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 KOREAN
  • P-ISSN1229-4632
  • E-ISSN2733-5925
  • KCI

Comparative Research Regarding Affect Studies and the Theoretical Resources of Gender Studies: Puissance of Ungovernables and the Fear Against the 'La Foule de Femme'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16, v.0 no.39, pp.7-38
Kwon Myoung A

Abstract

This thesis is the Comparative research regarding affect studies and the theoretical resources of gender studies. Especially focusing on the puissance of ungovernables and the fear against the 'la foule de femme'. Almost every affect studies produce in Western part and East Asia emphasize the gender studies, feminist researches and queer studies as theoretical resources of affect studies. In contrast with this 'general' tendencies of affect studies some studies of Korean 'left' group are eliminate gender studies, feminist researches and queer studies as theoretical resources of affect studies. This tendency of affect studies in Korean academic world is the historical effect of sexism and colonialism in scholarly field.

keywords
Affect Studies, Gender Studies, Modern Public Sphere, Le Public, La Foule, La Foule de Femme, Megallian, 정동, 페미니즘, 여자 떼, 다스릴 수 없는 자들, 시민적 공론장, 군중, 메갈리아, 혐오발화

Reference

1.

『여성혐오와 수치;테러시대 도시의 불안』 심포지엄 자료집, 서울시립대 도시인문학연구소, 여성문화이론연구소 공동 개최, 2016.

2.

『혐오의 시대에 맞서는 성소수자에 대한 12가지 질문』, 한국 성소수자 연구회, 2016.

3.

『혐오표현의 실태와 대책』, 토론회 자료집, 서울대학교 인권센터, 2016.

4.

임옥희, 『젠더, 감정, 정치』, 여이연, 2016, 1∼304쪽.

5.

정희진 외, 『여성 혐오가 어쨌다구?』, 현실문화연구, 2015, 1∼256쪽.

6.

조정환, 『인지자본주의』, 갈무리, 2011, 1∼516쪽.

7.

조정환, 『예술인간의 탄생 - 인지자본주의 시대의 감성혁명과 예술진화의 역량』, 갈무리, 2015, 1∼428쪽.

8.

멜리사 그레그· 그레고리 시스워그 편저, 『정동 이론』, 최성희·김지영·박혜정 역, 갈무리, 아프콤 총서 02, 2015, 24∼25쪽.

9.

송제숙, 『혼자 살아가기:비혼여성, 임대주택, 민주화 이후의 정동』, 황성원 역, 동녘, 2016, 1∼236쪽.

10.

안토니오 네그리· 마이클 하트, 『공통체』, 정남영·윤영광 역, 사월의 책, 2014, 108∼109쪽.

11.

Catharine A. MacKinnon and Andrea Dworkin, Pornography and Civil Rights: A New Day for Women's Equality, Minneapolis: Organizing Against Pornography, 1998.

12.

Catharine A. MacKinnon, Only Words, Cambridge:Havard University Press 1993.

13.

Jeremy Waldron, The Harm in Hate Speech, Havard University Press;Cambridge,Massachusetts, 2014.

14.

Judith Butler, Burning Act:Injurious Speech, 3 University of Chicago Law School Roundtable 199, 1996.

15.

Judith Butler, Exicitable speech: A politics of the Performative, Routledge(New York & London), 1997.

16.

Keith N. Hylton, Implication of Mill's Theory of Liberty for the Regulation of Hate Speech and Hate Crimes, 3 University of Chicago Law School Roundtable, 35, 1996.

17.

Matsuda, Charles R. Lawrence, Richard Delgado, and Kimberle Williams Crenshaw, Words That Wound:Critical Race Theory, Assaultive Speech, and the First Amendment, Boulder, CO:Westview Press, 1993 .

18.

Susan Dwyer ed. The Problem of Pornography, Belmont, CA: Wadsworth Publishing Company, 1995.

19.

Wendy Brown, State of Injury:Power and Freedom in Late Modernity, Princeton: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5.

20.

권명아, 「전쟁 상태적 신체와 슬픔의 공동체: 냉전 체제의 사회 병리적 현상에 대한 담론과 정념 공동체의 위상」, 『석당학술논총』, 56집, 2013, 1∼35쪽.

21.

권명아, 「이행과 자기해방의 결속체들: 대안인문학 운동의 곤경과 실험」, 『안과밖』, 35호, 2013, 121∼145쪽.

22.

권명아, 「정동의 과잉됨과 시민성의 공간:홍수의 표상과 잠수의 정치학」, 『서강인문논총』, 37호, 2013, 115∼142쪽.

23.

권명아, 「마음을 놓다:안심의 어소시에이션을 위하여」, 『석당학술논총』, 59집, 2014, 1∼34쪽.

24.

권명아, 「소녀의 죽음과 퀸의 미로: 여성적 가치와 파시즘의 교착에 관한 단상」, 『문화과학』, 78호, 2014, 130∼143쪽.

25.

권명아, 「형상화의 폭력과 문학윤리의 재정치화」(일어), 『조선학회』, 조선학회 정기학술대회 발표문, 2015년 10월.

26.

권명아, 「무한한 상호작용, 데모」, 『실천문학』, 120호, 2015, 370∼380쪽.

27.

권명아, 「대중혐오와 부대낌의 복잡성」, 『문학동네』, 23호, 2016, 1∼9쪽.

28.

권명아, 「신냉전 질서의 도래와 혐오발화/증오정치 비교역사 연구」, 『역사문제연구』 35호, 2016, 11∼45쪽.

29.

김성호, 「존재 리얼리즘을 향하여:최근의 총체성과 리얼리즘 논의에 부쳐」, 『창작과 비평』, 제42권 제3호(통권 165호), 2014, 333∼352쪽.

30.

김은주, 「에토스로서의 윤리학과 정동」, 『시대와 철학』, 26권 1호. 2015, 43∼75쪽.

31.

김은주, 「여성주의와 긍정의 윤리학:들뢰즈의 행동학을 기반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철학과 박사학위논문, 2013.

32.

김재인, 「지젝의 들뢰즈 읽기에 나타난 인간주의적-관념론적 오독」, 『진보평론』, 56호, 2013, 196∼220쪽. .

33.

김정하, 「트라우마와 정동」, 『비평과 이론』 19, 2014, 1∼18쪽.

34.

김종갑, 「혐오와 여성의 살:정동과 감정」, 『안과 밖』, Vol.40 No. 영미문학연구회, 2016, 54∼77쪽.

35.

김현미, 「인종주의 확산과 ‘국가없음’」, 『2014 인종차별 실태보고대회 자료집』,UN 인종차별특별보고관방한 대응 시민사회단체 공동 사무국, 2014, 8∼12쪽.

36.

김현희. 「외국인 범죄/테러리즘과 반다문화 정서의 “글로벌화”」. 『OUGHTOPIA』, 30(1), 2016.5., 213∼242쪽.

37.

문강형준, 「재난 시대의 정동」, 『여성문학연구』, 35호,2015, 41∼67쪽.

38.

박기순, 「들뢰즈와 스피노자: 무한의 사유」,『진보평론』,2007,41∼64쪽.

39.

박현선, 「정동의 이론적 갈래들과 미적 기능에 대하여」, 『문화과학』 2016. 6., 59∼81쪽.

40.

서동진, 「우울한 가족:금융화된 세계에서의 가족과 정동」,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31, 2015, 47∼84쪽.

41.

손희정, 「혐오의 시대」, 『여/성이론』, 32호, 2015, 12∼42쪽.

42.

엄진, 「전략적 여성 혐오와 그 모순:인터넷 커뮤니티 ‘일간베스트저장소’의 게시물 분석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여성학과 석사학위논문, 2015.

43.

오명석, 「지식의 통섭과 인류학」, 『비교문화연구』 18, 2012 175∼222쪽.

44.

유민석, 「혐오발언에 관한 담화행위론적 연구』, 동국대 철학과 석사학위 논문, 2015.

45.

유민석, 「혐오발언에 기생하기 : 메갈리아의 반란적인 발화」, 『여/성이론』, 33호, 2015, 126∼152쪽.

46.

유재홍, 「들뢰즈의 문학비평 - 비인칭적 자아를 중심으로」, 『한국프랑스학논집』 41, 2013, 343∼364쪽.

47.

윤영도, 「소셜 미디어 장과 리액션의 정동역학(情動力學)」. 『중국현대문학』, (77), 2016, 113∼143쪽.

48.

이강형·김상호,. 「감정과 공론장」. 『언론과 사회』, 22(1), 2014, 79∼113쪽.

49.

이묘랑·차현숙(다문화+인권을 생각하는 모임), 「교과과정 속의 인종주의 혹은 인종차별」, 『2014 인종차별 실태보고대회 자료집』, UN 인종차별특별보고관방한 대응 시민사회단체 공동 사무국, 2014, 20∼28쪽.

50.

이수안, 「감각중심 디지털 문화와 포스트휴먼 징후로서 `호모 센수스(homosensus)`의 출현」. 『문화와 사회』, 18, 2015, 127∼168쪽.

51.

이승현, 「혐오표현(hate speech)에 대한 헌법적 고찰」, 연세대학교 법학과 박사학위논문, 2015.

52.

이연식, 「해방 직후 ‘우리 안의 난민·이주민 문제’에 대한 시론」, 『역사문제연구』, 35호, 2016, 117∼166쪽.

53.

이정숙, 「"프레스 정동"의 탄생과 문학자의 "선언" -『동아일보』 "백지광고"에 나타난 시민성을 중심으로」,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민족문학사연구』, 60호, 2016, 101∼126쪽.

54.

이정숙, 「1970년대 한국 소설에 나타난 가난의 정동화」,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55.

이찬행, 「그들은 왜 빈센트 친을 죽였을까?」, 『역사문제연구』, 35, 역사문제연구소, 2016, 47∼78쪽.

56.

이항우, 「동료 생산(peer production)과 시장」, 『경제와사회』 99, 비판사회학회, 2013, 153∼183쪽.

57.

이항우, 「구글의 정동 경제(Affective Economy)」. 『경제와사회』 102, 2014, 208∼236쪽.

58.

이항우, 「‘이윤의 지대되기’와 정동 엔클로저」, 『한국사회학』 50(1), 2016, 189∼219쪽.

59.

임국희, 「맨스플레인, 폭로의 정치를 넘어서」, 『여/성이론』 33호, 2015, 153∼165쪽.

60.

정수영, 「공감과 연민, 그리고 정동(affect)」. 『커뮤니케이션 이론』 11(4), 2015, 38∼76쪽.

61.

정혜실, 「미디어 속의 인종주의」, 『2014 인종차별 실태보고대회 자료집』, 2014, 13∼19쪽.

62.

조강석, 「시 이미지 연구 방법론」, 『한국시학연구』 42, 2015, 265∼306쪽.

63.

조강석, 「1960년대 한국시의 정동(情動)과 이미지의 정치학 (1)」, 『한국학연구』 38집, 2015, 63∼90쪽.

64.

조경희, 「전후일본 70년과 복수의 평화주의 -SEALDs의 운동과 정동」, 『사이』, Vol.20 No. 2016, 267∼299쪽.

65.

진태원, 「정동인가 정서인가」, 『현대시학』 2016년 4월호.

66.

천정환, 「강남역 사건부터 ‘메갈리아’ 논쟁까지」, 『역사비평』, 116호, 2016.

67.

최성희, 「『햄릿』영화들과 정동」. 『새한영어영문학』, 58(1), 2016, 43∼68쪽.

68.

최원, 「정동 이론 비판」, 『문화과학』, 2016년 6월, 82∼111쪽.

69.

학생인권조례 성소수자 공동행동, 『성적소수자 학교 내 차별 사례모음집』, 2011.

70.

허윤, 「냉전 아시아적 질서와 1950년대 한국의 여성혐오」, 『역사문제연구』, 35호, 역사문제연구소, 2016, 79∼115쪽.

71.

홍지영, 「들뢰즈의‘되기’개념을 통해 재고하는 섹슈얼리티의 문제」, 이화여자대학교 철학과 석사학위논문, 2012.

72.

Jenifer Hornsby, "Disempowered Speech", Disempowered Speech, Philosophical Topics 23, no.2, 1996, pp.127∼147.

73.

Lisa H. Schwartzman, "Hate Speech, Illocution, and Social Context:A Critique of Judith Butler", Journal of Social Philosophy, vol. 33 No.3, Fall 2002, pp.421∼441.

74.

Marth Nussbaum, "The Professor of Parody", New Republic 37(1999): pp.37∼45.

75.

Rae Langton, "Speech Acts and Unspekable Acts", Philosophy and Public Affairs, 22, 1993, pp.293∼330.

76.

Rae Langton, "Subordination, Silence, and Pornography's Authority", Censorship and Silencing:Practice of Cultural Regulationn, ed. Robert Post, Los Angeles:Getty Research Institute for the History of Art and Humanities, 1998.

77.

Rae Langton, "Whose right? Ronald Dworkin, Women, and Pornographers", Philosophy and Public Affairs 19, 1990.

78.

Wendy Brown, “Freedom's Silence", Censorship and Silencing, 1998, pp.313∼327.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