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The Non-hegemonic Masculinities in The Female Impersonator Comedy as the Mirror Image of Hypermasculinity in 1960's South Korea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19, v.0 no.46, pp.161-189
https://doi.org/10.15686/fkl.2019..46.161
Heo Yoon
  • Downloaded
  • Viewed

Abstract

1960년대 한국사회는 건강하고 명랑한 나라를 만들려는 사회정화운동이 활발했다. 박정희 체제는 군사주의적 남성성을 기반으로 국가질서를 확립하기 위해 건강하고 명랑한 코미디 영화를 국책 선전용으로 사용하였다. 1960년대 남성성과 여성성의 경계를 넘나들며 젠더 규범을 희화화하는 여장남자 코미디가 성공할 수 있었던 것은 이들 영화가 이성애규범성을 강화하고 청년 남성이 성공하는 플롯을 갖고 있었기 때문이다. 이들은 여자 되기를 거쳐 여성 젠더를 수행하면서 기성세대 남성들을 비판하고 남성다움의 의미를 변화시킨다. 그러나 “우리라도 건강한 가정을 만들어야 한다”는 영화의 결론은 이들 영화가 비판적으로 참조하고 있는 것이 헤게모니적 남성성을 체현한 ‘사장족’이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이들 여장남자 코미디가 가진 다양한 층위를 독해하는 것이 필요하다. 1960년대 여장남자 코미디 영화는 이성애 커플이라는 안전장치를 통해 사회 질서를 회복하는 방향으로 작동한다. 이는 젠더 수행의 실험이 다시금 규범성을 강화한다는 비난을 피하기 어렵다. 그러나 이들 영화는 여자나 남자라는 명사로 기술될 수 없으며 정체성의 지속적인 변형, 젠더화된 정체성을 의문시하게 만드는 사이공간을 입증한다. 공적이며 산업적인 남성성과 사적이며 양육하는 여성성의 공사 영역의 분리를 해체하는 여장남자 코미디는 건강하고 명랑한 외피에도 불구하고 여러 균열점을 만들어낸다. 여장남자와 남자 커플이 연출하는 커플씬은 이성애규범성을 퀴어하게 만들며 이성애와 동성애의 경계를 모호하게 한다. 「남자는 절개 여자는 뱃장」처럼 남성동성사회를 성애화하는 영화들은 코미디 영화의 의미망의 ‘잉여’로 존재하기도 한다. 이는 젠더퀴어의 존재를 사건화된 목록을 통해 계보화할 수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음화를 통해 읽어내야 하는 초남성적 사회의 거울인 것이다.

keywords
여장남자, 코미디 영화, 구봉서, 서영춘, 이성애규범성, 퀴어, Female impersonator, cross dresser, drag, Gu BongSeo, Seo YoungChun, Heteronormativity, queer

Reference

1.

영화 「남자는 안 팔려」 시나리오

2.

영화 「여자가 더 좋아」 시나리오

3.

영화 「남자는 절개 여자는 뱃장」 시나리오

4.

영화 「남자 식모」

5.

영화 「남자 미용사」

6.

영화 「남자와 기생」

7.

영화 「속 남자 식모」 시나리오

8.

영화 「월부남비서」

9.

영화 「특등비서」 시나리오

10.

김미현 편, 한국영화사: 개화기에서 개화기까지 , 커뮤니케이션북스, 2006, 185∼188쪽.

11.

박근서, 코미디, 웃음과 행복의 텍스트 , 커뮤니케이션 북스, 2006, 14∼15쪽.

12.

박선영, 코미디언 전성시대 , 소명출판, 2018, 508∼530쪽.

13.

이영일, 한국영화주조사 , 영화진흥공사, 1988, 433∼444쪽.

14.

게일 루빈, 신혜수 외 역, 「여성 거래」, 일탈 , 현실문화, 2015, 89∼147쪽.

15.

수잔 스트라이커, 루인 외 역, 트랜스젠더의 역사 , 이매진, 2016, 19∼47쪽.

16.

주디스 버틀러, 조현준 역, 젠더 트러블 , 문학동네, 2008, 95∼96쪽.

17.

R.W. 코넬, 안상욱 외 역, 남성성/들 , 이매진, 2013, 111∼136쪽.

18.

D’Emilio, John, and Freedman, Estelle B. eds. Intimate Matters: A History of Sexuality in America, New York: Harper and Row, 1988, 쪽수.

19.

Sedgwick, Eve Kosofsky, Between Men, Columbia University Press, 1985, pp.1∼23.

20.

Silverman, Kaja, Male Subjectivity at the Margins, Psychology Press, 1992, pp.15∼51.

21.

김수남, 「심우섭 감독 연구」, 청예논집 19집, 청주대 예술문화연구소, 2001, 113∼141쪽.

22.

박선영, 「1960년대 후반 코미디 영화의 ‘명랑’과 ‘저속’」, 한국극예술연구 51집, 한국극예술학회, 2016, 169∼210쪽.

23.

박선영, 「한국 코미디영화 형성과정 연구」, 중앙대 박사논문, 2011, 196∼205쪽.

24.

서곡숙, 「1960년대 후반기 한국 변장코미디영화의 대중성 연구: 변장모티프를 통한 내러티브 전략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연극영화학과 박사학위논문, 2003, 134∼150쪽.

25.

송효정, 「1970년대 전후 코미디 영화의 아이콘: 남자 식모에서 여자 운전사까지」, 대중서사장르의 모든 것 4: 코미디 , 이론과실천, 2013, 394∼418쪽.

26.

연윤희, 「1960년대 ‘노동’하는 식모와 권리 인정에 관한 외침」, 인문과학연구논총 37권 3호, 명지대 인문과학연구소, 2016, 289∼316쪽.

27.

이호걸, 「파시즘과 눈물」, 영화연구 45호, 한국영화학회, 2010, 343∼384쪽.

28.

이호걸, 「신파양식 연구」, 중앙대 첨단영상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149∼164쪽.

29.

허 윤, 「1950년대 퀴어 장과 병역법 경범법을 통한 ‘성 통제’」, 성스러운국민 , 서해문집, 2017, 82∼111쪽.

30.

Chung-Kang Kim, “Nation, Subculture, and Queer representation: The Film Male Kisaeng and the Politics of Gender and Sexuality in 1960’s South Korea”, Journal of History of Sexuality 24(3), 2015, pp.455∼477.

31.

Jongwo Han and L.H.M Ling, “Authoritarianism in the hypermasculinized state: Hybridity, patriarchy, and capitalism in Korea”, International Studies Quarterly 42(1), 1998, pp.53-78.

32.

구봉서, 「깨우침이 있는 웃음의 철학을 실천한 한국 코미디계의 대부」, 네이버캐스트, 2012.5.30.

33.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574443&cid=59013&categoryId=59013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