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Strange Cohabitation of Anti-Communism, Censorship and Seditious Body - A study about Female Spy of the Movie Series ‘Special Investigation Bureau’ in 1970s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14, v.0 no.33, pp.147-190
Jun Jeenee
  • Downloaded
  • Viewed

Abstract

본고는 유신체제하에서 제작된 영화 ‘특별수사본부’ 시리즈를 통해 1970년대 영화검열과 반공, 그리고 섹스의 불안한 공모관계를 구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주 분석대상은 ‘동아방송’의 다큐멘터리 드라마 「특별수사본부」의 에피소드를 극화한 영화 특별수사본부 시리즈 일곱 편으로, 이 시리즈는 1970년대 영화정책과 유착되어 있을 뿐 아니라 반공영화 제작을 지원하고 그 중 상당수를 우수영화로 선정해 포상하던 당대의 특수한 상황을 대변하고 있었다. 그런데 당국의 지속적인 지원 외에도, 특별수사본부 시리즈가 단기간에 계속 제작, 개봉 될 수 있었던 근간에는 톱스타의 출연 및 관객의 지속적인 호응이 있었다. 이처럼 특별수사본부 시리즈는 유신 이후 한국 영화계의 변화와 관객의 동향을 함께 대변하고 있었다. 주목할 점은 특별수사본부 시리즈에는 반공이라는 ‘의도’가 담겨있을 뿐 아니라 동시대 관객의 취향에 부합하는 ‘재미’가 있었으며, 그 재미는 간첩들을 소탕하는 과정에서 벌어지는 액션 활극 외에 기구한 운명을 지닌 여인의 사랑과 수난사를 통해 구축됐다는 점이다. 영화는 라디오 드라마를 스크린으로 옮기면서 통쾌한 액션 장면과 함께 노골적으로 당대의 섹스심볼이 연기하는 여간첩의 육체를 부각시킴으로써 관객의 볼거리를 충족시켰다. 이 같은 점을 염두에 두고, 본고에서는 시리즈 중 여간첩을 전면에 내세운 다섯 편(「기생 김소산」, 「여대생 이난희 사건」, 「배태옥 사건」, 「김수임의 일생」, 「구삼육 사건」)의 공통된 문법을 세 가지 항목으로 나누어 고찰하고, 이어 이 시리즈와 70년대 ‘호스티스 멜로드라마’와의 접점, 그리고 그 지점에서 파생되는 반공영화로서의 과잉을 규명했다. 결론적으로 특별수사본부 시리즈는 영화 전반에 상업주의적 의도를 분명히 드러냈지만, 심의 과정에서 별다른 제재를 받지 않았을 뿐 아니라 빈번하게 우수영화로 선정되는 영광을 누렸다. 반공의식을 고취하겠다는 애초의 의도는 대중의 취향에 맞게 각색되는 과정에서 후경화됐고, 퇴폐풍조의 근절 의지가 강조되는 와중에도 반공영화의 상업적 의도는 복잡한 검열 과정 속에서 별다른 문제가 되지 않았던 것이다. 곧 이 시리즈는 해방기 여성 스파이를 무력한 멜로드라마의 여주인공으로 묘사함으로써 냉전체제하에서 형상화된 스파이의 치밀하고 전략적인 이미지를 삭제하고 여성 스파이가 가질 수 있는 불온성을 무력화시키는 서사를 반복했다. 그러나 스파이의 육체를 부각시키고 당시 인기가 있던 호스티스 멜로드라마의 문법을 차용한 결과, 반공영화는 상업영화와의 차별점을 구축하지 못하면서 오히려 70년대 반공 논리의 한계를 입증하고 당대 통치체제의 한계를 기입하는 불온함을 드러냈다. 그 결과 영화는 반공과 검열, 그리고 불온한 섹슈얼리티가 기묘한 형태로 공존하는 양상을 보여주게 됐다. 유신체제의 지향점을 가장 잘 보여줄 수 있다고 평가받았던 영화 특별수사본부 시리즈는 (무)의식적으로 그 통치전략의 틈을 여실히 제시하고 있었던 것이다.

keywords
Female Spy, Anti-Communism, Censorship, Sedition, Movie Series 「Special Investigation Bureau」, Yushin Regime, Film Law, Hostess Melodrama, Sexuality, 여간첩, 반공, 검열, 불온, 영화 「특별수사본부」, 유신체제, 영화법, 호스티스 멜로드라마, 섹슈얼리티

Reference

1.

설태호 연출, 「특별수사본부 기생 김소산」, 한진흥업, 1973.

2.

설태호 연출, 「특별수사본부 여대생 이난희 사건」, 한진흥업, 1973.

3.

이원세 연출, 「특별수사본부 배태옥 사건」, 한진흥업, 1973.

4.

이원세 연출, 「특별수사본부 김수임의 일생」, 한진흥업, 1974.

5.

권영순 연출, 「특별수사본부 국회푸락치」, 한진흥업, 1974.

6.

이원세 연출, 「특별수사본부 외팔이 김종원」, 한진흥업, 1975.

7.

김영효 연출, 「구삼육 사건」, 우성사, 1976.

8.

오재호, (특별수사본부) 3 : 국회푸락치 사건 , 창원사, 1972.

9.

오재호, (특별수사본부) 5 : 기생간첩 김소산 , 창원사, 1972.

10.

오재호, (특별수사본부) 7 : 여간첩 김수임, 교육자협회 사건 , 창원사, 1972.

11.

오재호, (특별수사본부) 9 : 운명의 여인 배태옥 , 창원사, 1973.

12.

오재호, (특별수사본부) 11: 여비서 이난희 , 창원사, 1973.

13.

오재호, (특별수사본부) 18 : 외팔이 김종원 사건 , 창원사, 1974.

14.

경향신문 ,

15.

동아일보 ,

16.

매일경제 ,

17.

조선일보

18.

국제영화 ,

19.

근대영화 ,

20.

명랑 ,

21.

민성 ,

22.

영화예술 ,

23.

월간 영화 ,

24.

코리안시네마

25.

국민방첩연구소, 지공교육독본-이것이 북한의 전부다 , 흑백문화사, 1972, 600~624쪽.

26.

국민방첩연구소, 방첩과 스파이전 , 갑자문화사, 1974, 1~2쪽.

27.

오제도, 붉은 군상 , 남광문화사, 1951.

28.

오제도, 사상검사의 수기 , 창신문화사, 1957, 9~23쪽.

29.

영화진흥공사, 한국영화자료편람(초창기-1976년) , 영화진흥공사, 1977.

30.

영화진흥공사, 1977년도 한국영화연감 , 영화진흥공사, 1978.

31.

영화진흥공사, 한국영화, 외국영화 검열현황편람 : 1971년~1981년 , 영화진흥공사, 1982.

32.

영화진흥공사, 한국영화작품전집, 1971~1985 , 영화진흥공사, 1986.

33.

한국영화데이터베이스(kmdb.or.kr)

34.

공임순, 「스캔들과 반공-‘여류’ 명사 모윤숙의 친일과 반공의 이중주-」, 한국근대문학연구 17호, 한국근대문학회, 2008, 165~192쪽.

35.

공임순, 「원자탄과 스파이, 전후 세계상의 두 표상」, 민족문학사연구 48호, 민족문학사연구소, 2012, 242~277쪽.

36.

권명아, 역사적 파시즘 , 책세상, 2004, 213~216쪽.

37.

권은선, 「유신정권기 생체정치와 젠더화된 주체 만들기」, 여성문학연구 29호, 한국여성문학학회, 2013, 417~444쪽.

38.

김종원․정중헌, 우리영화 100년 , 현암사, 2001, 309쪽.

39.

박유희, 「예술과 독재 : 유현목 영화의 정체성」, 이순진 외, 한국영화와 민주주의 , 선인, 2011, 388쪽.

40.

박유희,「박정희 정권기 영화검열과 감성재현의 역학」, 역사비평 2012년 여름호, 역사비평사, 2012, 42~90쪽.

41.

박지연, 「1960, 70년대 한국영화정책과 산업」, 한국영상자료원 편, 한국영화사공부 : 1960-1979 , 이채, 2004, 172~173쪽.

42.

박지연,「제4차 영화법 제정에서 제4차 개정기까지의 영화정책」, 한국영화정책사 , 김동호 외, 나남출판, 2005, 208~217쪽.

43.

박지연,「한국 영화산업의 변화과정에서의 영화정책의 역할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113~116쪽.

44.

오진곤, 「유신체제기 영화와 방송의 정책적 양상에 관한 연구」, 언론정보연구 48권 1호,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2011, 229~259쪽.

45.

유선영, 「동원체제의 과민족화 프로젝트와 섹스영화」, 언론과 사회 15권 2호, 성곡문화재단, 2007, 2~56쪽.

46.

이순진, 「1950년대 공산주의자의 재현과 냉전의식」, 김소연 외, 매혹과 혼돈의 시대 , 도서출판 소도, 2002, 166~178쪽.

47.

이인규, 「1970년대 반공영화 생산과 소비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165~168쪽.

48.

이호걸, 「1970년대 한국영화」, 한국영상자료원 편, 한국영화사공부 : 1960-1979 , 이채, 2004, 122쪽.

49.

전갑생, 「‘스파이(Spy․간첩)’ 이야기-3, 김수임, ‘마타하리’에서 비운의 여인으로」, 민족 21 , 2012.4, 108~115쪽.

50.

전갑생,「‘스파이(Spy․간첩)’ 이야기-4, 비운의 ‘신여성’ 김수임, 반공이데올로기의 희생양」, 민족 21 , 2012.5, 108~115쪽.

51.

조희연, 박정희와 개발독재시대 , 역사비평사, 2007, 219쪽.

52.

주성철, 「특별수사본부 김수임의 일생」, 삐용삐용 B무비 , 한국영화데이터베이스(kmdb.or.kr), 2014.5.27.

53.

최호열, 「‘한국판 마타하리’김수임 사건 美 비밀문서 집중분석」, 신동아 (shindonga.donga.com), 2008.10.24.

54.

천정환, 「간첩과 영화, 그리고 한국 민주주의」, 이순진 외, 한국영화와 민주주의 , 선인, 2011, 432~433쪽.

55.

Ben Singer, 멜로드라마와 모더니티 , 이위정 역, 문학동네, 2009, 65~68, 73~84쪽.

56.

comixpark 블로그(comixpark.pe.kr/130180811332)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