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 KOREAN
  • P-ISSN1229-4632
  • E-ISSN2733-5925
  • KCI

The Transformative Process of a Korean Feminist Creative Self in Goh Jung Hee's Writing -A Focus on the Influence of the Social Movement and the Socio-cultural Discourse in 1980s-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13, v.0 no.30, pp.221-318
SO-HEE LEE

Abstract

본 연구는 고정희가 전 생애에 걸쳐서 천착해온 여성주의 창조적 자아의 궤적을 추적하고 있다. 특히 1980년대 한국사회에서 볼 수 있는 다양한 사회운동과 사회문화적 담론이 그의 다양한 글쓰기에 어떻게 반영되어 있으며 결과적으로 그의 시 창작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가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1948년 해남 농가에서 출생한 고정희는 유년시절과 독학으로 공부한 청소년기, 그리고 『월간 해남』 기자를 거쳐 1970년 광주 YWCA에서의 프로그램 간사,1975년 한국신학대학 입학, 1979년 <목요시> 동인활동을 거치면서 자신의 창조적 자아를 다방면으로 훈련해 나갔고 문학적 역량을 축적해 나갔다. 그러나1980년 5월 18일 광주항쟁이후 그의 창조적 자아는 이 역사적 사건을 중심으로 변화 발전해 나갔다. 특히 1984년부터 1991년까지 약 7년 동안 창립동인으로 참여한 [또 하나의 문화] 1)활동은 그의 여성주의 의식을 발전시키는데 결정적 역할을 하였다. 고정희는 1987년 또문 동인지 3호 『여성해방의 문학』 좌담에서 여성문학가들에게 “문학적 수업과 페미니즘 의식을 동시에 길러가는작업”이 요구된다고 주장하였다. 1991년 6월 8일 생애 마지막 공식 자리인 [또 하나의 문화] 월례논단에서고정희는 자신이 기독교, 민중, 여성이라는 세 개의 주제를 껴안고 씨름했다고말하였다. 그 결과 이 세 주제가 하나로 융합되어 한국문학사에서 최초로 등장하는 “모성-신”을 제9시집 『광주의 눈물비』 제2부 「눈물의 주먹밥」에서 “어머니 하느님”이라는 혁신적인 상징기호로 창조해냈다. 따라서 “어머니 하느님”은 고정희의 시세계를 떠받치고 있는 세 개의 화두, 수유리(기독교), 광주항쟁(민중), [또 하나의 문화](여성)이 하나로 어우러져 고정희 여성주의 창조적 자아가 닻을 내린 지점의 형상화이다. 고정희의 죽음은 “살아있는 자들에게 수많은 성찰과 반성의 시간을 마련해 주었다”고 평가받고 있는데 이는 고정희가살아온 열정적인 삶의 태도, 고행의 수도승을 닮은 삶의 방식, “어머니 하느님”을 창조해 낸 혁신적인 시적 상상력 등이 우리들에게 끼친 영향의 결과이다. 이러한 그의 여성주의 창조적 자아의 발전과정은 1980년대 한국사회의 다양한 사회운동과 사회문화적 담론의 산물이며 그 결과 한국문학사에서 고정희를 여성주의 문학의 선구자로, 또 개척자로 자리매김할 수 있게 되었다.

keywords
Goh Jung Hee, feminist creative self, Mother-God, Gwangju Uprising, rice ball, women's literature, feminist literature, feminist christianity, 고정희, 기독교, 민중, 여성, 여성주의 창조적 자아, 어머니 하느님, 광주항쟁, 주먹밥, 여성문학, 여성주의 문학, 여성신학

Reference

1.

고정희, 고정희 시전집 1․2권, 도서출판 또 하나의 문화, 2011.

2.

고정희 누가 홀로 술틀을 밟고 있는가 , 평민사, 1985(초판 1979).

3.

고정희 저 무덤위에 푸른 잔디 , 창작과 비평사, 1989.

4.

고정희 초혼제 , 창작과 비평사, 1983.

5.

고정희 모든 사라지는 것들은 뒤에 여백을 남긴다 , 창작과비평사, 1992.

6.

고정희 「김병순 의원을 만나서」, 월간 해남 , 1969. 9․10. 합병호(통권 12호), 해남: 월간 해남사, 48-51쪽.

7.

고정희 「광주민중항쟁과 여성의 역할: 광주여성들, 이렇게 싸웠다」, 월간중앙 , 1988. 5. 402-417쪽.

8.

고정희 「독자에게서 온 편지」, 新像 , 1971 가을호(제4권 3호), 대한공론사, 206쪽.

9.

고정희 「새롭게 뿌리내리는 기독교 文化를 위하여」, 고정희 엮음, 예수와민중과 사랑 그리고 詩 , 기민사, 1985. 7-16쪽.

10.

고정희 「여성주의 문학 어디까지 왔는가?: 소재주의를 넘어 새로운 인간성의 실현으로」, 조형 외, 너의 침묵에 메마른 나의 입술 , 도서출판 또 하나의 문화, 1993, 190∼205쪽. (원본은 문학사상 , 1990. 2.).

11.

고정희 「한국여성문학의 흐름: 시와 소설을 중심으로」, 열린 사회, 자율적여성 , [또 하나의 문화] 동인지 2호, 1986. 96∼126쪽.

12.

광주 YWCA 70년사 편찬위원회, 광주 YWCA 70년사 , 광주여자기독교청년회, 1992.

13.

木曜詩 , 2집, 광주: 백제출판사, 1980.

14.

木曜詩 , 4집, 광주: 세종출판사, 1982.

15.

木曜詩集 , 3집, 광주: 믿음출판사, 1981.

16.

木曜詩선집 , 제5집, 崔夏林 編, 실천문학사, 1983.

17.

목요시 , 제6집, 도서출판 청하, 1986.

18.

김경희, 「고정희, 그 이름 高聖愛」, 現代詩學 , 現代詩學社, 제23권 8호(통권269호), 1991. 8. 137∼139쪽.

19.

김남일, 민중신학자 안병무 평전: 성문 밖에서 예수를 말하다 , 사계절, 2007.

20.

김문주, 「고정희 시의 종교적 영성과 ‘어머니 하느님’」, Comparative Korean Studies, 제19권 2호, 국제비교한국학회, 2011. 121-147쪽.

21.

김승구, 「고정희 초기시의 민중신학적 인식」,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제37집(11권 4호),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 2007. 249∼275쪽.

22.

김승희, 「상징 질서에 도전하는 여성시의 목소리, 그 전복의 전략들 」, 여성문학연구 , 제2호, 한국여성문학연구학회, 1999. 135∼166쪽.

23.

김양선, 「486세대 여성의 고정희 문학체험」, Comparative Korean Studies, 제19권 3호, 국제비교한국학회, 2011. 39∼63쪽.

24.

김영미, 「神의 저편: 고정희론」, 이화현대시연구회 편, 행복한 시인의 사회 , 소명출판, 2004.

25.

김진호, 김영석 편저, 21세기 민중신학: 세계 신학자들, 안병무를 말하다 , 도서출판 삼인, 2013.

26.

김주연, 「高靜熙의 의지와 사랑」, 이 時代의 아벨 , 문학과지성사, 1983. 119∼128쪽.

27.

노창선, 「고정희 초기시 연구」, 인문학지 , 제20집, 충북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03. 61∼91쪽.

28.

[또 하나의 문화], 여성해방의 문학 , 동인지 제3호, 도서출판 또 하나의 문화, 1987.

29.

박선영, 「고정희 論 :정신의 수직운동을 중심으로」, 돈암語文學 , 제14집, 돈암어문학회, 2001. 109∼125쪽.

30.

박혜란, 「토악질하듯 어루만지듯 가슴으로 읽은 고정희」, 여자로 말하기, 몸으로 글쓰기 , [또 하나의 문화] 동인지 제9호, 도서출판 또 하나의 문화, 1992. 53∼99쪽.

31.

송지현, 「불의 魂, 물의 詩: 고정희 論」, 韓國言語文學 , 42집, 한국언어문학회, 1999. 127∼152쪽.

32.

안병무, 「예수와 민중: 마가복음을 중심으로」, 김진호, 김영석 편저, 21세기 민중신학: 세계 신학자들, 안병무를 말하다 , 도서출판 삼인, 2013. 91∼115쪽.

33.

안병무 「민족 민중 교회」, 김진호, 김영석 편저, 21세기 민중신학: 세계 신학자들, 안병무를 말하다 , 도서출판 삼인, 2013. 159∼169쪽.

34.

여성해방 시 모음: 하나보다 더 좋은 백의 얼굴이어라 , 도서출판 또 하나의 문화, 1988.

35.

유성호, 「고정희 시에 나타난 종교의식과 현실인식」, 한국문예비평연구 , 제1집,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1997. 75∼94쪽.

36.

이소희, 「엘리자베스 바렛 브라우닝과 고정희 비교연구 - 사회비평으로서의 페미니스트 시쓰기」, 영어영문학 21 , 19권 3호, 21세기영어영문학회, 2006. 123∼154쪽.

37.

이소희,「<밥과 자본주의>에 나타난 “여성민중주의적 현실주의”와 문체 혁명: 「몸바쳐 밥을 사는 사람 내력 한마당」을 중심으로」, ComparativeKorean Studies, 제19권 3호, 국제비교한국학회, 2011. 99∼144쪽.

38.

이시영, 「편집후기」, 고정희 지음, 모든 사라지는 것들은 뒤에 여백을 남긴다 , 창작과비평사, 1992. 201∼203쪽.

39.

이하석, 「봄바람 같은 이야기」, 現代詩學 , 現代詩學社, 제23권 8호(통권269호), 1991.8. 135∼136쪽.

40.

정효구, 「고정희 論; 살림의 시, 불의 상상력」, 現代詩學 , 現代詩學社, 1991.10. 217∼234쪽.

41.

정효구 「고정희 시에 나타난 여성 의식」,《인문학지》17집, 충북대학교 인문학연구소, 1999.2. 43∼86쪽.

42.

정효구「요절한 시인들이 보여준 죽음의 방식과 그 의미」, 시인세계 , 통권4호, 2003 여름. 65∼68쪽.

43.

조옥라, 「발문: 고정희와의 만남」, 고정희 지음, 모든 사라지는 것들은 뒤에 여백을 남긴다 , 창작과비평사, 1992. 191∼198쪽.

44.

조옥라 「고행의 수도승, 우리들의 친구 고정희」, 조형 외, 너의 침묵에 메마른 나의 입술 , 도서출판 또 하나의 문화, 1993. 245∼255쪽.

45.

조옥라 ,조혜정, 「제3부 여성해방문학론: 편집의 글」, 조형 외, 너의 침묵에 메마른 나의 입술 , 도서출판 또 하나의 문화, 1993. 137∼139쪽.

46.

조용미, 「그대, 아름다운 사람」, 現代詩學 , 現代詩學社, 제23권 8호(통권269호), 1991.8. 140∼144쪽.

47.

조혜정, 「시인 고정희를 보내며...」, 조형 외, 너의 침묵에 메마른 나의 입술 , 도서출판 또 하나의 문화, 1993. 231∼236쪽.

48.

조 형, 「제1부 편지글을 통해본 고정희의 삶과 문학: 편집의 글」, 조형 외, 너의 침묵에 메마른 나의 입술 , 도서출판 또 하나의 문화, 1993. 37쪽.

49.

조형 외, 너의 침묵에 메마른 나의 입술 , 도서출판 또 하나의 문화, 1993

50.

최정자, 「여울물의 추억」, 광주문학 , 제6호, 광주문인협회, 1992. 19∼22쪽.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