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The Appropriation of Literature on the Other Colonized Nation and Imagining Category of Korean Modern Literature - Focused On the Indian Literature in the Colonial Era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14, v.0 no.33, pp.225-268
KIM BOK SOON
  • Downloaded
  • Viewed

Abstract

식민지 조선에서 아일랜드 및 인도(문학)의 호명은 식민지 조선의 근대(문학) 건설의 문제와 직접적으로 결부된다. 식민지 시기, 타 식민지 문학에 대한 조선의 이해방식은 크게 네 가지로 분류된다. 인도 방식, 아일랜드 방식, 중국 방식, 대만 방식으로, 인도 방식은 사상(정치) 중심으로 사고하는 방식이며, 아일랜드 방식은 ‘문학’ 중심으로, 특히 세계문학적 시선으로 식민지 문학을 이해하는 방식이다. 인도 방식에는 사상(정치) 유형(1유형)과 문학 유형(2유형), 사상과 문학을 둘 다 거부하는(3유형) 세 가지가 있었다. 1 유형에서 타고르는 사상가, 철인, 종교가로 수용되었으며, 서양 또는 근대문명을 극복할 수 있는 기표 그 자체였다. 식민지 조선은 ‘동(東)’에 대한 두 가지 해석을 보여 주었는데, 오리엔탈리즘적 의미의 ‘동양’과, 동·서양 문명의 ‘지양’으로서의 ‘아시아’가 그것이다. 1 유형에서는 주로 후자가 목도되었으며, 근대문학은 ‘민족’을 너머 ‘세계문학’을 설정하는 가운데 상상되었다. 2 유형에서는 타고르의 시를 한국적 서정시에 접목하려는 시도가 좀더 구체적으로 이루어졌다. 식민지 조선은 ‘님’을 ‘연애’의 상대자로 번역·수용하기보다 ‘조국’ ‘민족’ ‘국가’ ‘하느님’ 등으로 확대 수용하였다. ‘근대문학 상상’의 장치는 ‘민족’ ‘국가’ 범주였고, 그 범주에 고착되어 전유한 결과 오독, 오해 등의 오류를 범하였다. 여기서는 젠더화도 목도되었다. 감각이 ‘여성적’인 것으로, ‘서양=남자’ ‘동양=여자’의 성적 은유를 드러내면서 젠더화 되어 있었다. 3 유형에서는 부정적 평가가 주를 이루었다. 변영만은 타고르의 사상과 문학을 둘 다 거부한 특이한 사례에 해당한다. 타고르의 사상과 문학, 행적에 개입된 ‘식민성’ 때문이었는데, 핵심은 사람, 사상, 시 모두 진실성이 부족하고 실질이 없다는 것이었다. 변영만의 식민성 비판은 2 유형과 달리 ‘민족’ 범주에 고착되어 있지 않았다. ‘서양이 타자화한 동양’을 수용하지도 재타자화 하지도 않으면서 탈식민성을 보이지만, ‘민족적 개성’에 입각한 ‘조선적 근대’ 및 근대문학 구상은 중세의 보편적 이념체계였던 한문체에 기반하고 있었다는 점에서 이미 그 한계를 내포하는 것이었다. 1, 2 유형에서는 ‘서구적’ 근대(성) 및 근대문학이 인정되었으며, 3 유형에서는 부정되었다. 하지만 1, 2 유형도 오리엔탈리즘 수용 여부와 관련해서는 차이가 있었다. 1 유형에서는 오리엔탈리즘이 목도되지 않았지만, 2 유형에서는 오리엔탈리즘이 목도되었다. 또 1, 2 유형은 기본적으로 젠더화 되어 있었다. 2 유형이 ‘성적 은유’를 통한 젠더화를 드러냈다면, 1 유형은 ‘비젠더적’ 젠더화를 보여 주었다. ‘비젠더적’ 젠더화란 ‘남성중심적 인식론’에 토대해 세계-보편-인간-민족 등을 ‘자연스럽게’ ‘남성(성)’으로 상정하는 것이다. ‘서구적 근대’ ‘지향’적인 1, 2 유형이 ‘젠더화’ 되어 있었다는 것은 ‘서구적 근대’의 젠더가 ‘남성’임을, ‘서구적 근대’와 ‘여성젠더’는 양립적이지 않음을 재확인시켜 주는 것이다. 세 유형은 민족문학, 세계문학, 지방문학의 관점에서도 다층적 역학관계 속에서 자신의 위상을 정립하고자 모색하였다. 1 유형에서는 세계성(세계문학)과 대등한 지방성(조선 근대문학)이 인정된 반면, 2 유형에서는 오리엔탈리즘을 보이면서 서구적 근대문학이 일방적으로 추종되면서, 지방성과 세계성이 위계적 구도 하에 위치지어졌다. 변영만의 경우 민족적 개성에 입각한 근대 조선문학으로서의 세계문학을 강조했지만, 중세 한문체의 선택은 ‘근대성’과 ‘탈식민성’의 착종을 보여 주는 것이었다. 하지만 식민지 조선의 특수성에 기반한 ‘새로운 세계성’을 창출하고자 한 점은 긍정적으로 평가될 필요가 있다.

keywords
타고르, 나이두, 오리엔탈리즘, 동양, 샨티니케탄, 아시아 연합, 변영만, 민족적 개성, Tagore, the East, Shantiniketan, Asian unit, ByonYoungMan, Anti-Imperialism, National Personality

Reference

1.

실시학사 고전문학연구회 편, 변영만전집 상․중․하, 성균관대 대동문화연구원, 2006.

2.

타고르, 유영 옮김, 타골전집 1~7, 정음사, 1974.

3.

陳芳明, 臺灣新文學史 上․下 , 聯經, 2011.

4.

김진균, 「변영만의 비판적 근대정신과 문예추구」, 성균관대 박사논문, 2004, 1-171쪽.

5.

김복순, 「아일랜드 문학의 전유와 민족문학 상상의 젠더」, 민족문학사연구 제44집, 2010, 340-371쪽.

6.

김윤식, 「한국신문학에 있어서의 타골의 영향에 대하여」, 진단학보 32집, 1969, 197-274쪽.

7.

박병주, 「변영만 세계삼괴물 원본 고찰」, 민족문학사연구 52, 2013, 142-171쪽.

8.

서은주, 「번역과 문학 장의 내셔널리티」, 민족문학연구소 기초학문연구단, 한국근대문학의 형성과 문학 장의 재발견 , 소명출판, 2004, 244-267쪽.

9.

신익철, 「신문학 형성기 변영만의 타고르 비판」, 문헌과 해석 18호, 2002, 202-214쪽.

10.

신익철, 「근대문학형성기 변영만의 사상적 지향과 문학세계」, 한국한문학연구 32집, 2003, 415-499쪽.

11.

오문석, 「1920년대 인도 시인의 유입과 탈식민성의 모색」, 민족문학사연구 45집, 2011, 30-51쪽.

12.

이승희, 「조선문학의 내셔널리티와 아일랜드」, 탈식민의 역학 소명출판, 2008, 280-307쪽.

13.

임형택, 「변영만의 글쓰기 형식과 문학사상」, 대동문화연구 55, 2006, 173-190쪽.

14.

장정희, 「1920년대 타고르 시의 수용과 소파 방정환의 위치」, 인문연구 63호, 2011, 1-28쪽.

15.

한영규, 「변영만의 근대문명 비판-「관생록」을 중심으로」, 대동문화연구 55집, 2006, 259-296쪽.

16.

꾸마르 로이, 「타골의 문학사상, 그 한국적 수용」, 한국문화연구 제17집, 1995, 57-76쪽.

17.

김경일, 제국의 시대와 동아시아 연대」, 창비, 2011, 1-432쪽.

18.

김병철, 한국근대번역문학사연구 , 을유문화사, 1975, 1-954쪽.

19.

김병철, 한국근대서양문학이입사연구 상 , 을유문화사, 1980, 1-870쪽.

20.

김병철, 한국근대서양문학이입사연구 하 , 을유문화사, 1982, 1-826쪽.

21.

김병철, 한국세계문학문헌서지목록총람 , 단국대 동양학연구소, 1992, 1-650쪽.

22.

김양선, 근대문학의 탈식민성과 젠더정치학 , 역락, 2009, 1-351쪽.

23.

유 영, 타골의 문학 , 연세대출판부, 1983, 1-304쪽.

24.

이경덕 외, 탈식민주의:이론과 쟁점 , 문학과지성사, 2003, 1-433쪽.

25.

이옥순, 식민지 조선의 희망과 절망, 인도 , 푸른역사, 2006, 1-250쪽.

26.

이옥순, 인도현대사 , 창비, 2007, 1-314쪽.

27.

임옥희, 타자로서의 서구 , 현암사, 2012, 1-252쪽.

28.

태혜숙, 탈식민주의 페미니즘 , 여성문화이론연구소, 2001, 1-214쪽.

29.

최원식․백영서 엮음, 동아시아인의 ‘동양’ 인식 , 문학과지성사, 1997, 1-305쪽.

30.

가라타니 고진, 조영일 옮김, 네이션과 미학 , 도서출판 b, 2009, 1-270쪽.

31.

니라 유발-데이비스, 박혜란 옮김, 젠더와 민족 , 그린비, 2012, 1-280쪽.

32.

사카이 나오키, 후지이 다케시 옮김, 번역과 주체 , 이산, 2005, 277쪽.

33.

堤 彪, 比較文明論の誕生 , 刀水書房, 1988.

34.

Chakravarty, A. ed., A Tagore Reader, A & D Publishing, 2008.

35.

Collins, Michael, Empire, Nationalism and the Postcolonial World Rabindranath Tagore's Writings on History, Politics and Society, Routledge, 2011.

36.

Mills, Sara, Gender and Colonial Space, Manchester Univ. Press,2005.

37.

Roy, Basanta Koomar /Mabie, Hamilton W., Rabindranath Tagore the Feminist Poet of Indian Nationalism, Kessinger Publishing, 2010.

38.

Tagore, R., Nationalism, Macmillan, 1918.

39.

Thompson, Edward, Jr., Rabindranath Tagore - Poet and Dramatist : Poet and Dramatist, Pierides Press, 2007.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