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재현과 제도를 넘어, 진격하는 걸 페미니스트들 - 서평: 『소녀들』(여이연, 2017. 9), 『걸 페미니즘』(교육공동체벗, 2018. 2)

Girl Feminists Making a Leap beyond Representation and Institution - Book review: Girls (Yeo Iyeon, Sep. 2017), Girl Feminism (Communebut, Feb. 2018)

여성문학연구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18, v.0 no.44, pp.349-368
https://doi.org/10.15686/fkl.2018..44.349
류진희 (성균관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최근 ‘스쿨 미투’에서 볼 수 있듯, 페미니즘 리부트 혹은 페미니즘 대중화 시대에 10대 여성 청소년들의 목소리도 대대적으로 들여오기 시작했다. 이 글은 이분법적 젠더와 사회적 권위가 교차하면서 오랫동안 비가시화됐던 여성 청소년들을 재현의 대상으로, 그리고 운동의 주체로 전면적으로 다룬 두 책에 주목한다. 지난 해 말과 올해 초 나란히 간행된 『소녀들』(2017.9)과 『걸 페미니즘』(2018.2)은 신자유주의 스펙터클로서 페미니즘의 적극적인 해석의 대상으로, 혹은 ‘나’답게를 내걸고 새로운 페미니스트 주체로 여성 청소년을 전면에 내세우고 있다. 이 글은 재현과 제도를 넘어 ‘지금-여기’ 어떠한 ‘소녀(girl)’ 주체가 창출되고 있는지 가늠하고, 제도화된 재현으로서 정전 문학과 다른 어떤 서사가 필요한지 짐작해보고자 한다.

keywords
female adolescent, girl, feminism, girl feminism, Juvenile Protection Act, School Me Too, 소녀, 걸, 페미니즘, 걸 페미니즘, 청소년 보호법, 스쿨 미투

Abstract

Recently in “School Me Too” movement, teenage girls have been starting to make their voices heard amid the age of "Feminism Reboot," or the prevalence of feminism in society. This study analyzed the two books that depict female adolescents-who have long been invisiblized where dichotomous gender meets social authority-as a subject of representation and a main agent of movement. Girls (Sep. 2017) and Girl Feminism (Feb. 2018) published near the end of last year and early this year set forth female adolescents as a subject of active interpretation in feminism, serving as a spectacle of neo-liberalism, or a new agent of feminism with emphasis on staying true to "myself." This study examined how the agents are created beyond representation and institution, and investigated a new type of narration as an institutionalized representation that differs from the literary canon.

keywords
female adolescent, girl, feminism, girl feminism, Juvenile Protection Act, School Me Too, 소녀, 걸, 페미니즘, 걸 페미니즘, 청소년 보호법, 스쿨 미투

참고문헌

1.

조혜영 외 9인 지음, 『소녀들』, 도서출판 여이연, 2017.

2.

호야 외 26명 지음, 『걸 페미니즘』, 교육공동체벗, 2018.

3.

로앤비 청소년보호법 http://www.lawnb.com/Info/ContentView?sid=L0009A6EAEF8171D_0

4.

고길섶, 「문화시대와 국가권력의 이동 –국가보안법에서 청소년보호법으로」,『진보평론』, 진보평론사, 1999, 173∼195쪽.

5.

김애라, 「10대 여성의 디지털 노동과 ‘소녀성’」, 『더 나은 논쟁을 할 권리』, 휴머니스트, 2018, 151∼173쪽.

6.

김해원 외 4명, 『그날 밤 우리는 비밀을』, 우리학교, 2018, 1∼176쪽.

7.

류진희, 「그들이 유일하게 이해하는 말, 메갈리아 미러링」, 『양성평등에 반대한다』, 교양인, 2016, 126∼151쪽.

8.

류진희, 「넷-광장 페미니스트, 전사들의 등장」, 『문학3』 제3호, 창비, 2017,44∼47쪽.

9.

앵거스 맥래런, 『20세기 성의 역사』, 임진영 역, 현실문화연구, 2003, 45∼83쪽.

10.

김은하, 「청소년 문학과 21세기 소녀의 귀환」, 『여성문학연구』 제24호, 한국여성문학학회, 2010, 293∼326쪽.

11.

김주희, 「오늘 왜 페미니즘은 혐오와 접속했는가 - 『말과 활』 2016년 가을혁신호 발간 기념 토론회 후기」, 『말과 활』 제12호, 일곱번째숲, 2016 겨울, 105∼113쪽.

여성문학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