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229-4632
This study analyzed the issues of the women's literature debate in Korea in the 1980s on feminist mook, Yŏsŏng (Women), Tto hana ŭi munhwa (Another culture). It was analyzed under the theme of representation-experiential subject and the complexity of subject. When using woman as a single category, feminism will be in cahoots with the power of Nationalism. We have seen many historical facts to support this. The issues of the women's literature debate in the 1980s include the question of how to interpret the complexity of women, race, and class. This complexity of subject can cause a crack in the excess imagination of a single subject dreamed of by National- Popular Literature, and it is positioned to come into conflict with nationalism. The concept of complexity can develop into a collectivity subject, a cross-sidential concept, class, ethnic, race, sexuality, sexual orientation etc.. In that the complexity of the subject body was raised as an issue in earnest, the women's literature debate in the 1980s takes an important place i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또하나의 문화』(또하나의문화출판사, 1985.2 창간~2003 17호 이후 종간상태)
민족문학작가회의 여성문학분과위원회, 『여성운동과 문학』1, 2(1호는 실천문학사, 1988, 2호는 풀빛, 1990 발간)
『여성』(창작과비평사, 1985.11 창간, 1988 2호, 1989 3호 발간 이후 『여성과 사회』로 명칭 변경, 1990~2005 총 16호 발간)
김열규 외, 『페미니즘과 문학』, 문예출판사, 1988, 1~384쪽.
이선옥, 「여성해방의 기대와 전쟁 동원의 논리」, 『친일문학의 내적 논리』,김재용 외, 역락, 2002, 266~268쪽.
한국여성연구소, 『젠더와 사회』, 동녘, 2014, 86~87쪽.
릴리안 로빈슨 외, 한국여성연구소 역, 『여성해방문학의 논리』, 창작과비평사, 1990, 3~7쪽.
케빈 올슨 외, 이현재 역, 『불평등과 모욕을 넘어』, 그린비, 2016, 1~556쪽.
김문주, 「무크지 출현의 배경과 맥락」, 한국근대문학연구30, 2014, 323~356쪽.
김문주, 「1980년대 무크지 운동과 문학장의 변화」, 한국시학연구37, 2013, 83~104쪽.
김양선, 「동일성과 차이의 젠더 정치학-197·80년대 진보적 민족문학론과 여성해방문학론을 중심으로」, 한국근대문학연구6(1), 2005, 154~181쪽.
김은하, 「1980년대, 바리케이트 뒤편의 성(性) 전쟁과 여성해방문학 운동」, 상허학보51, 2017, 15~49쪽.
박인혜, 「1980년대 한국의 ‘새로운’여성운동의 주체 형성 요인 연구: 크리스챤 아카데미의 ‘여성의 인간화’담론과 ‘여성사회교육’을 중심으로」, 한국여성학25(4), 2009, 149~151쪽.
배은경,「젠더 관점과 여성정책 패러다임:해방 이후 한국 여성정책의 역사에 대한 이론적 검토」, 한국여성학32(1), 2016, 1~45쪽.
배하은, 「1980년대 문학의 수행성 연구-양식과 미학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박사논문, 2017, 164~166쪽.
서은주, 「노동(자)의 재현과 고통의 재소유」, 한국문학연구46, 2014., 283~311쪽.
손유경, 「1980년대 학술운동과 문학운동의 교착(交錯/ 膠着)」, 상허학보45, 2015, 117~159쪽.
송도영, 「1980년대 한국 문화운동과 민족·민중적 문화양식의 탐색」, 비교문화연구4, 1998, 153~180쪽.
안미영, 「1980년대 전반기 여성소설에 나타난 여성의식의 의의와 한계」, 비평문학58, 2015, 125~152쪽.
이소희, 「일반논문 : 고정희 글쓰기에 나타난 여성주의 창조적 자아의 발전과정 연구 -80년대 사회운동 및 사회문화적 담론과의 영향을 중심으로-」, 여성문학연구30, 2013., 221~319쪽.
이혜령, 「빛나는 성좌들-1980년대, 여성해방문학의 탄생」, 상허학보47,2016, 409~454쪽.
정민우, 「지식장의 구조변동과 대학원생의 계보학, 1980~2012」, 문화와사회15, 2013, 7~78쪽.
정종현, 「투쟁하는 청춘, 번역된 저항」, 인하대한국학연구/36(-), 2015, 81~124쪽.
천정환, 「1980년대 문학.문화사 연구를 위한 시론 (1) - 시대와 문학론의 "토픽"과 인식론을 중심으로」, 민족문학사연구56, 2014, 389~416쪽.
태혜숙, 「현대영미여성해방비평연구: 영문학비평의 객관성을 위하여」, 서울대박사논문, 1992, 42쪽.
허윤, 「1980년대 여성해방운동과 번역의 역설」, 여성문학연구28, 2012, 239~264쪽.
T. 데니언 샤플리-화이팅, 「파농의 페미니즘 의식과 알제리 여성해방: 식민주의, 민족주의, 근본주의」, 실천문학 2003 봄, 115~116쪽.
김동식, 「잡지의 시대, 매체의 시대, 문학의 시대-1980년대 문학과 관련된기존연구 검토를 대신하여」, 한국현대문학회 학술발표회자료집, 2014, 233~236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