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는 일제 말기 선전영화의 ‘꽃’이었던 문예봉이 월북 이후 최초의 ‘인민배우’로 안착하기까지의 과정을 조명할 것이다. 구체적으로 북한 최초의 예술영화인 「내 고향」(1949)을 비롯해 「용광로」(1950), 「소년 빨치산」(1952) 등의 출연작을 분석하며, 부정해야 했던 일제 말기 선전영화 속 문예봉의 이미지가 해방 후 어떻게 반복, 변주되고 있는지를 논의한다. 문예봉은 월북 이후 매체 기고를 통해 북로당의 입장을 적극 강변하면서 강도 높은 사상성을 피력하는 동시에, 스크린 위에서는 과거와 마찬가지로 인고하는 병사의 연인이나 헌신적인 어머니 역할을 맡으며 기존의 스타 이미지를 이어간다. 이 과정에서 조선인 지원병 대신 인민 혁명군의 연인으로, 황국신민을 꿈꾸는 소년 대신 빨치산 소년의 어머니로 등장하며 과거의 이미지를 변주해 갔다. 그런데 북한 체제는 영화 속 문예봉의 연기와 관련해 신파성의 탈피, 해방 후 현실 생활의 체험, 정치성과 예술성의 조화 같은 이전과는 다른 역할의 형상화를 요구했다. 문예봉은 김일성 등이 내린 평가를 즉각적으로 수렴하는 동시에 적극적인 자아비판을 시작했고, 이어 사회주의체제하 인민의 생활과 인물의 형상을 연구하는 데 몰입했다. 이처럼 문예봉은 식민지시기 조선적 조강지처를 형상화하는 과정에서 얻었던 현모양처 이미지를 지켜가는 동시에, 사회주의 체제하의 급변하는 요구를 의식하고 부응해가는 과정에서 비로소 친일의 과거를 탈각하고 인민배우로 자리매김할 수 있었다.
This paper sheds light on the process leading up to the safe arrival of Mun Ye-bong, a “flower” of Japanese propaganda films during the latter colonial period to, the “people’s actress” after defecting to North Korea. Specifically, three films in which she appeared are analyzed – My Home Village (Nae kohyang, 1949), Blast Furnace (Yonggwangno, 1950), and Boy Partisan (Sonyŏn ppalch'isan, 1952) – the first of which was North Korea’s first art film. The paper discusses how Mun’s image in Japanese propaganda films was necessarily denied by her North Korean handlers, and how that image was then repeated and varied following the Liberation. Once she defected to the North, Mun actively advocated the Bukrodang (北勞黨) ideology with energy and sophistication via a media columnist. At the same time, she continued to cultivate the same star image that she had portrayed in the Colonial Period, either as the lead romantic interest for a stoic soldier or as a devotional mother figure. Thus, rather than playing the romantic interest for a Korean collaborator, she began playing the romantic interest for a member of the People’s Revolutionary Army. Likewise, when she played a motherly role, the son who dreamed of being a loyal subject of Japan (皇國臣民) was swapped out for a boy partisan. Of note, the North Korean regime demanded that Mun take on different roles than those she had depicted under Japanese rule. Her new handlers wanted her to bring modern experiences to the screen, including the escape from Shinpaseong (新派性), experiences reflecting life after the Liberation, and the harmony between politics and artistic values. Mun began to engage in positive self-criticism while receiving evaluations from Kim Il-sung, and she embarked on a process of inquiring into people’s lives and developing characters that reflected socialist life. Thus, while Mun had originally cultivated the image of a good wife and wise mother of the Colonial Period, particularly in the sense of embodying traditional Korean values, she was subsequently able to emerge as the people’s actress in North Korea, successfully ridding herself of her pro-Japanese past by embracing the rapidly-changing demands of socialist life.
김승구 각본, 강홍식 연출, 「내 고향」(1949)
김영근 각본, 민정식 연출, 「용광로」(1950)
윤두헌 각본, 윤용규 연출, 「소년 빨찌산」(1952)
김룡봉, 『조선영화사』, 평양: 사회과학출판사, 1989, 54~68쪽, 79~94쪽.
리호윤 편, 『조선영화문학선집』 1, 평양: 문학예술종합출판사, 1994, 5~75쪽, 113~166쪽, 167~213쪽.
문예봉, 『내 삶을 꽃펴준 봄』, 문학예술출판사, 2013, 120~181쪽.
민병욱, 『북한영화의 역사적 이해』, 역락, 2005, 111~122쪽.
박현희, 『문예봉과 김신재』, 선인, 2008, 1~205쪽.
오정애, 리용서, 『『조선문학사』』 10: 해방 후편, 사회과학출판사, 1994, 195~197쪽.
이명자, 『북한영화사』, 커뮤니케이션북스, 2007, 22~35쪽.
최척호, 『북한영화사』, 집문당, 2000, 3~5쪽.
김정수, 「인민배우 황철의 연기훈련법-화술 훈련을 중심으로」, 『북한연구학학보』, 16권 1호, 북한연구학회, 2012, 245~266쪽.
김정수, 「북한 예술영화의 ‘행동’과 ‘감정’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8, 26쪽.
문의영, 「해방 후 영화예술의 발전」, 리령 편, 『빛나는 우리 예술』, 평양: 조선예술사, 1962, 136~151쪽.
손이레, 「재생, 일시 정지-일제 시기의 서사영화와 여성 재현 역학」, 『대중서사연구』 18호, 대 중서사학회, 2007, 289~323쪽.
송낙원, 「북한영화의 형성 과정과 최초의 극영화 「내 고향」 연구」, 『문학과영상』 10권 1호, 문학과 영상학회, 2009, 111~137쪽.
오덕순, 「극영화 「내 고향」에 대하여」, 『문학예술』, 1950.2, 36~64쪽.
유현주, 「미디어 『삼천리』와 여배우 ‘문예봉’」, 『한국극예술연구』 33집, 한국극예술학회, 2011, 51~83쪽.
이영재, 「황군(皇軍)의 사랑, 왜 병사가 아니라 그녀가 죽는가 -<조선해협>, 기다림의 멜로드라마-」, 『여성문학연구』 25호, 한국여성문학학회, 2011, 197~237쪽.
이화진, 「‘국민’처럼 연기하기: 프로파간다의 여배우들」, 『여성문학연구』 17집, 한국여성문학학 회, 2007, 387~422쪽.
이혜진, 「전후-해방 정신의 계류점-리샹란과 최승희의 재신화화를 중심으로」, 『한국문학과 예술』 18. 숭실대학교 한국문학과 예술연구소, 2015, 113~146쪽.
장용훈, 「「내 고향」-해방 이후 최초의 예술영화」, 『통일한국』 181호, 평화문제연구소, 1999, 20~21쪽.
전영선, 「북한 최초의 공훈배우-영화배우 문예봉」, 『북한』 335호, 1999.11, 152~161쪽.
전지니, 「해방기 남북한 희곡의 젠더정치 연구」, 『한국극예술연구』 40집, 한국극예술학회, 2013, 51~88쪽.
정영권・김소원, 「국민 여배우 혹은 선전의 꽃」, 『한국문화기술』 20권, 단국대학교 한국문화기 술연구소, 2016, 307~339쪽.
정태수, 「영화 「내 고향」과 「용광로」를 통해 본 초기 북한영화의 특징」, 『현대영화연구』 20호, 한양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 2010, 419~444쪽.
주창규, 「문예봉, 발명된 ‘국민 여배우’의 계보학-‘은막의 여배우’의 훈육과‘침묵의 쿨레쇼프를 중심으로」, 『영화연구』 46호, 한국영화학회, 2010, 157~211쪽.
최연용, 「차이와 동질성-북한에도 스타가 있다」, 정재형 편, 『북한영화에 대해 알고 싶은 다섯가지』, 집문당, 2004, 268~272쪽.
한상언, 「해방기 영화인 조직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59~60쪽, 117쪽.
한상언, 「강홍식의 삶과 영화 활동」, 『人文論叢』 32호, 경남대학교 인문과학 연구소, 2013, 329~350쪽.
한상언, 「박학의 삶과 영화 활동 연구」, 『영화연구』 69호, 한국영화학회, 2016, 227~252쪽.
문예봉, 「제 무덤 속으로 들어갈 날을 재촉하는 발악」, 『로동신문』, 1950.6.25., 2면.
문예봉, 「국제영화축전 관람기」, 『로동신문』, 1951.10.27., 3면.
문예봉, 「강의한 생활을 체현-조선예술영화 「빨치산의 처녀」」, 『로동신문』, 1954.11.27., 3면.
오상근, 「조선예술영화 「빨치산의 처녀」」, 『로동신문』, 1954.11.27., 3면.
「조선 인민의 위대한 10년 생활」, 『로동신문』, 1955.7.20., 3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