학회지 31권 1호, 2009, 139-168쪽.

12.

김연희, 「전기 도입에 의한 전통의 균열과 새로운 문명의 학습」, 한국문화 59집, 2012.9, 65-95쪽

13.

김태호, 「리승기의 북한에서의 ‘비날론’ 연구와 공업화: 식민지시기와의 연속과 단절을 중심으로」, 한국과학사학회지 23권 2호, 2001,111-132쪽.

14.

도정애, 한국최초약학자 경성약전 교수 도봉섭 탄생백주년자료집 , 자연문화사, 2003.

15.

리승기, 과학자의 수기 , 평양: 국립출판사, 1962.

16.

문만용, 「‘조선적 생물학자’ 석주명의 나비분류학」, 한국과학사학회지 21권 2호, 1999, 157-193쪽.

17.

박성래, 「한국 화학의 선구자 이태규」, 과학과 기술 2004.1, 89-91쪽.

18.

박성래, 한국사에도 과학이 있는가 , 교보문고, 1998, 276-279쪽.

19.

박성래․신동원․오동훈 저, 우리과학 100년 , 서울: 현암사, 2001.

20.

서울대학교 60년사 편찬위원회, 서울대학교 60년사 ,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6, 19-22쪽.

21.

서울대학교 화학과 60년사 편찬위원회, 서울대학교 화학과 60년사: 1946- 2006 , 서울대학교 화학과 동창회, 2007.

22.

이 정, 「식물 연구는 민족적 과제? 일제 강점기 조선인 식물학자 도봉섭의조선 식물 연구」, 역사와 문화 25호, 2013, 39-73쪽.

23.

이태규․송상용, 「공업화와 순수과학」, 서울평론 1975.7.17, 8-17쪽.

24.

임경순, 「물리학회 50년사 (3)해방 직후 대학의 물리학과」, 물리학과 첨단기술 2003.1, 38-39쪽.

25.

임정혁, 「식민지시기 물리학자 도상록의 연구활동에 대하여」, 한국과학사학회지 27권 1호, 2005, 109-126쪽.

26.

임종태, 「김용관의 발명학회와 1930년대 과학운동」, 한국과학사학회지 17권 2호, 1995, 89-133쪽.

27.

홍성주, 「한국 과학기술 정책의 형성과 과학기술 행정체계의 등장, 1945~ 1967」, 서울대 박사학위논문, 2010

28.

Cheehyung Kim, The Furnace is Breathing: Work and the Everyday Life in North Korea, 1953-1961, Ph. D. dissertation, Columbia University, 2010.

29.

(한국 학술연구 100년과 미래-과학기술분야 연구사 및 우수 과학자의 조사연구) 제3부 과학기술인명사전 , 한국연구재단, 2012, 55-61쪽.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