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229-4632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compare the identities of the female speakers in Samiin-gok(a song of longing for a king) and Sokmiin-gok (a sequel to Samiin-gok) based on the positioning theory, which insists that one is able to understand an individual’s identity by analysing the way that he/she is positioning himself/herself and using the languages accordingly in a discursive situation. The female speaker in Samiin-gok positions herself as ‘a woman of the Neo-Confucian literati class’ by adopting the poetic lines of the Neo-Confucian literati and Chinese words, which imply the desire for political power. The female speaker in Sokmiin-gok positions herself as a ‘Gungnyeo (palace maid)’ and uses the colloquial languages of the uneducated woman, which are in the Korean vernacular. This implies that she has no desire for political power, yet only has the yearning for a man’s love instead. She constructs her identity as ‘a woman speaking in the vernacular’ which has paradoxical power due to the absolute nature of ‘humilis’, therefore Sokmiin-gok has been highly regarded for its presentation of an authentic voice notwithstanding its political message.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송강전집』, 1964, 1-807쪽.
송강유적보존회, 『국역 송강집』 (신편개간), 1988, 1-945쪽.
정은임 교주, 『계축일기』, 이회문화사, 2005, 1-578쪽.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한국민속대관』 제2권,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1980, 535쪽.
김갑기, 『송강 정철의 시문학』, 이화문화출판사, 1997, 221-247쪽.
김만중, 심경호 역, 『서포만필』 하, 문학동네, 2010, 665-667쪽.
김진희, 『송강가사의 수용과 맥락』, 새문사, 2016, 164-197쪽.
남평 조씨, 박경신 역주, 『병자일기: 노부인, 일상을 기록하다』, 나의시간, 2015, 71쪽.
소혜왕후, 이경하 주해, 『내훈』, 한길사, 2011, 158-163쪽.
정소연, 『조선 전·중기 시가의 양층언어 문학사—우리말노래와 한시 비교를 중심으로—』, 새문사, 2014, 13쪽.
정은임 교주, 「인현왕후 성덕 현행록」(국립도서관본), 『인현왕후전』, 이회문화사, 2004, 151쪽.
정재호·장정수, 『송강가사』, 신구문화사, 2006, 200-207쪽.
조동일, 『(제4판) 한국문학통사』 제3권, 지식산업사, 2005, 148-151쪽.
최규수, 『송강 정철 시가의 수용사적 탐색』, 월인, 2002, 59쪽.
풍양 조씨, 김경미 역주, 『자기록: 여자, 글로 말하다』, 나의시간, 2014, 12쪽.
홍만종, 이민수 역, 『순오지』, 을유문고, 1971, 266-267쪽.
혜경궁 홍씨, 정병설 역, 『한중록』, 문학동네, 2010, 286쪽, 380쪽.
데니스 하워드 그린, 이혜민 역, 『중세의 여성독자』, 연세대학교 대학출판문화원, 2017, 56-60쪽.
왕상 편, 이숙인 주해, 『여사서』, 여이연, 2003, 25-351쪽.
장파, 유중하 외 역, 『동양과 서양, 그리고 미학』, 푸른숲, 1999, 175-176쪽.
천즈어, 임준철 역, 『중국시가의 이미지』, 한길사, 2013, 133-199쪽.
강지수, 「언어적 자아 형성: 중세 고해신부의 라틴어 권위와 여성 신비주의자의 자국어 인식」, 『영미문학연구』 제15집, 영미문학연구회, 2008, 33-56쪽.
김진희, 「송강가사의 수용론적 연구」, 연세대 박사논문, 2009, 1-280쪽.
박일용, 「「만분가」의 형상화 형태」, 『한국고전시가작품론』 2, 집문당, 1992, 607-620쪽.
손혜리, 「청성 성대중의 문학활동과 문학론」, 성균관대 석사논문, 2000, 1-92쪽.
윤덕진, 「송강가사 전승 사실의 맥락」, 『열상고전연구』 제27집, 열상고전연구회, 2007, 403-480쪽.
윤주옥, 「중세 여성의 문자 생활—영국의 마리 드 프랑스의 브레톤 레이를 중심으로」, 『외국문학연구』 제48집, 한국외국어대 외국문학연구소, 2012, 183-210쪽.
이승복, 「『계축일기』에 나타난 갈등의 층위와 제시 방식」, 『고전문학과 교육』 제34집, 고전문학교육학회, 2017, 193-222쪽.
이종묵, 「조선시대 여성과 아동의 한시 향유와 이중언어체계(Diaglosia)」, 『진단학보』 제104호, 진단학회, 2007, 179-208쪽.
이혜순, 「15·16세기 여성화자 시가의 의미—「사미인곡」·「속미인곡」·「妾薄命」을 중심으로」, 『한국문화』 제19집,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1997, 67-87쪽.
정병설, 「『계축일기』의 작가 문제와 역사 소설적 성격」, 『고전문학연구』 제15집, 한국고전문학회, 1999, 149-171쪽.
정재호, 「「속미인곡」의 내용분석」, 김학성·권두환 편, 『고전시가론』, 새문사, 1984, 510-533쪽.
조세형, 「송강가사의 대화 전개방식」, 『가사의 언어와 의식』, 보고사, 2008, 13-108쪽.
조하연, 「송강 정철의 전후미인곡 다시 읽기」, 『문학치료연구』 제41집, 한국문학치료학회, 2016, 241-276쪽.
최상은, 「한중 연군문학 비교 연구: 굴원의 「이소」와 정철의 「사미인곡」을 중심으로」, 『중국학논총』 제29집, 한국중국문화학회, 2010, 129-149쪽.
풍 지, 「정철의 「전후미인곡」과 굴원의 「이소」의 비교연구」, 서울대 석사논문, 2018, 1-165쪽.
황국정, 「『계축일기』에 실현된 언어적 특징 연구」, 『인문과학연구』 제32집, 대구가톨릭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7, 105-139쪽.
Acevedo, S. M. et al., “Positionality as Knowledge: From Pedagogy to Praxis”, Integral Review, Vol.11 No.1, 2015, pp.28-46.
Bucholtz, M. and Hall, K., “Identity and Interaction: A Sociocultural Linguistic Approach”, Discourse Studies, Vol.7 No.4-5, 2005, pp.585-614.
Davies, B. and Harré, R., “Positioning: The Discursive Production of Selves”, Journal for the Theory of Social Behaviour, Vol.20, 1990, pp.43-63.
Ferguson, C. A., “Diglossia”, WORD, Vol.15 No.2, 1959, pp.325-340.
Ochs, E. and Taylor, C., “The “Father Knows Best” Dynamic in Dinnertime Narratives”, eds., Hall, K. and Bucholtz, M., Gender Articulated: Language and the Socially Constructed Self, New York: Routledge, 1995, pp.97-120.
Watson, N., “Conceptions of the Word: the Mother Tongue and the Incarnation of God”, NML, Vol.1, 1997, pp.85-124.
Watson, N., “Visions of Inclusion: Universal Salvation and Vernacular Theology in Pre-Reformation England”, JMEMS, Vol.27 No.2, 1997, pp.145-187.
http://sillok.history.go.kr/search/inspectionMonthList.do?id=knb (『선조수정실록』 27권, 선조 26년 12월 1일 경술 4번째 기사. 1593년 명 만력(萬曆)21년 전인성부원군 정철의 졸기)
http://db.itkc.or.kr/ (『청성집』 권8 「書坯窩所譯思美人曲後」, 한국고전종합D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