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 KOREAN
  • P-ISSN1229-4632
  • E-ISSN2733-5925
  • KCI

Male intellectual subject's gender consciousness in Lee Cheong-jun's "Unwritten autobiography" : Focusing on the "body" image of a single working woman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18, v.0 no.44, pp.237-265
https://doi.org/10.15686/fkl.2018..44.237
kim, Seong-gyung

Abstract

Lee Chung-joon's "Unauthorized Autobiography" is an autobiographical novel based on the late 1960s. This novel criticizes the development dictatorship of the Park Chung Hee regime by crossing the narrative of the reality layer and the fantasy layer. Lee Chung-joon joined <the Sasang-gye> in 1966, and moved to <the Yeowon> in 1967. The novel is shaped by the autobiographical experience of this time through the Naeoe(he Sasang-gye) and the Saeyeoseong(the Yeowon). The main event is the resignation of the Saeyeoseong of 'I', the writer's another self, on the reality level, and the appearance of the questioner on the fantasy floor. The protagonist narrator repeatedly emphasized that the crucial moment of these two events was due to the "strange and unknown" disgust of the Saeyeoseong(the Yeowon)'s veteran employee, Miss Yeom, This reflects the confusion and anxiety of the intellectual male subject coming in contact with a newly emerging female group, a competent single female worker. For me, this disgust is just a momentary affect that is formed by going down directly to the body without being caught by the circuit of consciousness or culture.

keywords
몸 이미지 정동 독신직장여성혐오 사상계, 여원, Gender consciousness Affect body image Sasang-gye Yeowon misogyny

Reference

1.

이청준, 「선고유예(上)」, 『문화비평』, 1969.

2.

이청준, 「선고유예(2회)」, 『문화비평』, 1970.

3.

이청준, 「쓰여지지 않은 자서전」, 『소문의 벽』, 민음사, 1972.

4.

이청준, 『씌어지지 않은 자서전』, 열림원, 2001.

5.

마사 너스바움, 『혐오와 수치심: 인간다움을 파괴하는 감정들』, 조계원 역,민음사, 2015, 238쪽.

6.

마수미, 『가상계: 운동, 정동, 감각의 아쌍블라주』, 조성훈 역, 갈무리, 2011,26∼37쪽.

7.

우에노 치즈코, 『여성혐오를 혐오한다』, 나일등 역, 은행나무, 2015, 12쪽.

8.

질 들뢰즈․안토니오 네그리 외, 『비물질노동과 다중』, 서창현 외 역, 갈무리, 2005, 21∼138쪽.

9.

강이수, 「산업화 이후 여성노동시장의 변화와 일-가족 관계」, 『페미니즘연구』 7권 2호, 한국여성연구소, 2007, 1∼35쪽.

10.

권명아, 「비교 역사적 연구를 통해 본 정동 연구의 사회정치적 의제: ‘여자떼’의 공포와 다스려질 수 없는 자들의 힘」, 『여성문학연구』 제39호,한국여성문학학회, 2016, 7∼38쪽.

11.

김성경, 「반역의 상상력: 이청준의 『씌어지지 않은 자서전』의 저항성 연구」,『상허학보』 47집, 상허학회, 2016, 285∼325쪽.

12.

김우종, 「특집 새해 여성에게 주는 충고 30장」, 『여원』, 1967.1

13.

김희식, 「매춘공간의 포함과 배제」, 서울시립대학원 사회학과 박사학위논문,2016.

14.

사카이 나오키, 「정동의 정치학」, 신현아 역, 『문화과학』 87, 2016, 364∼374쪽

15.

오유석, 「동대문 밖 유곽-'청량리 588' 공간 구성의 역사와 변화」, 『서울학연구』 36,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 2009, 101∼135쪽.

16.

이만갑, 「성의 사회적 해조와 가치」, 『사상계』, 1960.8, 222쪽.

17.

이명호, 「문화연구의 감정론적 전환을 위하여: 느낌의 구조와 정동경제론 검토」, 『비평과 이론』 20권1호, 한국비평이론학회, 2015, 113∼138쪽

18.

이정숙, 「‘개발주의서사’의 ‘성-섹슈얼리티’에 대한 ‘혐오-연민’」, 『여성문학연구』 제36호, 한국여성문학학회, 2015, 35∼90쪽.

19.

이정훈·김균, 「한국 언론인의 직업 정체성」, 『한국언론학보』 50권 60호, 한국언론학회, 2006년, 59∼88쪽

20.

임지연, 「1960년대 초반 잡지에 나타난 여성/청춘 표상-『사상계』와 『여원』을 중심으로」, 『여성문학연구』 제16호, 한국여성문학학회, 211∼240쪽.

21.

장미경, 「1960∼70년대 가정주부(아내)의 형성과 젠더정치: 『여원』, 『주부생활』 잡지 담론을 중심으로」, 『社會科學硏究』 15권 1호, 서강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07, 142∼182쪽.

22.

최경희, 「1960∼1970년대 여성지를 통해 본 근대화의 젠더 양상 연구 - 『여원』, 『여상』, 『주부생활』에 나타난 근대화의 혼종적 성격을 중심으로」,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73집,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6,313∼331쪽.

23.

최이숙, 「산업화 시기(1961∼1987) 성별화된 언론노동시장과 여성 언론인의 경력이동」, 『한국언론학보』 53, 한국언론학회, 2009, 133∼160쪽.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