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The Apartment’s Republic and the Democracy of Envy : Park Wan Suh’s novel during dictatorial era of development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16, v.0 no.39, pp.39-66
Kim EunHa
  • Downloaded
  • Viewed

Abstract

한국에서 아파트는 단지 주거의 한 유형이 아니라 경제적, 심리적 현상이다. 한국을 어디서나 아파트가 보이는 ‘아파트 공화국’으로 만든 것은 아파트 공간의 건축적 합리성이 아니다. 박정희는 62년 마포아파트 기공식에서 아파트가 “혁명한국의 한 상징”이 되기를 바란다고 했지만 이러한 바람은 60년대 말 강남개발이 본격화되고 부동산 투기 붐이 조성되면서 실현되었다. 강남개발은 막대한 이익을 창출해 극도로 편향된 부의 배분을 가져와 아파트를 사용가치의 주거공간이 아니라 자산 이득을 얻기 위한 투자대상으로 만들었다. 아파트는 욕망을 해방시키고, 운이 좋으면 한 몫 거머쥘 수 있다는 기대를 불어넣어 한강의 기적을 일으킨 박정희 모더니즘의 기념비(monument)다. 아파트는 나도 너처럼 잘 살고 싶다는 욕망의 민주주의를 유도함으로써 압축성장을 가져온 일등공신이다. 시기심은 다른 이가 차지한 행운에 대한 주체의 박탈감에서 비롯된 분노의 다른 표현, 즉 사회의 부조리와 불평등에 반응하는 주체의 양식이다. 이는 시기심이 정치적 충동과 비판 의식이 잠재된 사회 민주주의적 감정이 될 수 있음을 암시한다. 그러나 시기심에 사로잡힌 주체는 타인을 많이 갖기 게임의 경쟁자로 가정하기 때문에 도덕적 행위자가 되지 못하고, 이는 시민사회의 도덕 원리로서 공감의 실패로 이어진다. 시기심은 타인을 선망하고 흉내내는 데 몰두하는 맹목으로 패거리의식을 낳고 취약한 사회집단에 대한 차별이 될 수 있다. 시기심은 수직사회에서 비교의식에 따른 주체의 선망과 좌절 그리고 우울은 불안이나 소외 같은 근대 감정처럼 공론화될 필요가 있다. 시기심이 사회적 약자에게서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감정이라면, 사회자본이 매우 취약한 여성들이 행운을 거머쥔 이에 대한 시기심을 더 고통스럽게 경험할 가능성이 높다. 7-80년대에 발표된 박완서의 단편소설은 강남개발 이후 내 집 마련 열풍의 사회적 맥락을 바탕으로, 여성들의 근대 체험의 의미를 포착한다. 소설 속 근대화 여성 1세대들은 살림이나 양육 등 전통적인 여성 역할에 머물지 않고 ‘복부인’, ‘교육엄마’로 가족의 신분이동, 계급이동을 위해 분투함으로써 박정희 체제의 일원이 되었다. 박완서는 개발기 모성의 희생적 위치를 부각시키는 대신 그것의 부도덕성을 까발리는 반(反) 멜로드라마로서 제도적 여성성을 성찰의 대상으로 포착한다.

keywords
아파트, 박정희 모더니즘, 한국 근대화, 시기심, 감정, 여성, 속물 등, Apartment, Park Jung-hee's Mdernism, Mdernization of Krea, Envy, Emotion, Woman, Snob etc

Reference

1.

박완서, 『어떤 나들이 - 박완서 단편소설 전집 1』, 문학동네, 1999.

2.

박완서, 『조그만 체험기 - 박완서 단편소설 전집 2』, 문학동네, 1999.

3.

박완서, 『아저씨의 훈장 - 박완서 단편소설 전집 3』, 문학동네, 1999.

4.

박완서, 『해산바가지 - 박완서 단편소설 전집 4』, 문학동네, 1999.

5.

박완서, 『가는 비, 이슬 비 - 박완서 단편소설 전집 5』, 문학동네, 1999.

6.

김백영, 「서울, 은자의 고도에서 세계도시로」, 『도시는 역사다』(도시사학회 기획), 서해문집, 2011, 30∼31쪽.

7.

김영미, 「소비사회와 시기하는 주체」, 『감정의 지도 그리기』(이명호 외), 소명출판사, 2015, 245쪽.

8.

김영희, 「근대 체험과 여성성: 박완서, 김인숙, 공선옥의 소설」, 『창작과 비평』 89, 1995, 69∼92쪽.

9.

소영현, 「전쟁 경험의 역사화, 한국 사회의 속물화-헝그리 정신과 시민사회의 불가능성」, 『한국학연구』 32집, 2014, 273∼313쪽.

10.

오창은, 「아파트 공간에 대한 문화적 저항과 수락-박완서의 「닮은 방들」과 이동하의 「홍소」를 중심으로」, 『어문론집』 33, 2005, 163∼190쪽.

11.

이명호, 「감정의 문화정치」, 『감정의 지도그리기: 근대/후기 근대의 문학과 감정 읽기』(이명호 외지음), 소명출판사, 2015,

12.

이은지, 「한국에서 주택 담론의 역사적 변화: 1970∼2000년대 신문기사를 통해 본 '내집마련' 담론」,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113∼117쪽.

13.

이청준, 「불알 깐 마을의 밤」, ≪뿌리 깊은 나무≫ 77년 11월, 뿌리깊은 나무.

14.

장은주, 「상처 입은 삶의 빗나간 인정투쟁」, 『사회비평』 통권 39호, 2008, 나남출판사, 14∼34쪽.

15.

게오르그 짐멜, 「대도시와 정신적 삶」, 『짐멜의 모더니티 읽기』, 김덕영․ 윤미애 역, 새물결, 2005, 35∼53쪽.

16.

데이비드 바래시․나넬 바래시, 「오셀로, 그리고 성남 남자들」, 『보바리의 남자, 오셀로의 여자』, 사이언스북스, 2008, 36∼41쪽.

17.

강준만, 『강남, 낯선 대한민국의 자화상』, 인물과 사상사, 2006, 329쪽.

18.

박해천, 『아파트 게임』, 휴머니스트, 2013, 22∼23쪽.

19.

송호근, 『한국의 평등주의, 그 마음의 습관』, 삼성경제연구소, 2006, 50쪽.

20.

전상인, 『아파트에 미치다』, 이숲, 2009, 21∼24쪽.

21.

최병두, 『근대적 공간의 한계』, 삼인, 2002, 365∼366쪽.

22.

한종수․계용준․강희용, 『강남의 탄생』, 미지북스, 2016, 17∼28쪽.

23.

함인희, 『부엌의 문화사』, 살림, 2005, 54∼62쪽.

24.

낸시 에이블먼, 『사회이동과 계급, 그 멜로드라마 - 미국 인류학자가 만난 한국 여성들의 이야기』, 강신표․박찬희 역, 일조각, 2014, 41쪽.

25.

로버트 스키델스키․에드워드 스키델스키, 『얼마나 있어야 충분한가』, 김병화 역, 부키, 2013, 80쪽.

26.

롤프 하우블, 『시기심: ‘나’는 시기하지 않는다』, 이미옥 역, 에코 라이브러리, 2009, 7∼35쪽.

27.

마르키 드 콩도르세, 『인간정신의 진보를 위한 역사적 개요』, 장세룡 역, 책세상, 2002, 120쪽.

28.

발레리 줄레조, 『아파트 공화국: 프랑스 지리학자가 본 한국의 아파트』, 길혜연 역, 후마니타스, 2007, 63쪽.

29.

버트런트 러셀, 『행복의 정복』, 이순희 역, 사회평론, 2005, 100쪽.

30.

볼테르, 『철학사전』, 사이에 역, 민음사, 2015, 250쪽.

31.

아리스토텔레스, 『니코마코스 윤리학』, 김재홍․강상진․이창우 역, 길, 2011, 181∼206쪽.

32.

알렉시스 드 토크빌, 『미국의 민주주의』, 임효선 역, 한길사, 2009, 111쪽.

33.

줄리엣 미첼, 『동기간: 성과 폭력』, 이성민 역, 도서출판b, 2015, 110쪽.

34.

조지프 엡스타인, 『시기』, 김시현 역, 민음in, 2007, 32쪽.

35.

츠베탕 토도로프․베르나르 포크롤․로베르 르그로 공저, 『개인의 탄생』, 전성자 역, 에크리, 2000, 112∼164쪽.

36.

캐럴 페이트먼, 『남과 여, 은폐된 성적 계약』, 이충훈․유영근 역, 이후, 2001, 100쪽.

37.

Sianne Ngai, Ugly Feelings, Cambridge: Harvard UP, 2005, pp.128∼9.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