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나에서 우리로, 젠더에서 인간으로: 주디스 버틀러의 『젠더 트러블』과 『젠더 허물기』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between Gender Trouble and Undoing Gender by Judith Butler: My Identity to Beside Myself, Gender to Humanness

여성문학연구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17, v.0 no.40, pp.239-266
조현준 (경희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이 논문은 주디스 버틀러의 『젠더 트러블』과 『젠더 허물기』를 중심으로 버틀러의 전기 페미니즘과 젠더 정치학과 후기 타자의 윤리학의 차이를 살피는 한편 그럼에도 불구하고 계속 유지되는 계보학적 관점에도 주목하려 한다. 구성적 타율과 관계적 감성을 중심으로 ‘나’에서 ‘우리’로의 전환을, 젠더의 소수성 때문에 인간과 미인간의 경계에 있는 트랜스나 인터섹스의 인간되기의 가능성을, 마지막으로 ‘내 안의 너’에서 ‘내 앞의 너’로의 이론적 변화를 중심으로 살피고자 한다. 『젠더 트러블』과 『젠더 허물기』로의 전환은 크게 첫째는 나에서 우리로 존재적 인식론을 확대한 점이고, 둘째는 이론적 정교함에서 현실적 정치성으로 선회해 사회 소수자에 대한 정치 윤리적 성찰을 전개한 점이며, 세 번째는 다문화 시대에 차이를 수용하는 올바른 방식으로서 문화 번역 실천을 제안한다는 점이다. 다시 말해 과거의 『젠더 트러블』이 ‘나’의 불안정하고 비결정적인 젠더 모호성을 옹호하면서 하나의 범주로 고정되지 않는 비정체성의 젠더 이론을 형성하고자 했다면, 『젠더 허물기』는 여성이면서도 사회적 소수자로, 또 성적 소수자로 살아가는 공동체인 ‘우리’앞에 놓인 현실적 사회 문화 역사 지역적 관계 속에서 소통하고 말하고 느끼는 현실의 정치 윤리적 삶을 논의한다는 점에서 전 후기 이론의 차이를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원인이라고 생각되는 근본적 전제에 대한 역사적 해석과 권력의 담론 작용 효과를 놓치지 않는 계보학적 관점은 전후기를 관통해 유지되고 있다.

keywords
『젠더 트러블』, 『젠더 허물기』, 구성적 타율성, 관계적 감성, 상호의존, 합주 행위, 나 자신을 잃고, 탈아, 계보학, 데이비드 라이머, 페미니즘 철학, 문화번역, 살만한 삶, 정치 윤리, Gender Trouble, Undoing Gender, constitutive heteronomy, relational emotions, interdependency, acting in concert, beside oneself, ec-stasy, genealogy, David Reimer, feminist philosophy, cultural translation, livable life, political ethics

Abstract

This essay aims to study the turn of Butler’s 'feminist and gender theory' to 'ethics for the others' combined with politics sustaining the same genealogical viewpoints, comparing Gender Trouble and Undoing Gender: 1) the turn from ‘I’ to ‘we’ based on the constitutional heteronomy; 2) the turn from ‘gender’ to ‘human’ mainly based on becoming human of transsex or intersex people; 3) the turn from ‘you inside of me’ to ‘you before me’ focused on the priority of others from ethical points of view. As Butler said in Undoing Gender, we are undone by each other because nobody can’t always stay static, and my body is not solely mine in the social world dominated by cultural norms. The turn from Gender Trouble to Undoing Gender can be explained in three points: 1) to enlarge the ontological epistemology from me to us; 2) to transform from the sophisticated theoretical positions to ethical and political practice to consider social minorities; 3) to place more emphasis on cultural translation practice as a politically correct way to accept the challenge of differences than colaitional politics in the era of this multicultural period. While Gender Trouble participated in theorizing indecisive, unstable and free floating sex, gender, sexuality as an effect of regulatory power and disciplinary discourse in non-identity politics with the famous statement of “sex is always already gender,” Undoing Gender keenly recognizes the practical phases of ethical and political life of minorities like LGBTQI. At this point, the significance of cultural translation practice appears to accept the differences of queers without discrimination to live a livable and viable life. Last but not least, the genealogical viewpoints last consistently to stay skeptical to the fundamental assumptions such as a origin or a cause and also to reveal its historical context and discursive effects of the power regime. It requires permanent provisionality about gender possibilities and in particular about what it means to be human.

keywords
『젠더 트러블』, 『젠더 허물기』, 구성적 타율성, 관계적 감성, 상호의존, 합주 행위, 나 자신을 잃고, 탈아, 계보학, 데이비드 라이머, 페미니즘 철학, 문화번역, 살만한 삶, 정치 윤리, Gender Trouble, Undoing Gender, constitutive heteronomy, relational emotions, interdependency, acting in concert, beside oneself, ec-stasy, genealogy, David Reimer, feminist philosophy, cultural translation, livable life, political ethics

참고문헌

1.

Arendt, Hannah, Crises of the Republic, New York: Harcourt Brace Jovanoovich, 1972, p.143.

2.

Butler, Judith, Gender Trouble, New York: Routledge, 1990. p.33.

3.

Butler, Judith, Bodies That Matter, New York: Routledge, 1993, p.1-288

4.

Butler, Judith, Excitable Speech, New York: Routledge, 1997, p.1-182

5.

Butler, Judith, Psychic Life of Power, Stanford: Stanford UP, 1997, p.1-218.

6.

Butler, Judith et al. Hegemony, Contingency, Universality, London: Verso, 2000, p.1-330

7.

Butler, Judith, Antigone's Claim, New York: Columbia UP, 2000, p.1-112.

8.

Butler, Judith, Undoing Gender, New York: Routledge, 2004, p.1-320.

9.

Butler, Judith, Precarious Life, New York: Verso, 2004, p.1-168.

10.

Butler, Judith, Giving an Account of Oneself, New York: Fordham UP, 2005, p.1-176.

11.

Butler, Judith, Notes Toward a Performative Theory of Assembly, Cambridge: Harvard UP, 2015, pp.1-256

12.

Chambers, Samuel and Terrell Carver, Judith Butler and Political Theory: Troubling Politics, New York: Routledge, 2008, pp.75- 87

13.

Davis, Bronwyn. Ed, Judith Butler in Conversation: Analyzing the Texts and Talk of Everyday Life, New York: Routeldge, 2008, p.222.

14.

Jagger, Gill, Judith Butler: Sexual Politics, Social Change and the Power of the Performative, New York: Routeldge, 2008. pp.1-224.

15.

Kirby, Vicki, Judith Butler: Live Theory, London: Continuum International Publishing Group, 2006, p.123.

16.

Lloyd, Moya Judith Butler, Cambridge: Polity Press, 2007, p.134.

17.

게일 루빈, 「성적 거래: 주디스 버틀러의 게일 루빈 인터뷰」, 「일탈」, 현실문화사, 2015, 531-589.

18.

조현준, 「주디스 버틀러, 젠더 트러블」, 커뮤니케이션북스, 2016, 1-130.

19.

조현준, 「젠더는 패러디다」, 현암사, 2014, 1장.

20.

조현준, 「주디스 버틀러의 젠더 정체성 이론」, 학술정보연구, 2007, 3장.

21.

주디스 버틀러, 「윤리적 폭력비판: 자기 자신을 설명하기」, 양효실 역. 인간사랑, 2013, 116.

22.

주디스 버틀러, 「젠더 트러블」, 조현준 역, 문학동네, 2008, 147.

23.

주디스 버틀러, 「젠더 허물기」, 조현준 역, 문학과 지성사, 2015, 83-371.

24.

Deutsch, Francine M. "Undoing Gender." Gender and Society 21.1, February 2007, pp.106-127.

25.

New, Carline. "Undoing Gender." Journal of Critical Realism 5.2, 2006, pp.397-401.

26.

Peeters, Remi "Against Violence, but not at any Price: Hannah Arendt's Concept of Power," Ethical Perspectives 15.2, June, 2008, pp.169-192.

27.

Risman, Barbara J, "From Doing to Undoing: Gender as We Know it." Gender and Society, 23.1, February 2009, pp.81-84.

28.

조주영, 「삶의 가능성을 열기 위하여: 주디스 버틀러의 「젠더 허물기」」, 「여성이론」 34호, 여성문화이론연구소, 2016, 249-257.

29.

조현준, 「자기만의 방」과 「여인 무사」를 통해 본 <뮬란>의 여성주체 번역 실천: 주디스 버틀러의 문화번역에 나타난 정치와 윤리의 가능성」, 「여성문학연구」 39호, 한국여성문학학회, 2016, 375-411.

여성문학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