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 KOREAN
  • P-ISSN1229-4632
  • E-ISSN2733-5925
  • KCI

The Politics in the Laughter and Poetic Language Found in the Poetry by Korean Women in the 1980s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15, v.0 no.34, pp.231-268
kimNanhee

Abstract

본고는 1980년대 여성시들이 당대의 억압적 상황에서 남성 중심의 사회적 참여시와는 또 다르게 현실에 저항하고, 다양한 방법론 차원에서 시적 담론을 주도하였다는 것을 밝히고자 기획된 것이다. 따라서 그동안 논의되어 온 여성주의적 입장이나 주제론적인 차원과는 달리 1980년대 여성시 주체들의 정치적, 사회적 인식이 시적 담론으로 어떻게 드러나는지, 그리고 그 시적 담론을 이끌어내는 형식적 매개인 ‘웃음’은 어떠한 시적 효과를 낳고 있는지 살펴볼 것이다. 이는 ‘끔찍한 근대’로 불리우는 1980년대의 정치적 폭압기 속에서 현실에 대한 ‘정치적 저항’이 남성 시인들만의 전유물이 아니고, 그들과는 또 다르게 현실에 대한 인식과 그 현실 감각을 펼쳐내는 여성시 주체들의 다양한 방법론이 존재했음을 보여주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 할 것이다. 고정희의 경우는 마당굿이라는 민중적 축제형식을 통해 지배계급을 조롱하는 카니발적 언어유희와 공동체적 웃음을 통해 정치적 응징의 효과를 보여주었으며, 최승자는 환멸의 웃음을 통해 현실의 모순에 대한 부정과 위반, 저항을 드러낸다. 특히나, 시대의 ‘가위눌림’에 대한 방법적 저항으로서의 유머와 아이러니는 당대의 권위와 거짓, 부패와 억압에 대항하는 독특한 장치로 기능을 한다. 마지막으로 김혜순은 의식적으로 웃음을 차용하고, 웃음은 그의 현실인식을 견인하는 일종의 방법론으로 뚜렷하게 기능을 하는데, 주로 펀(pun)이나 통사파괴 등을 통한 표층적 차원에서의 언어유희 양상은 현실의 억압을 놀이로 변형시킴으로써 현실적인 외압의 무게를 줄이는 시적 장치로 나타나고 있으며, 환상적 언어유희를 통해서는 현실의 무거움과 공포를 가볍게 하는 시적 효과를 보여준다.

keywords
1980s Korean Women Poetry, Laughter, Poetic Language, Politics, Goh Jung-Hee, Choi Seung-Ja, Kim Hye-Soon, Canival Language, Community Laughter, Disillusion, Humor, Irony, Laughter of Discrepany, Fun Fantastic., 1980년대 한국 여성시, 웃음, 시적 언어, 정치성, 고정희, 최승자, 김혜순, 카니발적 언어, 공동체적 웃음, 환멸, 유머, 아이러니, 불일치의 웃음, 유희적 환상성

Reference

1.

고정희, 『실낙원 기행』, 인문당, 1981.

2.

고정희, 『초혼제』, 창비, 1983.

3.

고정희, 『눈물꽃』, 실천문학사, 1986.

4.

고정희, 『광주의 눈물비』, 동아, 1990.

5.

최승자, 『이 시대의 사랑』, 문학과지성사, 1981.

6.

최승자, 『즐거운 일기』, 문학과지성사, 1984.

7.

최승자, 『기억의 집』, 문학과지성사, 1989.

8.

김혜순, 『또 다른 별에서』, 문학과지성사, 1981.

9.

김혜순, 『아버지가 세운 허수아비』, 문학과지성사, 1985.

10.

김혜순, 『어느 별의 지옥』, 청하, 1988.

11.

김혜순, 『우리들의 음화(陰畵)』, 문학과지성사, 1990.

12.

김정란, 『한국현대여성시인』, 나남출판, 2001, 52~67쪽.

13.

류종영, 『웃음의 미학』, 유로, 2005, 13~35쪽.

14.

최기숙, 『환상』, 연세대출판부, 2003, 7쪽.

15.

줄리아 크리스테바, 『시적 언어의 혁명』, 김인환 역, 동문선, 2000, 258쪽.

16.

지그문트 프로이트, 「슬픔과 우울증」, 『정신분석학의 근본 개념』, 윤희기 역, 열린책들, 2003, 254~255쪽.

17.

지그문트 프로이트, 『농담과 무의식의 관계』, 임인주 역, 열린책들, 282쪽.

18.

린다 허천, 김상구외 옮김,『패러디 이론』, 문예출판사, 1998, 22쪽.

19.

L. Hutcheon, Irony's Edge-The theory and politics, Routledge.1994, 15~18쪽.

20.

앙리 베르그송, 『웃음』, 정연복 역, 세계사, 1992, 15쪽.

21.

로즈마리 잭슨, 『환상성』, 서강여성문학회 역, 문학동네, 2001, 25쪽.

22.

김난희, 「1980년대 해체시의 웃음시학」, Compative Korean Studise , 국제비교한국학회 Vol.21, No2, 203~231쪽.

23.

김혜순, 「프랙탈, 만다라」, 『여성이 글을 쓴다는 것은』, 문학동네, 2004, 228쪽.

24.

김혜순, 「시는 시다」,『여성이 글을 쓴다는 것은』, 문학동네, 2004, 262쪽.

25.

김희정, 「조태일 시의 정치적 아이러니 연구」, 서강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26.

박인배, 「공동체문화와 민중적 신명」, 『민족과 굿』, 민족굿회 편, 학민사, 1992, 161쪽.

27.

성은애, 「문학에서의 웃음과 시니시즘」, 『문학동네』, 통권 제15호, 1998, 여름, 452쪽.

28.

심진경, 「환상문학 소론」,『한국문학과 환상성』, 서강여성문학연구회, 예림기획, 2001, 17~21쪽.

29.

이광호, 「위반의 시학, 그리고 신체적 사유」, 『현대시세계』, 1991, 2, 청하, 125쪽.

30.

정현경, 「웃음에 관한 몇 가지 성찰」, 『카프카 연구』, 제21집, 한국카프카학회, 2009, 221~242.

31.

최승자, 「‘가위눌림’에 대한 시적 저항」,『한 게으른 시인의 이야기』, 책세상, 1989, 163쪽.

32.

채희완, 「굿과 놀이와 마당굿」, 『한국무용연구』 vol 6, 한국무용연구학회, 1988, 45~50쪽.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