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229-4632
해방 후 분단, 전쟁, 냉전을 거치며 한국은 민족국가 성립을 위한 기획에 골몰했다. 그러나 서사적인 지평에서는 탈/식민의 기억이 계속 개입될 수밖에 없었다. 3·8선 이남의 공간은 다른 체제를 가진, 이제는 갈 수 없는 ‘이북(以北)’을 염두에 두고 형성되어 갔다. 이때 임옥인(1911-1995, 함북 길주 출생)과 박순녀(1928-, 함남 함흥 출생)라는 월남한 여성작가들이 초점에 들어온다. 이들은 자신의 작품에서 떠나온 북한을 구체적으로 그려내거나, 혹은 명시적으로 드러내지는 않는 등 남한의 상황에 따라 반대의 전략을 썼던 것이다. 이 글은 임옥인과 박순녀의 대표작, 「월남 전후」와 「어떤 파리」를 중심으로해방 후 여성작가들이 자신의 경험을 토대로 어떤 이야기를 전략적으로 주조해냈는지를 조망한다. 타자를 쓰면서 자기를 구성해내는 서사적 효과를 탐색할 때, 이는 특히 젠더가 어떻게 개입하는지를 고려하기 위함이기도 하다. 이들 월남 여성작가들은 자신들이 떠나온 곳을 경유해서 남한을 구성하거나 비판하려고 했던것이다. 이제까지 탈역사적으로 읽힌 여성작가들의 서사를 역사적으로 맥락화하려는 시도이기도 하다.
「그 뒤의 여류문인」, 『경향신문』, 1946.10.24.
「라디오테레비」, 『경향신문』, 1957.2.10.-3.21.
「월남작가 크럽 결성」, 『경향신문』, 1949.11.24.
「월북작가 120여명 해금」, 『경향신문』, 1988.7.19.
「이북통신 중요목차」, 『동아일보』, 1946.7.30., 1946.8.11.
계용묵, 「별을 헨다」1-7, 『동아일보』, 1946.12.24-31.
곽종원, 「신춘문예시평—신년호 작품들을 읽고」, 『민성』4.3, 1948.3.
구명숙 외 편, 『한국 여성작가 작품목록』, 역락, 2013, 294-305쪽.
구명숙, 『해방기 여성단편소설Ⅱ』, 역락, 2011, 37-57쪽, 73-82쪽.
김광주, 「최근의 창작계 —기억에 남는 작품들」, 『백민』4.4, 1948.7.
김병익, 「정치와 소설」, 『문학과 지성』 창간호, 문학과 지성사, 1970 가을.
김병익, 「피해서 창조 문학으로」, 『동아일보』, 1970.6.25.
본사특파원 HH생, 「삼팔선이북답파기 함경도반」1-5, 『동아일보』, 1946.4.14.-19.
본사특파원 KK생, 「삼팔선이북답파기 평안반」1-7, 『동아일보』, 1946.4.6.-13.
임옥인, 『나의 이력서』, 정음사, 1985, 86-88쪽.
정재림 엮, 『임옥인 소설 선집』, 현대문학, 2010, 13-180쪽.
최강민 엮, 『박순녀 작품집』, 지만지, 2010, 25-57쪽, 61-100쪽, 171-206쪽.
최정희, 「여류작가군상」, 『예술조선』2, 1947.12.
곽승숙, 「전후 여성작가의 월남체험과 그 서사—임옥인의 『월남전후』와 『붉은밤』을 중심으로」, 『한국문학과 실향, 귀향, 탈향의 서사』, 푸른사상, 2016, 297-319쪽.
김학동 편, 『오장환 전집』, 국학자료원, 2003, 593쪽.
류진희, 「해방기 여성작가들의 문학적 선택」, 권보드래 외 12인, 『문학을 부수는문학들』, 민음사, 2018, 92-111쪽.
이상경, 『임순득, 대안적 여성주체를 향하여』, 소명, 2009, 120-151쪽.
정미지, 「박순녀 문학의 젠더 주체와 ‘불온’의 재현 논리」, 『여성문학연구』 제38호, 한국여성문학학회, 2016.9, 227-255쪽.
김윤선, 「월남 여성작가 박순녀의 체험과 문학—「아이 러브 유」, 「외인촌」, 「어떤파리」를 중심으로」, 『한국학연구』 제33호, 고려대 한국학연구소, 2010.6, 235-262쪽.
김주리, 「월경과 반경—임옥인의 〈월남전후〉에 대하여」, 『한국근대문학연구』 제31호, 한국근대문학회, 2015.4, 91-119쪽.
김주리, 「월남 여성 지식인의 내면과 박순녀의 소설」, 『한민족문화연구』 제66호, 한민족문화학회, 2019.6, 105-138쪽.
김준현, 「관북 출신 월남문인의 정착과 전후 문학 장」, 『한국근대문학연구』 제31호, 한국근대문학회, 2015.4, 65-90쪽.
서세림, 「월남문학의 유형—경계인의 몇가지 가능성」, 『한국근대문학연구』 제31호, 한국근대문학회, 2015.4, 7-38쪽.
서은주, 「비판적 지성과 젠더, 그 재현의 문제—박순녀의 1960-70년대 소설을 중심으로」, 『여성문학연구』 제42호, 한국여성문학학회, 2017.12, 65-99쪽.
이명희, 「반공주의와 작가정신: 월남 작가 박순녀의 경우」, 『아시아여성연구』 제47권 1호, 숙명여대 아시아여성연구원, 2008.5, 7-38쪽.
이선미, 「1960년대 여성지식인의 자유 담론과 미국—박순녀, 손장순, 박시정 소설을 중심으로」, 『현대문학의 연구』 제29호, 한국문학연구학회, 2006.6, 417-452쪽.
전소영, 「해방 이후 ‘월남작가’의 존재방식—1945-1953년의 시기를 중심으로」, 『한국현대문학연구』 제44호, 한국현대문학회, 2014.1, 383-419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