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Ecological Consciousness and Gender Ethics in 『Nangido』: Swearwords and Ethics of Caring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14, v.0 no.33, pp.413-442
Song, In Hwa
  • Downloaded
  • Viewed

Abstract

본고는 1983년 발표된 정연희의 『난지도』를 대상으로 작품에 나타난 생태학적 상상력을 분석하되, 특히 젠더 관점에서 그것을 해명하고자 하였다. 여성주의적 관점에서 생태주의적 인식을 해명하고자 한 것으로 자본주의적 물질주의가 초래한 대상화된 사유 방식과 그로 인해 억압된 타자 특히 여성의 목소리가 작품에 어떻게 재현 혹은 표현되는지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난지도』는 자본주의 문명이 만들어낸 인간중심적 폭력성을 쓰레기매립장을 배경으로 고발하고 있다. 자본의 논리로 황폐화되는 자연과, 이윤 창출의 목적성에 지배된 대상화된 인간관계를 문제적으로 제시하는데 전면화된 자본 지배를 윤리적 타락을 통해 강조하면서 특히 자본가 노인의 성매매를 통해 억압성을 극적으로 부각시킨다. 자연은 물론 여성 억압의 원인을 자본주의적 물질주의로 규정하는 것이다. 『난지도』는 이러한 폭력에 대한 대항적 공존을 비합리적 규범 밖의 언어인 욕설을 통해 모색한다. 욕설이 가지고 있는 가학성, 성적 희열, 성역 파괴를 통해 자본주의적 체계의 합리성을 공격하는 것으로, 하층민 여성들의 욕설을 통해 남성들의 허위성을 해학적으로 공격하는 동시에 여성-육체의 불결함과 희생적 의미를 넘어선다. 발가벗고 웃는, 놀이를 통해 여성-육체는 남성들과 동등한, 자율적 육체로 재현되는 것이다. 그럼으로써 여성/남성, 육체/정신, 합리/비합리의 이분법적 경계와 그것의 위계적 억압성을 뛰어 넘는다. 생태 파괴의 원인으로 지목되는 이분법적, 위계적 인식의 경계를 무너뜨림으로써 양자 사이에 대항적 공존을 모색하는 것이다. 또한 작품은 돌봄의 여성 윤리를 통해 새로운 대안적 관계를 모색한다. 구체적인 경험과 환경 속에서 타인에 대한 배려와 도움을 실천하는 것으로, 여성들을 통해 구체화되는 돌봄을 통해 공존과 화해의 열망을 투사한다. 이들은 전적인 희생보다 타인과의 관계 속에서 깊은 공감을 바탕으로 자신이 할 수 있는 최대한의 도움을 실천한다. 이는 규범과 정의에 기초하여 추상적 원리로 체계화된 남성 윤리와 구분되는 것으로, 작품은 돌봄의 젠더윤리를 통해 생태계를 위협하는 자본주의적 인식의 폭력을 극복할 진정한 관계를 제시하고 있다.

keywords
생태주의, 이윤의 목적성, 대상화된 인식, 욕설, 돌봄의 윤리, Ecology, The purpose of the Profits, Objectification Thinking, Swearwords, Ethics of Caring

Reference

1.

정연희, 난지도 , 정음사, 1984.

2.

정연희, 목마른 나무들 , 여원, 1964.

3.

정연희, 석녀 , 文藝社, 1968.

4.

정연희, 고죄 , 中央出版公社, 1970.

5.

정연희, 비를 기다리는 달팽이 , 大運堂, 1978.

6.

정연희, 갇힌 自由 , 三益出版社, 1974.

7.

구미정, 생태여성주의와 기독교윤리 , 한들출판사, 2005, 5-209쪽.

8.

김미영, 「신경숙의 장편소설에 나타난 에코페미니즘적 글쓰기와 다문화시대(多文化時代)의 윤리(倫理)」, 동아시아문화연구 53권, 한양대학교동아시아문화연구소, 2013, 247-276쪽.

9.

김왕배, 「도덕감정」, 감성사회 , 글항아리, 2014, 47-80쪽.

10.

김욱동, 「에코페미니즘과 생태중심주의 세계관」, 미국학논집 제29집 1호, 1997, 47-70쪽.

11.

김욱동, 「생태 비평과 비평 다원주의」, 문학생태학을 위하여 , 민음사, 1998, 225-275쪽.

12.

김욱동, 「성서와 생태주의」, 생태학적 상상력 , 나무심는사람, 2003, 227-283쪽.

13.

김현주, 「“아프레 걸”의 주체화 방식과 멜로드라마적 상상력의 구조-정연희의 목마른 나무들 을 중심으로」, 한국문예비평연구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06, 315-335쪽.

14.

이남호, 김원중, 우찬제, 「환경 문제와 문학」,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3-1, 한국문학과 이론학회, 1999, 9-73쪽.

15.

손승희, 「“돌봄”과 길리건의 여성윤리」, 기독교사상 462호 대한기독교서회, 1997, 109-125쪽.

16.

송인화, 「1960년대 연애 서사와 여성 주체-정연희 <석녀>를 중심으로-」, 한국문예비평연구 , 25권, 2008, 143-175쪽.

17.

송인화, 「정연희 소설의 죄의식 연구」, 문학과종교 , 한국문학과종교학회 17권 2호, 2012, 105-126쪽.

18.

송인화, 「196, 70년대 감성-규율-프레임과 젠더-정연희 자전소설에 나타난 불륜 담론 연구-」, 여성문학연구 30권, 2013, 385-415쪽.

19.

송지현, 「문학비평으로서의 생태여성론(Ecofeminism)」,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3-1, 한국문학 이론과 비평학회, 1992, 97-115쪽.

20.

윤재학, 「언어, 문화 : 욕설의 형성 과정에 관한 소고」, 비교문학연구 35권, 2014, 237-268쪽.

21.

정현기, 「작품론-濁流, 1980년대의 한 비관적 전망」, 난지도 , 정음사, 1985, 277-283쪽.

22.

조주영, 「캐롤 길리건(Carol Gilligan)-도덕윤리로서의 보살핌」, 여/성이론 21호, 2009, 72-84쪽.

23.

최미진, 「1960년대 대중소설의 서사전략 연구-정연희의 장편소설을 중심으로」, 한국문학논총 25집, 1999, 112-135쪽.

24.

캐롤 길리건, 다른 목소리로: 심리이론과 여성의 발달 , 허란주 옮김, 동녘, 1997, 275쪽.

25.

태혜숙, 「몸, 바흐친, 페미니즘」, 영어영문학 48권 1호, 2002, 79-95쪽.

26.

핫토리 타미오, 「1980년대, 한국의 사회경제적 변화: 한국에 있어 1980년대는 어떤 시대였나」, 한일공동연구총서 ,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2006, 11-42쪽.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