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 KOREAN
  • P-ISSN1229-4632
  • E-ISSN2733-5925
  • KCI

Post-MeToo Movement and ‘Citizen-Reader’ Position : after life, beyond literature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19, v.0 no.47, pp.119-150
https://doi.org/10.15686/fkl.2019..47.119
So, Young-Hyun

Abstract

This paper aims to look at the changes since the MeToo movement, which began in 2018, and forecast the era of the post MeToo movement. While there are many achievements of the MeToo movement, it should be said that such achievements are one-sided, considering the literature field. In fact, it is necessary to go back to the sexual violence hashtag movement in 2016. In this paper, the MeToo movement pointed out that different re-writing methods have begun to be requested according to the communities and discussed the corresponding re-writing methods. In addition, I pointed out that the missing and distorted records of the sexual violence hashtag movement and thus pointed out the urgent need for re-writing the cases of sexual violence hashtag movement and archiving the cases.

keywords
#Sexual violence hashtag movement, #MeToo movement, sexual violence, becoming victim, archiving, 성폭력 해시태그 운동, 미투 운동, 성폭력, 피해자-되기, 연대자-되기, 아카이빙

Reference

1.

박민정, 「모르그 디오라마」, 릿터 10호, 민음사, 2018. 2/3, 106-122쪽 .

2.

송승언, 「송사 이후」, <<형평문학포럼: 문학 젠더를 말하다>>, 2018.4.27.

3.

윤이형, 「피클」, 악스트 14호, 은행나무, 2017. 9/10, 133-153쪽 .

4.

「‘꿈’ 볼모로 미성년 성폭행…배용제 시인 판결이 남긴 것」, 한겨레 , 2017.9.20.

5.

「고은 시인, ‘성추행 폭로’ 최영미 시인 상대 손배소 패소…법원 “최영미 진술 구체적·일관돼”」, 서울신문 , 2019.2.15.

6.

「김기덕 감독, 2차 가해 멈추고 역고소 취하하라」, 뉴시스 , 2019.4.18.

7.

「김기덕 감독, 역고소·2차 가해 멈추고 사죄하라」, 한겨레 , 2019.4.18.

8.

「미투 시련이 피워낸 예술혼? 하일지 전시회에 동덕여대 학생들 분노」, 한겨레 , 2019.4.15.

9.

「성희롱 관련 소송의 심리와 증거판단에 관한 최근 대법원 판례」, 법률신문 , 2018.4.20.

10.

「최영미 시인 “정의 살아있어…가해자가 피해자를 뻔뻔스레 고소”」, 국민일보 , 2019.2.15.

11.

「최영미 시인 “정의 살아있음에 감사”」, 한겨레 , 2019.2.15.

12.

「“최영미 시인, 고은에 배상 책임 없다”」, MBC: 이슈완정정복 , 2019.2.15.

13.

「#문단_내_성폭력 시즌2, 피해자 연대모임 ‘아가미’, 비등단 선언 등 새로운움직임」, 경향신문 , 2019.5.13.

14.

권김현영 외, 피해와 가해의 페미니즘 , 교양인, 2018.

15.

권명아, 여자떼 공포, 젠더 어펙트 , 갈무리, 2019.

16.

임솔아, 눈과 사람과 눈사람 , 문학동네, 2019.

17.

정희진 외, 미투의 정치학 , 교양인, 2019.

18.

참고문헌없음 준비팀 엮음, 참고문헌없음 , 2017.

19.

한국여성의전화연합 기획, 정희진 엮음, 성폭력을 다시 쓴다 , 한울, 2003.

20.

林奕含, 허유영 역, 팡쓰치의 첫사랑의 낙원 , 비채, 2018.

21.

<참고문헌없음> 준비팀, 「문단 내 성폭력, 연대를 다시 생각한다」, 피해와가해의 페미니즘 , 교양인, 2018.

22.

권김현영, 「미투, 반성폭력 운동의 윤리-정치적 전환」, 문학동네 , 2018년 여름호, 329-347쪽 .

23.

권김현영, 「피해자 중심주의는 여성주의적 원칙인가」, 문학동네 , 2018년 가을호, 581-600쪽 .

24.

권명아, 「노예화와 예속 상태로서 권력형 성폭력과 페미니즘의 신체 유물론」, 문화과학 제95호, 2018, 18-49쪽 .

25.

권인숙·이화연, 「성폭력 두려움과 사회통제: 언론의 아동 성폭력 사건 대응을 중심으로」, 아시아여성연구 제50권2호,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85-118쪽 .

26.

김보화, 「강간공화국을 뒷받침해 온 법, ‘무고죄’」, 일다 , www.ildaro.com, 2018.4.16.

27.

김보화, 「패러다임 전환으로서 성폭력 말하기 운동」, 시민과 세계 제32호, 참여연대 참여사회연구소, 2018, 183-197쪽.

28.

김은경·이나영, 「성폭력, 누구에 대한 어떤 공포인가: 언론의 성폭력 재현과 젠더질서의 재생산」, 미디어, 젠더 & 문화 제30권2호,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2015, 5-38쪽 .

29.

김효인, 「SNS 해시태그를 통해 본 여성들의 저항 실천: ‘#OO_내_성폭력’ 분석을 중심으로」, 미디어, 젠더 & 문화 제32권4호,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2017, 5-70쪽 .

30.

배상미, 「성폭력 피해자의 섹슈얼리티」, 여/성이론 제36호, 여성문화이론연구소, 2017, 12-37쪽 .

31.

소영현, 「페미니즘이라는 문학」, 문학동네 제92호, 문학동네, 2017년 겨울호, 519-539쪽 .

32.

양경언, 「우리는 함께 시작했다- 고양예고 졸업생 연대 ‘탈선’의 성명발표에 부쳐」, 허핑턴포스트코리아 , 2016.11.17.

33.

우지안, 「미투, 살아남는 자리에서 말하기: ‘꿘 배제’와 연대의 가능성을 중심으로」, 문화과학 제95호, 2018, 74-99쪽 .

34.

유현미, 「성차별적 위계구조의 담장 넘기: 교수 갑질성희롱 사건 대응활동과 대학 미투운동의 현재」, 경제와사회 제120호, 비판사회학회, 2018, 90-131쪽 .

35.

이선미, 「근대사회이론에서 공동체 의미에 대한 비판적 연구」, 한국사회학 제42권5호, 한국사회학회, 2008, 101-139쪽 .

36.

이희은, 「페미니즘 운동과 미디어 윤리: #미투 운동 사례를 중심으로」, 언론정보연구 제55권 3호,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2018, 120-157쪽 ,

37.

홍지아, 「신문기사 프레임 분석을 통해 본 성폭력의 의미구성」, 한국방송학보 제23권 5호, 한국방송학회, 2009, 458-498쪽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