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Women in the square' and right to speak : Gender and Politics of Goh Jung-hee's literary activities and writings in 1980’s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18, v.0 no.44, pp.267-313
https://doi.org/10.15686/fkl.2018..44.267
JEONGEUN KIM
  • Downloaded
  • Viewed

Abstract

1980년대 문학과 사회운동에 있어 ‘광장에 선 여성’의 형상이 가지는 의미를 밝히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 글은 1980년대 사회운동 내지 문학장 안에서 ‘젠더와 정치’가 가진 복잡한 의미를 고정희 시인의 활동과 글쓰기를 통해 밝혀보고자 시도한다. 고정희는 등단 과정에서 그리고 시인이 된 이후에도 ‘여성성’의 이데올로기, 문학장 안에서 ‘여류’에 대한 기대 지평에 부딪혀야 했다. 고정희는 이러한 편견 속에서도 소위 사회성이 강한 ‘정치시’를 썼는데 이러한 여성 시인의 모습은 문학장에서 공고한 이분법적 젠더 체계를 교란하는 것이기도 했다. 고정희는 당대 한국 사회를 ‘말의 위기’로 의미화하며 발화의 권력이 되지 못했던 ‘민중’에게 목소리를 부여함으로써 누가 공화국의 시민인지에 대해 심문하며 민중의 목소리를 재현하려는 노력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이는 민중의 ‘편’에 서서 시를 써야한다는 대의를 따르는 것 이상의 효과 역시 내포하고 있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정치적 발화를 추상적 개인으로도 존재하지 못하는 여성 시인이 한다는 것은 ‘광장’의 영역을 누가 독점해왔는지를 문제시하며 민중뿐만 아니라 여성 역시 공화국의 시민임을 천명하고 있는 것이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글은 고정희가 단순히 여성운동과 민중운동이 갖는 차이를 삭제한 것이 아니라 여성이 무엇보다 ‘시민’이 되는 것이 여성의 개인성을 인정받는 유용한 방식이라는 측면에서, 고정희가 지녔던 여성의 주체화 전략을 살펴보고 그 의의와 한계를 살펴보고자 했다. 여성이 사회의식을 지니는 것을 통해 여성의 권리를 인정받을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 것은 ‘여성과 주권’을 둘러싼 혼동 내지 어떤 전략이 있었던 것이라 할 수 있다. 이 글은 이러한 혼동 내지 전략이 왜 있었는지에 대한 역사적 조건과 맥락을 탐구하며 페미니스트로서 고정희의 역설적 위상과 자리에 대해서 규명해보고자 했다.

keywords
고정희, 여성성의 이데올로기, 광장에 선 여성, 여성의 인간화, 크리스챤 아카데미, 젠더와 정치, Goh Jung-hee, ideology of feminity, women in the square, women's humanization, Christian Academy, gender and politics

Reference

1.

고정희, 『눈물꽃』, 실천문학사, 1986.

2.

고정희, 『여성해방출사표』, 동광출판사, 1990.

3.

고정희, 「내 삶의 기저로서의 문학」, 『우리가 있어야 할 자리를 찾아』, 문학과지성사, 1983.

4.

고정희, 「광주민중항쟁과 여성의 역할: 광주여성들, 이렇게 싸웠다」, 『월간중앙』, 1988.5.

5.

또 하나의 문화 편, 『열린 사회, 자율적 여성』, 평민사, 1986.

6.

또 하나의 문화 편, 『여성해방의 문학』, 평민사, 1987.

7.

또 하나의 문화 편, 『여자로 말하기, 몸으로 쓰기』, 도서출판 또 하나의 문화, 1992.

8.

민족문학작가회의 여성문학분과위원회, 『여성운동과 문학』 1, 실천문학사, 1988.

9.

크리스챤아카데미 편, 『민주사회를 위한 대화운동-한국 아카데미 총서 12』, 문학예술사, 1985.

10.

『대한매일신보』,

11.

『여성신문』

12.

『한겨레』

13.

박인혜, 『여성운동 프레임과 주체의 변화』, 한울아카데미, 2011, 75∼129쪽.

14.

이남희, 『민중 만들기』, 유리․이경희 역, 후마니타스, 2015, 247∼298쪽.

15.

이효재, 『여성의 사회의식』, 평민사, 1978, 11∼28쪽.

16.

이효재, 『분단시대의 사회학』, 한길사, 1985, 293∼304쪽.

17.

조현준, 『젠더는 패러디다』, 현암사, 2014, 40, 43쪽.

18.

조형 외, 『너의 침묵에 메마른 나의 입술-여성해방문학가 고정희의 삶과 글』,도서출판 또 하나의 문화, 1993, 41∼45, 232∼233쪽.

19.

우에노 치즈코․조한혜정, 『경계에서 말한다』, 사사키 노리코․김찬호 역, 생각의 나무, 2004, 104, 124∼125쪽.

20.

조안 스콧, 『페미니즘 위대한 역사』, 공임순 외 역, 앨피, 2017, 56, 102, 121쪽.

21.

한국신학연구소 편, 『한국민중론』, 한국신학연구소, 1984, 13∼39쪽.

22.

김건우, 「한국 현대지성사에서 ‘한신’이 가지는 의미」, 『상허학보』 42, 상허학회, 2014, 499∼532쪽.

23.

김승구, 「고정희 초기시의 민중신학적 인식」,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37,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 2007, 249∼275쪽.

24.

김양선, 「486세대 여성의 고정희 문학 체험」, 『비교한국학』 9권 3호, 국제비교한국학회, 2011, 39∼63쪽.

25.

김영희, 「진보적 여성운동론의 재검토」, 『페미니즘 연구』 2, 한국여성연구소,2002, 11∼42쪽.

26.

김윤식, 「女性과 文學」, 『아시아여성연구』 7,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소, 1968, 95∼128쪽.

27.

김은하, 「1980년대, 바리케이트 뒤편의 성(性)전쟁과 여성해방문학 운동」,『상허학보』 51, 상허학회, 2017, 15∼49쪽.

28.

김진희, 「서정의 확장과 詩로 쓰는 역사」, 『비교한국학』 19권 2호, 국제비교한국학회, 2011, 173∼200쪽.

29.

서은주, 「비판적 지성과 젠더, 그 재현의 문제-박순녀의 1960-70년대 소설을 중심으로」, 『여성문학연구』 제42호, 한국여성문학학회, 2017, 65∼99쪽.

30.

양현아, 「증언과 역사쓰기」, 『사회와 역사』 60, 한국사회사학회, 2001, 60∼96쪽.

31.

이선옥, 「1980년대 여성운동 잡지와 문학논쟁의 의미」, 『여성문학연구』 제43호,한국여성문학학회, 2018, 7∼36쪽.

32.

이소희, 「고정희 글쓰기에 나타난 여성주의 창조적 자아의 발전과정 연구 :80년대 사회운동 및 사회문화적 담론과의 영향을 중심으로」, 『여성문학연구』 제30호, 한국여성문학학회, 2013, 221∼319쪽.

33.

조연정, 「1980년대 문학에서 여성운동과 민중운동의 접점: 고정희의 시를 읽기 위한 시론」, 『우리말글』 71, 우리말글학회, 2016, 241∼273쪽.

34.

조안 스콧, 배은경 역, 「젠더와 정치에 대한 몇 가지 성찰」, 『여성과 사회』13, 한국여성연구소, 2001, 210∼249쪽.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