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 KOREAN
  • P-ISSN1229-4632
  • E-ISSN2733-5925
  • KCI

The Study on the Legalization of Custom and Political Nature of Gender in Colonial Period - with Novels by Lee. Sun-Hee as the Center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14, v.0 no.33, pp.81-117
Kim Youn-Jung

Abstract

식민지 시대 여성의 이혼 청구는 급격하게 증가하여 사회적 문제로까지 대두되었다. 이혼은 신여성들의 퇴폐와 방종을 비난하기 위한 적절한 소재로 부상했다. 특히 이혼의 원인을 여성의 섹슈얼리티와 연관하여 문제 삼음으로써 결혼 제도를 이탈하거나 부정(否定)하는 여성들을 비정상성, 부도덕성으로 단정하고 그 사회적 위상과 주체로서의 정치성을 거세 또는 배제하였다. 식민지 조선 사회에서 이선희의 소설은 법과 제도에서의 젠더 평등을 요구했다. 이선희는 당대의 사회에 만연한 젠더 정의의 실현 불가능성이 어디에서 비롯되고 있는지를 문제 삼고 있으며, 그에 따른 젠더 불평등을 여성의 일상을 통해 고찰하고 평등의 재정의, 재분배를 요구한 것이다. 따라서 이선희 소설 속 여성인물들은 정치적 주체들이라고 할 수 있다. 그들은 몫이 없는 자들을 스스로 재현해내면서 사회 공동체 내에서 인지되지 않은 영역을 보이게 하고, 배제되어 있었던 존재들을 불러들여 그들의 목소리를 들려주고 있기 때문이다. 요컨대, 이선희 소설은 여성의 이혼 청구권을 소재화 함으로써 비가시적으로 강화되었던 젠더 불평등의 문제를 제기한 것이다. 또한 여성인물을 통해서 여성의 관점으로 포착한 근대 결혼법의 모순과 법의 한계를 비판함으로써 정치적 주체로서의 여성을 재현해내었다. 이는 개인적 주체로서의 여성에 한정된 문제의식을 넘어서는 것이며, 남성적 담론으로 인식되어 온 법률을 적극적으로 차용함으로써 젠더 정의의 실현 의지를 밝힌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keywords
이선희, 이혼, 분배, 인정, 젠더, 정치성, Lee. Sun-Hee, Divorce, Distribution, Recognition, Gender, Politics

Reference

1.

이선희 외, 월북작가대표문학 5, 서음출판사, 1989.

2.

오태호 엮음, 이선희 소설 선집 , 현대문학, 2009.

3.

김경일, 근대의 가족, 근대의 결혼 , 푸른역사, 2012, 320쪽, 358~359쪽.

4.

김미현, 「성장과 생존의 두겹쓰기-이선희론」, 페미니즘과 소설비평 , 한국여성소설연구회, 한길사, 1995, 355~396쪽.

5.

김민정 외, 「여성과 정치」, 젠더정치학 , 한울아카데미, 2011, 22쪽.

6.

김선희, 「여성의 범주와 젠더정체성의 법적 수행」, 이화젠더법학 제4권 제2호, 이화여자대학교 젠더법학연구소, 2012.12, 15-16쪽.

7.

김원식, 「지구화 시대의 정의(正義): 낸시 프레이저의 정의론 검토」, 철학탐구 28집,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2010, 113-139쪽.

8.

백미연, 「페미니즘과 정의 : 분배와 인정의 통합」, 고려대 박사논문, 2006, 3~7쪽.

9.

서정자, 「이선희소설연구 : 인물의 삼각구조와 상징을 중심으로」, 원우논총 제3집,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원우회, 1985, 53~86쪽.

10.

소현숙, 「식민지시기 근대적 이혼제도와 여성의 대응」, 한양대 박사논문, 2013, 171~174쪽.

11.

오태호, 「이선희 소설에 나타난 젠더의식 연구」,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 2010, 175~199쪽.

12.

이상환, 「사회 정의와 정치적인 것의 차원 : 프레이저의 정의론을 중심으로」, 사회와 철학 , 사회와 철학 연구회, 2006, 127~156쪽.

13.

이선옥, 「이선희-집과 거리의 긴장의 미학」, 역사비평 , 역사문제연구소, 1997, 337~352쪽.

14.

이은경, 「사회 정의와 성 주류화: 낸시 프레이저의 논의를 분석하며」, 한국정책학회 학술대회 , 한국정책학회, 2010, 280쪽.

15.

이재선, 한국현대소설사 , 홍성사, 1979, 439~441쪽.

16.

이혜선, 「1920~30년대 新女性 ‘第二夫人’ 연구」, 이화여대 석사논문, 2007, 29~46쪽.

17.

장두식, 「근대적 결혼제도 정착과정과 소설의 관련양상」, 국문학논집 제21호, 단국대학교 국어국문학과, 52~53쪽.

18.

전경옥 외3인, 한국여성정치사회사 ,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소, 2004, 71~72쪽.

19.

조은희, 「이혼의 자유와 그 한계」, 가족법연구 제21권 1호, 한국가족법학회, 137쪽.

20.

홍양희, 양현아, 「식민지 사법관료의 가족 ‘관습’ 인식과 젠더 질서」, 사회와 역사 제79집, 한국사회사학회, 2008, 171쪽.

21.

자크 랑시에르, 미학안의 불편함 , 주형일 역, 인간사랑, 2008, 67쪽.

22.

주디스 버틀러, 젠더트러블 , 조현준 역, 문학동네, 2008, 99쪽.

23.

낸시 프레이저, 지구화시대의 정의 , 김원식 역, 그린비, 2010, 195쪽.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