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229-4632
This study aimed to explore ‘desire to rebuild post-war masculinity’ and ‘women’s counter- strategies’ in the play. By interacting with each other repeatedly, the continuity aspect and delay aspect build repeating structure of suspense and create a unique view of feminism. In the repeating structure, the violent desire of male characters to define female character (Young-Ja) becomes intense. It is foregrounded as a heavy locomotive in the play. But also Young-Ja’s ambiguous reaction dodging male characters’s desire gradually becomes strengthened. As Young-Ja’s ambiguity disturbs male characters who demand dichotomous self-evident to her, the male ruling group cannot recklessly define her identity.
임희재, 「꽃잎을 먹고 사는 기관차」, 『희곡 오인선집』, 성문각, 1958, 24-79쪽.
김방옥, 『한국사실주의 희곡 연구』, 가나, 1988, 177-180쪽.
김선희, 『혐오 미러링』, 연암서가, 2018, 30, 37쪽.
민족문학사연구소 희곡분과, 『1950년대 희곡 연구』, 새미, 1998, 104, 225-232쪽.
박명진, 『한국전후희곡의 담론과 주체구성』, 월인, 1999, 347쪽.
오영미, 『한국전후연극의 형성과 전개』, 태학사, 1996, 98-99쪽.
유민영, 『한국현대희곡사』, 새미, 1997, 520쪽.
유진월, 『한국희곡과 여성주의비평』, 집문당, 1996, 257-258쪽.
정재형, 『영화 이해의 길잡이』, 개마고원, 2003, 89-90쪽.
H.포터 애벗, 우찬제 외 공역, 『서사학 강의』, 문학과지성사, 2010, 117쪽.
데이비드 로지, 김경수·권은 역, 『소설의 기교』, 역학, 2010, 34-36쪽.
도나 헤러웨이, 민경숙 역, 『유인원, 사이보그, 그리고 여자』, 동문선, 2002, 317-318쪽.
마사 누스바움, 조계원 역, 『혐오와 수치심』, 민음사, 2004, 207-209쪽.
마틴 에슬린, 김병선 역, 『연극의 해부』, 전주:新亞, 1988, 59, 61-63쪽.
우에노 치즈코, 나일등 역, 『여성 혐오를 혐오한다』, 은행나무, 2012, 39, 59쪽.
조지모스, 이광조 역, 『남자의 이미지』, 문예출판사, 2004, 184-228쪽.
주디스 버틀러·아테나 아타나시오우, 김응산 역, 『박탈』, 자음과 모음, 2016, 243쪽.
토릴 모이, 『성과 텍스트의 정치학』, 임옥희 외 공역, 한신문화사, 1994, 68쪽.
Anzaldúa, Gloria, Borderlands/La Frontera: The New Mestiza(2nd Edition), Aunt Lute Books, San Francisco, 1999, p.101.
Anzaldúa, Gloria, The Bridge Called My Back: Writings by Radical Women of Color(4nd Edition), ed., Cherrie Moraga and G Anzaldúa. New York: Kitchen Table, 2015, pp.163-171.
김양선, 「한국 전후 여성의 문학—교양과 펄 벅의 위치」, 『여성문학연구』 제46호, 한국여성문학학회, 2019, 95-116쪽.
김은하, 「전후 국가 근대화와 “아프레걸(전후 여성)” 표상의 의미—여성잡지 『여성계』, 『여원』, 『주부생활』을 대상으로」, 『여성문학연구』 제16호, 한국여성문학학회, 2006, 177-209쪽.
백두산, 「전후희곡에 나타난 전쟁미망인의 자기갱신 문제: 임희재 희곡 「꽃잎을 먹고 사는 기관차」연구」, 『한국극예술연구』 제39집, 한국극예술학회, 2013, 111-147쪽.
박미선, 「글로리아 안잘두아의 교차성 이론: 초기 저작에서 『경계지대/경계선까지』」, 『여성학연구』 제24권 1호, 부산대학교 여성연구소, 2015, 95-126쪽.
이미원, 「6.25와 분단 희곡 40년」, 『한국현대문학연구』 제1권, 한국현대문학회,1991, 129-147쪽.
이선옥, 「전쟁과 여성의 증언, 침묵, 균열, 다시쓰기—박화성 『눈보라의 운하』, 『휴화산』」, 『여성문학연구』 제46호, 한국여성문학학회, 67-91쪽.
이승현, 「전후 사실주의 희곡과 그 균열의 양상: 임희재 희곡을 중심으로」, 『한국극예술연구』 제41집, 한국극예술연구, 2013, 79-102쪽.
정우숙, 「임희재 희곡 「꽃잎을 먹고 사는 기관차」 연구: 테네시 윌리엄즈 작 「욕망이라는 이름의 전차」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국어국문학』 제139집, 국어국문학회, 2006, 515, 526-530쪽.
허 윤, 「한국전쟁과 히스테리의 전유—전쟁미망인의 섹슈얼리티와 전후 가족질서를 중심으로」, 『여성문학연구』 제21호, 한국여성문학학회, 2009, 93-124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