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 KOREAN
  • P-ISSN1229-4632
  • E-ISSN2733-5925
  • KCI

The contemporary encounter between Korean SF and feminism : Focusing on Kim Bo‐young’s “How Much Does It Resemble” and Djuna’s “The Second Nanny”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20, v.0 no.49, pp.36-62
https://doi.org/10.15686/fkl.2020..49.36
Eunkyo Kang
eun-joo kim

Abstract

본고는 한국 페미니즘 대중화의 흐름 속에서 이루어진 SF와 페미니즘의 동시대적 조우에 주목한다. 한국의 SF 작가들이 페미니즘의 정치적, 이론적 논의와 문화적 풍조를 공유하고 있다고 본다면, 젠더와 섹슈얼리티에 대해 사유하는 SF 텍스트를 페미니즘 논의의 반영일 뿐만 아니라 페미니즘 논의에의 기여로서 적극적으로 독해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두 편의 SF 중편소설 김보영의 「얼마나 닮았는가」(2017)와 듀나의 「두 번째 유모」(2017)를 독해한다. 김보영의 「얼마나 닮았는가」는 성차별이 온존하는 미래의 한국 사회를 인공지능 화자의 시선을 통해 낯설게 함(defamiliarization)으로써, 동일성의 폭력에서 벗어나 차이를 긍정하는 데 젠더에 대한 인식이 필수적임을 보여준다. 듀나의 「두 번째 유모」는 아버지의 폭력성으로 인해 균열이 난 기존의 세계에서 살아남기 위해 욕망하고, 생각하고, 행동하면서 새로운 삶의 조건을 찾아 나서는 모험 서사의 주인공으로 소녀를 내세우면서 새로운 주체성을 형상화하고, 세계의 안티‐오이디푸스적 재편을 꾀한다. SF가 그리는 세계는 그 배경이 연대기 상으로 미래이던, 과거이던, 현재이던지 간에 단 한 번도 도래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언제나 잠재적인 위상을 가지며, 미래를 향해 있다. 이러한 SF의 잠재성/미래성은 차별이 온존하던 과거를 의식하면서 차별이 사라진 더 나은 미래를 열망하는 페미니즘의 동시대적 시간성과 교차하면서 페미니즘 대안 세계를 생성한다. SF의 잠재적인 대안 세계는 현재 현실을 새로운 시각으로 바라보고 미래의 결정에 비판적으로 개입할 동기를 부여한다는 점에서 정치적인 힘을 갖는다. 이와 같은 SF의 장르적 특성이 작가들, 독자들 모두에게 젠더 권력관계를 변화시키고자 하는 페미니즘의 주요한 자원이자 방법으로 인식됨에 따라 ‘한국 페미니즘 SF’의 저변이 확장되고 있다.

keywords
SF, Feminist SF, Djuna, Kim Boyoung, Virtuality, Contemporary, SF, 페미니즘 SF, 듀나, 김보영, 잠재성, 동시대성

Reference

1.

김보영, 「얼마나 닮았는가」, 『아직 우리에겐 시간이 있으니까』, 한겨레출판, 2017, 163-269쪽.

2.

듀나, 「두 번째 유모」, 『아직 우리에겐 시간이 있으니까』, 한겨레출판, 2017, 271-342쪽.

3.

김은주, 『여성‐되기: 들뢰즈의 행동학과 페미니즘』, 에디투스, 2019, 23-33쪽.

4.

장정희, 『SF 장르의 이해』, 동인, 2016, 35-36쪽.

5.

텍스트릿 엮음, 『비주류 선언: 서브컬쳐 본격 비평집』, 요다, 2019, 213-215쪽.

6.

도나 해러웨이, 황희선 역, 『해러웨이 선언문』, 책세상, 2019, 79쪽.

7.

로지 브라이도티, 박미선 역, 『유목적 주체: 우리시대 페미니즘 이론에서 체현과 성차의 문제』, 여이연, 2004, 59쪽, 139쪽, 245쪽.

8.

셰릴 빈트, 전행선 역, 『에스에프 에스프리: SF를 읽을 때 우리가 생각할 것들』, 아르테, 2019, 289쪽, 295쪽.

9.

수잔 팔루디, 황성원 역, 『백래시』, 아르테, 2017, 42쪽.

10.

안 소바냐르그, 성기현 역, 『들뢰즈, 초월론적 경험론』, 그린비, 2016, 130-132쪽.

11.

클레어 콜브룩, 한정현 역, 『들뢰즈 이해하기: 차이생성과 생명의 철학』, 그린비, 2007, 316쪽.

12.

Darko Suvin, Metamorphoses of Science Fiction: On the Poetics and History of a Literary Genre, New Haven: Yale University Press, 1979, pp.4-6.

13.

Elizabeth Grosz, Sexual Subversions: Three French Feminists, Crows Nest: Allen & Unwin, 1989, pp.104-107.

14.

Giorgio Agamben, What is an Apparatus? And Other Essays, Stanford: Stanford University Press, 2009, p.40.

15.

Istvan Csicsery‐Ronay Jr., The Seven Beauties of Science Fiction, Middletown: Wesleyan University Press, 2008, p.3.

16.

Patricia Melzer, Alien Constructions: Science Fiction and Feminist Thought, Austin: University of Texas Press, 2006, pp.9-11.

17.

Prudence Chamberlain, The Feminist Fourth Wave: Affective Temporality, London: Palgrave Macmillan, 2017, pp.62-63.

18.

Rosi Braidotti, Metamorphoses: Towards a Materialist Theory of Becoming, Cambridge: Polity Press, 2002, p.190, p.241.

19.

Sarah Lefanu, In the Chinks of the World Machine: Feminism and Science Fiction, Toronto: The Women’s Press, 1988.

20.

Teresa de Lauretis, Alice Doesn’t: Feminism, Semiotics, Cinema, Bloomington: Indiana University Press, 1984, p.133.

21.

서승희, 「포스트휴먼시대의 여성, 과학, 서사: 한국 여성 사이언스픽션의 포스트휴먼 표상 분석」, 『현대문학이론연구』 제77호, 현대문학이론학회, 2019, 130-153쪽.

22.

이지용, 「한국 SF의 장르적 특징과 의의—근대화에 대한 프로파간다부터 포스트 휴먼 담론까지」, 『대중서사연구』 제50호, 대중서사학회, 2019, 33-69쪽.

23.

인아영, 「젠더로 SF하기」, 『자음과 모음』 제42호, 자음과모음, 2019, 47-58쪽.

24.

정은경, 「SF와 젠더 유토피아」, 『자음과 모음』 제42호, 자음과모음, 2019, 23-35쪽.

25.

구둘래, 「성난 여성들의 무기는 책」, 『한겨레』, 2016. 3. 6.

26.

구둘래, 「2020년 ‘SF 원더’는 계속된다」, 『한겨레』, 2020.2.3.

27.

http://ch.yes24.com/Article/View/39497 (접속일: 2020. 2. 20.)

28.

이 설, 「판타지 읽으며 자란 80년대생, 장르소설을 깨우다」, 『동아일보』, 2019.12.25.

29.

최영주, 「‘여성서사’는 늘 다르게 상상되고 끊임없이 변화한다」, 『노컷뉴스』, 2019.6.20.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