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청맥』에 나타난 리저널리즘의 탈냉전지(知)와 트랜스내셔널/로컬의 젠더 —특집 및 권두언을 중심으로

Methods of Regionalism and Gender of Transnational/Local in Cheong-Mag

여성문학연구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20, v.0 no.50, pp.225-270
https://doi.org/10.15686/fkl.2020..50.225
김복순 (명지대학교)

Abstract

『청맥』이 제시한 제3방안의 탈냉전지(知)는 크게 얄타체제 및 자유/빵의 이분법비판, 자주적인 내포적 공업화, 문화식민론의 극복이라는 세 축으로 집약되었다. 최종심급은 민족모순(분단, 평화 통일)이었다. 『청맥』은 평화통일을 언급한 최초의 종합교양잡지(월간)였다. 정치기획의 첫 번째 특징은 ‘얄타체제를 거부하면서 트랜스내셔널/트랜스로컬의 관계를 재사유할 것을 강력히 요청했다는 점이다. 『청맥』의 탈식민 주체성은 ‘저항적 아시아민족주의’로서 반둥정신을 반영하고 있었다. 『청맥』의 리저널리즘은 자주적 민족주의와 결합한 것이어서, 자유민주주의인 『사상계』의 저항담론 또는 박정희정권의 민족적 민주주의와 차이가 있다. 정치기획의 두 번째 특징은 ‘빵/자유’라는 이분법을 거부한 점이었고, 세번째 특징은 미국을 전면 부정하지 않았다는 점이다. 소극적 반미로서, ‘실질적인 우방개념을 설정하여, ‘공존 시대의 우방’ 개념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피력하였다. 『청맥』은 발전론이 함유하고 있는 신식민주의적, 제국주의적 성격을 파악하고 있었다는 점에서 50년대 이승만 정권 및 『사상계』와 방법론 상에서 차이를 보였다. 『청맥』의 발전론은 발전론 자체의 속성과 다르게 반제·반식민을 확인시켜주었다. 『사상계』가 국가주도의 산업화 정책을 추구하면서 미국 원조 및 차관을 기초로 한 경제개발계획을 정책적으로 삼았다면, 『청맥』은 위 정책의 경제적 종속성, 매판성을 강력히 비판하면서 자주적인 내포적 공업화를 강조하였다. 이는 70년대 민족경제론으로 이어지는 바탕이 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문화기획에서는 ‘민족성론’으로부터 출발하여 ‘문화식민론 극복’ ‘민족문화론’ ‘근대의 기점’ 문제로 이어지는 기획을 펼쳐 보였다. 식민문화를 트랜스내셔널/트랜스로컬의 관점으로 접근하면서 역사적 형성물로 자리매김하고, 특히 ‘발전’의 관점에서 이를 재사유하고 있었다. 민중을 역사의 주체로 호명한 것도 『청맥』의 뚜렷한 특징 중 하나이다. 이들은 당대의 여타 잡지와 다른 특징이었다. 미국(문화)이 부정되는 글에서는 젠더의식이 확연히 드러났다. ‘남성’이 미국=한국=아비로 설정되면서, ‘미군 기지라는 맥락을 은폐하고 여성에게 책임을 전가하는’ ‘정신 없는 아비’로 부정되었다. 이는 세대론의 관점이 투영된 것으로서, 남성성을 부정성의 영역으로 배치한 점은 당시로서는 매우 새로운 관점이었다. ‘아비부정’을 통해 강조되는 것은 제국주의의 ‘침략’적 성격 및 가부장적, 남성중심적 정치세력과 그들의 젠더의식이었다. 이것이 『청맥』이 파악한 ‘냉전의 젠더’의 한국적 특수성 중 하나이다. 『청맥』의 아비부정은 미·소라는 아비를 부정하고 새로운 보편을 상정하려 한 반둥정신과 호몰로지였다. 경제기획에서는역사, 학문, 대중, 시민 등의 개념 속에 ‘여성’이 아예 ‘소거’되어 남성젠더화의 경향이 목도되었으며, 문화식민론의 핵심인 ‘엽전의식’과 ‘소비’는 여성젠더와 결합되어 있었다. 이것이 『청맥』에서 내셔널리즘과 엽전의식 및 내셔널리즘과 소비가 결합하는 방식이었다. 『청맥』에서 개발의제와 젠더의제는 여전히 통합되지 못한 상태였다. 발전· 탈냉전의 주체는 ‘남성젠더’였지만, ‘이중부정’을 통해 ‘발전의 주체–남성성’이 희석되면서 가까스로 확립된 것에 불과했다. 허약한 남성성은 ‘아버지’ 대신 ‘젊은 아들’을 주체로 설정한 것이기도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여타의 진보적 방법론이 허용되지 않던 당시의 시대적 상황에서 ‘좌절될 방법론’임을 ‘스스로 예증’ 하는 것이기도 했다. 경제개발계획 등으로 장밋빛 청사진이 제시되던 개발독재하에서 ‘발전의 주체’가 ‘허약한 남성성’으로 설정된 것 자체가 ‘냉전–한국’의 역설이자 ‘냉전의 젠더’의 한국적 특수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keywords
제3방안, 냉전의 젠더, 발전론의 젠더, 반둥, 평화통일론, 아비부정, 자유로서의 발전, 반미, 내포적 공업화, 문화식민론, The Third Plan, gender of cold-war, gender of development theory, Bandung, peaceful unification theory, the denial of Father, development as freedom, anti-Americanism, independent intensive industrialization, cultural imperialism

참고문헌

1.

『청맥』(64.8-67.6)

2.

『사상계』(52.9-70.5)

3.

권보드래·천정환, 『1960년을 묻다』, 천년의 상상, 2013. 47쪽.

4.

김복순, 『페미니즘 미학과 보편성의 문제』, 소명출판, 2005, 15-25쪽.

5.

김삼웅, 『통일론 수난사』, 한겨레신문사, 1994, 9-180쪽.

6.

김용구 편, 『자유 하의 발전』, 사상계사, 1962, 9, 29쪽.

7.

김윤태 엮음, 『발전국가』, 한울, 1997, 67-108쪽.

8.

김복순, 『페미니즘 미학과 보편성의 문제』, 소명출판, 2005, 15-25쪽.

9.

김은하, 『개발의 문화사와 남성 주체의 행로』, 국학자료원, 2017, 1-384쪽.

10.

김질락, 『어느 지식인의 죽음』, 행림서원, 2011, 17-51쪽.

11.

김학재, 『판문점 체제의 기원』, 후마니타스, 2015, 1-690쪽.

12.

박찬표, 『한국의 국가형성과 민주주의』, 후마니타스, 2007, 1-460쪽.

13.

박태균, 『원형과 변용 —한국경제개발계획의 기원』, 서울대 출판부, 2007, 1-400쪽.

14.

박태순·김동춘, 『1960년대 사회운동』, 까치, 1991, 215-240쪽.

15.

서동진·박소현 엮음, 『비동맹독본』, 현실문화연구, 2020, 401-403쪽.

16.

서울대학교 국제문제연구소 편, 『글로벌 냉전의 지역적 특성』, 사회평론, 2015, 5-108쪽.

17.

서중석, 『배반당한 한국민족주의』, 성균관대출판부, 2004, 40-57쪽.

18.

서중석·김덕련, 『현대사이야기 3—조봉암과 이승만, 평화통일 대 극우반공독재』, 오월의 봄, 2016, 216쪽.

19.

설혜심, 『소비의 역사』, H, 2017, 434-435쪽.

20.

신생국강좌, 『신생국의 이데올로기』, 세계사, 1966, 1-395쪽.

21.

장세진, 『슬픈 아시아』, 푸른사상, 2012, 1-311쪽.

22.

조영준·류상윤·홍제환 역해, 『한국 경제의 재건을 위한 진단과 처방: 네이산 보고서의 재발견』,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20, 1-543쪽.

23.

정용욱 외, 『1960년대 한국의 근대화와 지식인』, 선인, 2004, 17-224쪽.

24.

최갑수 외, 『혁명과 민주주의』, 경인문화사, 2018, 226-227쪽.

25.

하상일, 『1960년대 현실주의 문학비평과 매체의 전략』, 소명출판, 2008, 1-214쪽.

26.

거다 러너, 강세영 역, 『가부장제의 창조』, 당대, 2004, 1-470쪽.

27.

너멀 퓨어, 김미덕 역, 『공간 침입자』, 현실문화, 2020, 16-17쪽.

28.

로스토우, 이상구 역, 『급 반공산당선언: 경제성장의 제단계』, 1960, 진명문화사, 1-205쪽.

29.

마루카와 데쓰시, 백지운·윤여일 역, 『리저널리즘』, 그린비, 2008, 17-56쪽.

30.

문승숙·마리아 흔 엮음, 이현숙 역, 『오버 데어』, 그린비, 2017, 19-129쪽.

31.

반다나 시바, 류지한 역, 『누가 세계를 약탈하는가』, 울력, 2003, 1-206쪽.

32.

버나드 맨더빌, 최윤재 역, 『꿀벌의 우화』, 문예출판사, 2010, 7쪽.

33.

아마티아 센, 김원기 역, 『자유로서의 발전(Development As Freedom)』, 갈라파고스, 2013, 41-42쪽.

34.

오드 아르네 베스타, 오강준 역, 『냉전의 지구사』, 에코리브르, 2020, 153-178쪽.

35.

우르와시 부딸리아 편저, 김선미 외 역, 『빼앗긴 사람들—아시아 여성과 개발』, 산지니, 2015, 23쪽, 31쪽.

36.

존 루이스 개디스, 홍지수·강규형 역, 『미국의 봉쇄전략』, 비봉출판사, 2020, 13쪽.

37.

존 라플리, 김창수·김장생 역, 『개발의 이해-제3세계에서의 이론과 실제』, 한국문화사, 2016, 30-38쪽.

38.

질베르 리스트, 신해경 역, 『발전은 영원할 것이라는 환상』, 봄날의 책, 2020, 1-413쪽.

39.

캐서린 매키넌, 「강간: 강요와 동의에 대하여」, 조애리 외 편역, 『여성의 몸, 어떻게 읽을 것인가』, 한울, 2001, 56-77쪽.

40.

파레냐스, 문현아 역, 『세계화의 하인들』, 여이연, 2009, 1-456쪽.

41.

프랜시스 손더스, 유광태·임채원 역, 『문화적 냉전: CIA와 지식인들』, 그린비, 2016, 22쪽.

42.

필립 맥마이클, 조효재 역, 『거대한 역설-왜 개발할수록 불평등해지는가』, 교양인, 2013, 1-510쪽.

43.

김건우, 「1964년의 담론지형: 반공주의, 민족주의, 민주주의, 자유주의, 성장주의」, 『대중서사연구』 제22호, 대중서사학회, 2009, 71-90쪽.

44.

김복순, 「전후 여성교양의 재배치와 젠더정치」, 『여성문학연구』 제18호, 한국여성문학학회, 2007, 7-60쪽.

45.

김복순, 「학술교양의 사상형식과 ‘반공-로컬 냉전지(知)의 젠더—1950년대 『사상계』를 중심으로」, 『여성문학연구』 제29호, 한국여성문학학회, 2013, 73-125쪽.

46.

김복순, 「신식민지 시기 반미소설의 계보와 서사원리로서의 젠더」,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제60집,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 2013, 287-332쪽.

47.

김복순, 「트랜스로컬리티로서의 ‘나쁜 여자’와 ‘불평등 정당화’의 남한적 특수성」, 『대중서사연구』 제21권 3호, 대중서사학회, 2015, 7-56쪽.

48.

김복순, 「『사상계』 기행문에 나타난 아시아 리저널리즘의 재편양상과 재건의 젠더」, 『여성문학연구』 제39호, 한국여성문학학회, 2016, 217-260쪽.

49.

김양선, 「195·60년대 여성–문학의 배치—『사상계』 여성문학 비평과 여성작가 소설을 중심으로—」, 『여성문학연구』 제29호, 한국여성문학학회, 2013, 127-163쪽.

50.

김주현, 「『청맥』지 아시아 국가 표상에 반영된 진보적 지식인 그룹의 탈냉전 지향」, 『상허학보』 제39집, 상허학회, 2013, 295-336쪽.

51.

김진희, 「프랭클린 루즈벨트의 ‘경제적 자유’ 재개념화와 ‘경제적 권리 선언’」, 『미국학논집』 제43권3호, 한국아메리카학회, 2011, 155-185쪽.

52.

렁유, 김수현 역, 「복수성 관리하기—냉전 초기 싱가포르 주변의 정치학」, 『냉전아시아의 문화풍경 1』, 현실문화, 2008, 125-147쪽.

53.

박연희, 「『청맥』의 제3세계적 시각과 김수영의 민족문학론」, 『한국문학연구』 제53집, 동국대학교 한국문화연구소, 2017, 283-320쪽.

54.

반재영, 「후진국민의 정신분석」,『1960-70년대 냉전 문화를 읽다』 학술회의 자료집, 성균관대 동아시아학술원, 2020.1, 50-52쪽.

55.

백영경, 「사회적 몸으로서의 인구와 지식의 정치」, 『여성문학연구』 제29호, 한국여성문학학회, 2013, 7-36쪽.

56.

오제연, 「1960년대 전반 지식인들의 민족주의 모색」, 『역사문제연구』 제25호, 역사문제연구소, 2011, 35-76쪽.

57.

이동헌, 「1960년대 『청맥』 지식인 집단의 탈식민 민족주의 담론과 문화전략」 『역사와 문화」 제24호, 문화사학회, 2012, 3-29쪽.

58.

이미경, 「형사사법절차상 성폭력 2차 피해의 심층구조」, 『여성학연구』 제23권2호, 부산대학교 여성연구소, 2013.6, 43-75쪽.

59.

이상록, 「1960~70년대 비판적 지식인들의 근대화 인식」, 『역사문제연구』 제18호, 역사문제연구소, 2007, 224쪽.

60.

이선옥, 「1960년대 과학주의와 젠더」, 『여성문학연구』 제39호, 한국여성문학학회, 2016, 261-302쪽.

61.

장세진, 「안티테제로서의 반둥정신과 한국의 아시아 상상」, 『사이間SAI』 제15호,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2013, 135-169쪽.

62.

장필화·노지은, 「‘발전’에 대한 새로운 상상」, 『한국여성철학』 제20권, 한국여성철학회, 2013, 207-230쪽.

63.

전용호, 「1960년대 참여문학론과 『청맥』」, 『국어국문학』 제141호, 국어국문학회, 2005. 261-282쪽.

64.

정용욱, 「4.19 민주혁명인가 민족혁명인가」, 최갑수 외, 『혁명과 민주주의』, 경인문화사, 2018, 226-227쪽.

65.

정진아, 「1950년대 후반-1960년대 초반 『사상계』 경제팀의 개발 담론」, 『사학연구』 제105호, 한국사학회, 2012, 321-364쪽.

66.

조봉암, 「평화통일에의 길」, 『조봉암전집』, 세명서관, 1999, 424-450쪽.

67.

한영현, 「사상계의 시민사회론을 통해 본 젠더인식」, 『한국민족문화』 제50호,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4, 123-154쪽.

68.

황병주, 「1960년대 비판적 지식인 사회의 민중인식」, 『기억과 전망』 제21호, 민주화운동사업회, 2009, 110-149쪽.

69.

황병주, 「박정희 체제의 지배담론」, 한양대 박사논문,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8, 1-311쪽.

70.

허윤회, 「1960년대 참여문학론의 도정」, 『상허학보』 제8집, 상허학회, 2002, 99-122쪽.

71.

캐서린 매키넌, 「강간: 강요와 동의에 대하여」, 조애리 외 편역, 『여성의 몸, 어떻게 읽을 것인가』, 한울, 2001, 56-77쪽.

72.

Gustavo Esteva, “Development”, The Development Dictionary, ed., Wolfgang Sachs, London:Zed, 1992, P.7.

여성문학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