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 KOREAN
  • P-ISSN1229-4632
  • E-ISSN2733-5925
  • KCI

Coalitional Politics beyond Hegemonic Masculinities: Ch’oe Chŏnghŭi’s short stories between 1945 and 1950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20, v.0 no.49, pp.64-90
https://doi.org/10.15686/fkl.2020..49.64
Bae Sangmi

Abstract

This paper examines the people against the hegemonic masculinity in Ch’oe Chŏnghŭi’s short stories between 1945 and 1950. For this purpose, I apply hegemonic masculinities by R. W . Connell and the coalitional politics by Judith Butler to read her stories on a par with her literature in colonial period and post‐Korean war. The people who disagree with the hegemonic masculinity masculinity do not resist it actively. However, their desire to escape from the masculinity to consist of coalition politics. Therefore, I argue that her narratives realize the new society under the solidarity among ignored and excluded people.

keywords
최정희, 헤게모니적 남성성, 연합적 정치, 해방기, 미군, 냉전, Ch’oe Chŏnghŭi, Hegemonic masculinity, Coalitional politics, Liberation period, The U.S. military, Cold War

Reference

1.

구명숙·이병순·김진희·엄미옥 편, 『해방기 여성 단편소설』 2, 역락, 2011, 546, 554, 564-565, 567쪽.

2.

최정희, 『풍류 잡히는 마을』, 어문각, 1949, 16, 18, 23, 47-49, 63-64, 72, 98, 121-122, 129, 138, 221쪽.

3.

최정희, 「내가 묘사한 남성」, 『조선일보』, 1950.2.23.

4.

최정희, 「끝없는 낭만」, 『한국문학전집』 14, 민중서관, 1959. 404쪽.

5.

김복순, 『나는 여자다: 방법으로서의 젠더』, 소명출판, 2012, 46-65, 104-132쪽.

6.

Judith Butler, Gender Trouble: Feminism and the Subversion of Identity (Second edition), Routledge, 1999, pp.20-22.

7.

R. W. Connell, Masculinities (Second edi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5, pp.185-203.

8.

공임순, 「최정희의 해방 전/후와 ‘부역’의 젠더 정치」, 『여성문학학회』 제46호, 한국여성문학회, 2019, 7-37쪽.

9.

김복순, 「정치적 여성 주체의 탄생과 반미소설의 계보—최정희의 「풍류 잡히는마을」을 중심으로—」, 『민족문학사연구』 제40호, 민족문학사학회, 2009, 310-344쪽.

10.

김양선, 「반공주의의 전략적 수용과 여성문단」, 『어문학』 제101호, 한국어문학회, 2008, 333-357쪽.

11.

김정숙, 「최정희의 해방기 소설과 『녹색의 문』에 나타난 현실 인식의 변화」, 『비평문학』 제 34호, 한국비평문학회, 2009, 71-92쪽.

12.

김재훈, 「해방 후 양곡유통체계의 재편」, 『사회경제평론』 제26호, 한국사회경제학회, 2006, 39-78쪽.

13.

류진희, 「해방기 탈식민 주체의 젠더전략: 여성서사의 창출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1-276쪽.

14.

박보영, 「미군정 구호정책의 성격과 그 한계: 1945~1948」, 『사회연구』 제6권1호, 한국사회조사연구소, 2005, 69-100쪽.

15.

박정미, 「한국 성매매정책에 관한 연구: ‘묵인‐관리 체제’의 변동과 성판매여성의 역사적 구성, 1945~2005년」,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1-463쪽.

16.

배석만 「해방 후 귀속재산 처리의 전개과정과 귀결」, 『한일민족문제연구』 제26호, 한일민족문제학회, 2014, 43-91쪽.

17.

손유경, 「잔해의 목격」, 『구보연구』 제20호, 구보학회, 2018, 423-446쪽.

18.

이병순, 「현실추수와 낭만적 서정의 세계」, 『현대소설연구』 제26호, 한국현대소설학회, 2005, 131-150쪽.

19.

이혜숙, 「미 군정기 일본인 재산의 처리와 농업 정책」, 『사회와 역사』 제23호, 한국사회사학회, 1990, 260-359쪽.

20.

허 윤, 「1950년대(年代) 양공주(洋公主) 표상(表象)의 변전(變轉)과 국민(國民) 되기: 최정희(崔貞熙)의 『끝없는 낭만(浪漫)』을 중심으로」, 『어문연구』 제41권 1호,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3, 257-283쪽.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