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 KOREAN
  • P-ISSN1229-4632
  • E-ISSN2733-5925
  • KCI

Rethinking the Meaning of BL in the Feminist Era : Online Discourse on “Leaving BL” in Late-2010s Korea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19, v.0 no.47, pp.197-227
https://doi.org/10.15686/fkl.2019..47.197
KIM, HYOJIN

Abstract

본 논문은 2018년 이후 인터넷을 중심으로 대두한 ‘탈BL’ 담론이 어떤 사회문화적 맥락에서 등장했는지를 고찰하고, 크게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여 분석하고 있다. 탈BL은 보이즈 러브(Boys Love, BL)을 탈출하거나 버리자는 운동으로 BL의 다양한 문제를 비판하고 궁극적으로는 BL의 소비와 창작을 멈추자는 의미를 갖는다. 한국사회에서 BL은 1990년대 일본에서 유입되어 수용되었고, 2000년대에는 문화산업에서 적극적인 소비자로서 BL팬덤이 부각되었다. 이런 배경 위에 2010년대 이후 후조시의 자기성찰과 페미니즘 리부트의 영향권에서 탄생한 탈BL은 크게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는데, 각각 1) 게이와 게이혐오에 기반한 탈BL, 2) BL이 공수관계를 통해 현실 남녀의 권력관계를 강화한다는 점을 강조하는 탈BL, 3) 구조적으로 여성캐릭터를 배제하는 장르로서 BL을 비판하는 탈BL이 그것이다. 1)과 2)가 상대적으로 BL에 대한 사회적 편견 및 기존 BL연구의 성과와 연관이 있다면 3)의 경우는 세계적인 페미니즘의 조류 속에서 여성서사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는 점에서 새로운 측면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 세 유형의 탈BL은 모두 현실, 표상과 환타지의 복잡한 관계를 단순화하는 경향이 있고, BL의 문제점을 창작자의 문제로 환원하고 있다는 점에서 심각한 모순을 내포하고 있다. 탈BL 담론의 문제점을 고찰함으로써 대중문화와 여성의 문화적 실천의 관계, 나아가 BL이 갖는 가능성을 보다 적극적으로 탐색할 필요가 있다.

keywords
Leaving BL, Boys Love, Fujoshi, Feminism Reboot, Misogyny, Women’s Narrative, 탈BL, 보이즈 러브, 후조시, 페미니즘 리부트, 여성혐오, 여성서사

Reference

1.

요리사안, 「후조시의 원죄- 후조시는 왜 현실 호모에 대해 알아야 하는가」, 메타후조 독립출판물, 2017, 70-89쪽 .

2.

토토메리, 「메.타.후.조?- ‘메타-후조’의 정의와, 왜 이 프로젝트를 시작하게 되었는가에 대하여」, 메타후조 , 독립출판물, 2017, 18-31쪽 .

3.

미조구치 아키코, 김효진 역, BL진화론: 보이즈 러브가 사회를 움직인다 , 이미지프레임, 2018, 93-128쪽 .

4.

Kwon Jungmin, Straight Korean Female Fans and their Gay Fantasies, University of Iowa Press, 2019. pp.1-30.

5.

よしながふみ よしながふみ対談集 あのひととここだけのおしゃべり 白泉社, 2007, 82쪽 .

6.

김효진, 「후죠시는 말할 수 있는가? 여성오타쿠의 발견」, 일본연구 제45호, 한국외국어대학교 일본연구소, 2010, 27-49쪽 .

7.

김효진, 「한국 동인문화와 야오이; 1990년대를 중심으로」, 만화애니메이션연구 제30호,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11, 263-291쪽 .

8.

김효진, 「‘동인녀(同人女)’의 발견과 재현 -한국 순정만화의 사례를 중심으로-」, 아시아문화연구 제30호,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2013, 43-76쪽 .

9.

김효진, 「요시나가 후미의 「오오쿠」(大奥): 역사적 상상력과 여성만화의 가능성」, 일본비평 제6호, 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 2014, 134-163쪽 .

10.

김효진, 「‘당사자’와 ‘비당사자’의 사이에서: 요시나가 후미 만화의 게이 표상을 중심으로」, 언론정보연구 제56권 2호,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2019, 79-112쪽 .

11.

류진희, 「팬픽: 동성(성)애 서사의 여성 공간」, 여성문학연구 제20호, 한국여성문학학회, 2008, 163-184쪽 .

12.

손희정, 「페미니즘 리부트: 한국 영화를 통해 보는 포스트-페미니즘, 그리고 그 이후」, 문화과학 제83호, 문화과학사, 2015, 14-47쪽 .

13.

손희정, 「촛불혁명의 브로맨스 - 2010년대 한국의 내셔널 시네마와 정치적상상력」, 민족문학사연구 제68호,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8, 521-548쪽 .

14.

차효라, 「여성이 선택한 장르, 야오이」, 만화세계정복 , 만화집단 두고보자, 2003, 233-243쪽 .

15.

Christine Scodari “Resistance Re-Examined: Gender, Fan Practices, and Science Fiction Television,” Popular Communication 1:2, 2003, pp.111-130, DOI: 10.1207/S15405710PC0102_3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