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현대 여성시에 나타난 ‘빈 몸’의 윤리와 감각화 방식 : 이수명, 조용미의 시를 중심으로

Ethic of 'empty body' and Sensationalizing Method Shown on Modern Women's Poetry- Focused on Poems of Lee Soo-myeong and Cho Yong-mi

여성문학연구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15, v.0 no.34, pp.269-306
김순아 (부경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Abstract

이 글은 현대 여성시에 나타난 ‘빈 몸’의 윤리와 감각화 방식을 이수명, 조용미의 시를 중심으로 읽었다. 이들 시의 ‘빈 몸’과 ‘감각화 방식’에 주목한 것은 여성시에 대한 기존의 연구가 주로 페미니즘을 토대로 전개되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여성시의 ‘몸’은 동양의 노장사상에서도 얼마든지 찾을 수 있다. 노장사상에서 ‘몸’은 세계의 기원이자 최고 인식의 자리로서 도(道)를 의미한다. 도(道)는 너무나 큰 것이기에 ‘텅 비어 있다고’ 할 수밖에 없는 자연/ 여성과 같은 것으로 두 시인의 시에서는 몸의 감각으로 드러난다. 이수명의 시는 ‘보이는 감각’이 지배적이다. 그의 시에서 ‘보이는 감각’은 서경(敍景) 그 자체로 제시되는 이미지로서의 관념을 표상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에 의해 개념화되기 이전, 날것으로서의 자연을 표상한다. 자연은 문명 이전의 야생, 즉 인간의 관념이 개입되기 이전의 세계이자 ‘빈 중심’으로서의 도(道)의 세계와 같다. 도는 유(有)와 무(無)가 상호 공존하며 끊임없이 이어지는 시원(始原)의 세계이며, 모든 존재는 스스로의 형상과 행위 자체로 의미화된다. 이러한 제시방법은 시적 자아의 관념을 비움으로써 대상을 ‘전적’으로 살려내는, 무위(無爲)의 윤리를 구현한다고 볼 수 있다. 이와 달리 조용미는 시각뿐 아니라 다양한 감각을 활용한다. 그는 대상을 바라보는 데서 그치지 않고, 손의 촉각과 청각을 빌려 대상을 감지하고 수용한다. 그리고 이에 따른 상념을 고정된 질서나 논리적 언어를 벗어나는 글쓰기로 전개하고 있다. 이는 작은 것으로 더 큰 우주를 만나려는 노장적 소요유와도 맥이 닿아 있다. 노장에서 소요(逍遙)는 정신적 자유를 의미하며, 그것은 수양의 과정을 통해 얻을 수 있다. 그 과정을 시인은 대상의 몸과 부대낌을 통해 드러내는데, 이때 몸의 이동과 변화는 자연스럽게 이루어진다. 이는 결국 참된 나(我)를 회복함으로써 얻어지는 자유를 향한다고 할 것이다. 두 시인의 시는 관념어보다는 구체적 사물을 시각이나 청각, 촉각 등으로 수용하여 노장적 사유를 표현했다는 점에서, 이미지만 제시한 근대(모더니즘)적 정신을 뛰어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이들의 시는 90년대 이후 여성시의 발전에 큰 역할을 담당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여성시, 노장사상, 무위, 소요, 감각, Women'S Poetry, Thoughts of Laozi and Zhuangzi, Non-Action, Free and Easy Wandering, Sense

참고문헌

1.

이수명, 『왜가리는 왜가리놀이를 한다』, 세계사, 1998.

2.

이수명, 『 붉은 담장의 커브』, 민음사, 2001.

3.

이수명, 『고양이 비디오를 보는 고양이』, 문학과지성사, 2005.

4.

조용미, 『불안은 영혼을 잠식한다』, 실천문학사, 1996.

5.

조용미, 『일만 마리의 물고기가 산을 날아오르다』, 창작과비평사, 2000.

6.

조용미, 『삼베옷을 입은 자화상』, 문학과지성사, 2004.

7.

김윤식 외, 『한국현대문학사』, 현대문학, 2009, 616쪽.

8.

리우샤오간, 『장자철학』, 최진석 역, 소나무, 2013, 85~225쪽.

9.

박이문, 『노장사상』, 문학과지성사, 2004, 49~146쪽.

10.

박찬부, 『기호, 주체, 욕망-정신분석과 텍스트의 문제』, 창작과 비평사, 2007, 1~370쪽.

11.

원정근, 『도가철학의 사유방식』, 법인문화사, 1997, 7~8쪽.

12.

정화열, 『몸의 정치』, 민음사, 2000, 241~242쪽.

13.

정화열, 『몸의 정치와 예술, 그리고 생태학』, 아카넷, 2006, 48~49쪽.

14.

최진석, 『노자의 목소리로 듣는 도덕경』, 소나무, 2014, 27~90쪽.

15.

강신주, 「장자철학에서의 소통(通)의 논리-『장자』<내편>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2, 1~281쪽.

16.

김남옥, 「몸의 사회학적 연구현황과 새로운 과제」, 『사회와 이론』 통권21~1집, 한국이론사회학회, 2012, 289~326쪽.

17.

김순아, 「현대 여성시에 나타난 ‘몸의 시학’ 연구- 김언희·나희덕·김선우의 시를 중심으로」, 부경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1~199쪽.

18.

김순아, 「현대 여성시에 나타난 ‘몸’의 상상력과 언술 특징 - 김수영, 허수경의 시를 중심으로」, 『한어문교육』 제31집, 한국언어문학교육학회, 2014, 205~236쪽.

19.

김순아, 「현대 여성시에 나타난 ‘몸’의 상상력과 노장사상적 특성- 김수영, 김선우의 시를 중심으로」, 『여성문학연구』 제33집, 여성문학학회, 2014, 443~479쪽.

20.

김승희, 「상징질서에 도전하는 여성시의 목소리, 그 전복의 전략들」, (한국여성문학학회) 『한국여성문학 연구의 현황과 전망』, 소명출판, 2008, 269~301쪽.

21.

김용희, 「한국에서 여성/시인으로 살아간다는 것」, 『시작』 통권3호, 천년의 시작, 2004, 69~79쪽.

22.

김진아, 「몸주체와 세계 - 메를로-퐁티의 현상학적 신체론과 페미니즘」, 한국여성연구소편, 『여성의 몸-시각․쟁점․역사』, 창작과비평사, 2005, 20~44쪽.

23.

김해옥, 「대중문화 속의 페미니즘의 틈새읽기」. 『리토피아』 통권16호, 2004, 10~19쪽

24.

김향라, 「한국 현대 페미니즘시 연구- 고정희․최승자․김혜순의 시를 중심으로」, 경상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학위논문, 2010, 1~161쪽.

25.

박주영, 「영원히 지워지지 않는 흔적 : 줄리아 크리스테바의 모성적 육체」, (한국여성연구소 편),『여성의 몸 : 시각․쟁점․역사』, 창작과비평사, 2007, 70~94쪽.

26.

방금희, 「삶의 변주곡, 있음과 없음의 대위법 - 조용미, 『일만 마리의 물고기가 산을 날아 오르다』」, 『실천문학』 통권59호, 실천문학사, 2000, 331~334쪽.

27.

송유진, 「뤼스 이리가레의 여성주체성과 성차의 윤리학에 대하여」, 『여/성이론』, 도서출판 여이연, 2011, 158, 149~167쪽.

28.

송종원, 「이수명의 시에 작동하는 시적 요소들-이수명론」, 『시와세계』 통권 48호, 시와세계, 2014, 98~109쪽.

29.

엄경희, 「상처받은 ‘가이아’의 복귀- 여성시에 나타난 에코페미니즘」, 『한국근대문학연구』 4권1호, 한국근대문학회, 2003, 336~361쪽.

30.

오강남, 「노장사상의 자연관 - 여성과 생태계를 중심으로」, 『한국여성신학』 제14호, 한국여성신학자협의회, 1993, 22~28쪽.

31.

이나영, 「아름답다고 어떻게 말할 수 있을까」, 『문학과사회』 통권24호, 문학과지성사, 2011, 278~298쪽.

32.

이봉지, 「엘렌 식수와 여성 주체성의 문제」, 『한국프랑스학논집』 제47집, 한국프랑스학회, 2004, 235~252쪽.

33.

이소희, 「후기 메를로-퐁티의 살의 존재론에서 본 세계」, 『철학과현상학연구』 제20집, 한국현상학회, 2003, 5. 181~204쪽.

34.

이은정, 「길들여지지 않는 나무들- 여성시에 나타난 ‘나무’의 시적 상상력」, 『여성문학연구』5호, 한국여성문학회, 2001, 221~252쪽.

35.

이창민, 「영혼과 무의식- 허수경, 『내 영혼은 오래되었으나』, 이수명,『붉은 담장의 커브』」, 『서정시학』 통권11호, 서정시학, 2001, 200~206쪽.

36.

이희경, 「여성시의 생태적 상상력」, 『한국언어문학』 50호, 한국언어문학회, 2003. 395~419쪽.

37.

이혜원, 「한국 현대 여성시에 나타난 자연 표상의 양상과 의미-‘물’의 표상을 중심으로」, 『어문학』 제107집, 한국어문학회, 2010, 351~382쪽.

38.

이혜원, 「미지의 세계를 향한 진지한 놀이-이수명론」, 『시작』 통권13호, 천년의 시작, 2014, 23~38쪽.

39.

정효구, 「왜가리놀이와 호랑이 잡기 - 이수명 시집 『왜가리는 왜가리놀이를 한다』, 최정례 시집 『햇빛 속에 호랑이』」, 『작가세계』 통권10호, 작가세계, 1998, 355~375쪽.

40.

조영복, 「꽃말의 모성과 불모성 - 조용미 시집, 『일만 마리의 물고기가 산을 날아오르다』」 『문학과사회』 통권13호, 문학과지성사, 2000, 1259~1260쪽.

41.

최문자, 「90년대 여성시에 나타난 어둠의식 탐구」, 『돈암어문학』 제14집, 돈암어문학회, 2001, 89~107쪽.

42.

최현식, 「세계와 내통한다는 것의 의미 - 조용미 시집 『삼베옷을 입은 자화상』」, 『실천문학』 통권74호, 실천문학사, 2004, 457~465쪽.

43.

홍용희, 「비밀의 숲, 존재의 시간성」, 조용미 시집, 『일만 마리의 물고기가 산을 날아오르다』, 창작과비평사, 2000, 102~114쪽.

여성문학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