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Postmodern Condition in Feminism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20, v.0 no.50, pp.377-416
https://doi.org/10.15686/fkl.2020..50.377
Son Youkyung

Abstract

Being critical of the fact that the 1990s was experienc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individual, this study traces the attempts and achievements of various actors in 1992, which was a year of dramatic quantitative expansion of postmodern discourses. As postmodern controversy peaked in 1992, the non-mainstream groups of academia and literary circles seemed to have found an unprecedented opportunity to voice their opinions. However, as claimed by Jang Jeong-il that “even copying comes in different levels,” postmodern theories of literature and art were swept up in controversy, and literary circles solidified their authority. Given the strong hegemony of literary critics, the postmodern philosophy of French feminism was seen as no more than an imported good that threatened literature of women’s liberation, resulting in an anamorphic concept of modernism known as postmodern theory of women’s liberation. Amid the limited standard and breadth of postmodern discourses, feminists outside literary circles were the ones who opened a new window to a possible theoretical alliance between postmodernism and feminism. Like-minded individuals came together in the 1990s to form Alternative Culture (Ttomoon), which utilized its own capital and technology for the planning, editing, printing and publishing of magazines. Working against postmodern conditions such as the collapse of non-mainstream writers and reproduction of hegemony of critics, they visualized the “mainstream complex” of existing academia and literary circles, and developed radical content for next-generation feminists. At the same time, Ttomoon examined postcolonial feminism based on epistemological privilege of the periphery, thereby seeking a series of solutions to ethnic and women’s issues. Looking at 1992 alone, it is evident that the list of what we associate with the 1990s is highly limited. This period was not perceived as a depressing time of “collective collapse” in the eyes of non-mainstream writers such as Lee Seong-uk and Jang Jeong-il, and feminists outside literary circles who were members of Ttomoon.

keywords
Literature in 1990s, Postmodernism, Feminism, Literature of Women’s Liberation, Postmodern Theory of Women’s Liberation, Modernism, Postmodern Condition, Ttomoon, Postcolonial Feminism, Lee Seong-uk, Jang Jeong-il, 1990년대 문학, 1992년, 포스트모더니즘, 페미니즘, 여성해방문학, 포스트모던 여성해방론, 모더니즘, 포스트모던 조건, 또 하나의 문화, 탈식민주의페미니즘, 이성욱, 장정일

Reference

1.

강내희, 「포스트모더니즘 비판」, 『월간 사회평론』 제91권 6호, 사회평론, 1991, 182-201쪽.

2.

권택영·김성곤·김욱동·도정일·신정현·이정호, 「특집좌담: 포스트모더니즘의 여러 쟁점들」, 『미국학』 제15호, 서울대 미국학연구소, 1992, 73-94쪽.

3.

김선학·김명인·권오룡, 「문학의 위기, 위기의 문학」, 『현대문학』 제438호, 현대문학사, 1991.6, 36-55쪽.

4.

김영희·이명호·김영미, 「포스트모던 여성해방론의 딜레마」, 『여성과사회』 제3호, 한국여성연구소, 1992년 봄, 35-79쪽.

5.

김욱동, 「‘리얼리즘’의 잣대를 버려라」, 『중앙일보』, 1992.5.28.

6.

김진석, 「에피모더니즘으로서의 포스트모더니즘」, 『문학과사회』 제4호, 문학과지성사, 1991. 11, 1569-1586쪽.

7.

도정일, 「포스트모더니즘—무엇이 문제인가」, 『창작과비평』 제71호, 창작과비평사, 1991년 봄, 301-320쪽.

8.

도정일, 「시뮬레이션 미학, 또는 조립문학의 문제와 전망—이인화의 ‘혼성기법’ 이 제기하는 문제들」, 『문학사상』, 문학과사상사, 1992.7, 309-341쪽.

9.

류철균, 「새 기법 ‘관행’으로 평가 말자」, 『중앙일보』, 1992.5.18.

10.

이남호·박상천·이동하, 「‘91 문학총평」, 『현대문학』 제444호, 현대문학사, 1991.12, 36-55쪽.

11.

이명호·김희숙·김양선, 「여성해방문학론에서 본 80년대의 문학」, 『창작과비평』 제67호, 창작과비평사, 1990년 봄, 48-74쪽.

12.

이성욱, 「심약한 지식인에 어울리는 파멸」, 『한길문학』 제13호, 한길사, 1992년 여름, 270-298쪽.

13.

이성욱, 「정당성 잃은 인용은 곧 표절」, 『중앙일보』, 1992.5.21.

14.

이성욱, 『비평의 길』, 문학동네, 2004, 13-114쪽.

15.

이소영·정정호 공편, 『페미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 한신문화사, 1992.

16.

이정우, 「포스트모더니즘은 없다—우리에게 프랑스 철학이 필요한가? 그렇다」, 『월간 사회평론 길』 제97권 6호, 사회평론, 1997, 186-193쪽.

17.

장석주, 「세기말적 상상력, 또는 포스트모더니즘 소설의 현단계」, 『문학정신』 제52호, 열음사, 1991.1, 222-229쪽.

18.

장정일, 「‘베끼기’의 세 가지 층위」, 『문학정신』 7-8월 합본호, 열음사, 1992, 210-217쪽.

19.

조혜정, 「박완서 문학에서 비평이란 무엇인가」, 『작가세계』 제3권 1호, 작가세계, 1991, 97-144쪽.

20.

조혜정, 『탈식민지 시대 지식인의 글 읽기와 삶 읽기 2』, 또하나의 문화, 1994.

21.

최원식·윤지관·유중하·조만영, 「리얼리즘, 포스트모더니즘, 민족문학」, 『창작과비평』 제76호, 창작과비평사, 1992년 여름, 6-60쪽.

22.

태혜숙, 「포스트모던 여성해방론의 현황과 과제」, 『이론』 제5호, 진보평론, 1993.7, 60-83쪽.

23.

한국예술연구소 엮음, 『한국현대예술사대계 6: 1990년대』, 시공사, 1999.

24.

프레드릭 제임슨·백낙청, 「특별대담—맑시즘, 포스트모더니즘, 민족문화운동」, 『창작과비평』 제18호, 창작과비평사, 1990.3, 268-300쪽.

25.

『또 하나의 문화』

26.

김미현, 『여성문학을 넘어서』, 민음사, 2002.

27.

김미현, 『젠더 프리즘』, 민음사, 2008.

28.

문광훈, 『정열의 수난—장정일 문학의 변주』, 후마니타스, 2007.

29.

서영채, 『소설의 운명』, 문학동네, 1996, 428-446쪽.

30.

윤건차, 장화경 역, 『현대 한국의 사상흐름』, 당대, 2000.

31.

미셸 짐발리스트 로잘도·루이스 램피어 엮음, 권숙인·김현미 역, 『여성·문화·사회』, 한길사, 2008.

32.

장 프랑수아 리오타르, 유정완 역, 『포스트모던의 조건』, 민음사, 2018.

33.

프리드리히 키틀러, 유현주·김남시 역, 『축음기, 영화, 타자기』, 문학과지성사, 2019.

34.

찬드라 탈파드 모한티, 문현아 역, 『경계 없는 페미니즘』, 여이연, 2005.

35.

김은하, 1980년대, 바리케이트 뒤편의 성(性) 전쟁과 여성해방문학 운동」, 『상허학보』 제51집, 상허학회, 2017.10, 15-49쪽.

36.

나종석, 「90년대 한국에서의 포스트모더니즘의 수용사 연구—학제적 주제의 사회인문학적 탐색 시도」, 『철학연구』 제120집, 대한철학회, 2011, 83-108쪽.

37.

서영인, 「1990년대 문학지형과 여성문학 담론」, 『대중서사연구』 제24권 2호, 대중서사학회, 2018, 9-40쪽.

38.

이명원, 「문학의 탈정치화와 포스트 담론의 파장—민주화 이후 한국문학의 전개와 쇠락」, 『민족문화연구』 제57호,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2, 121-151쪽.

39.

이선옥, 「1980년대 여성운동 잡지와 문학논쟁의 의미—『또 하나의 문화』, 『여성』을 중심으로」, 『여성문학연구』 제43호, 한국여성문학학회, 2018, 7-36쪽.

40.

이혜령, 「빛나는 성좌들—1980년대, 여성해방문학의 탄생」, 『상허학보』 제47집, 상허학회, 2016.6, 409-454쪽.

41.

조연정, 「『문학동네』와 ‘386세대’의 한국 문학」, 『한국문화』 제81호,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2018, 221-246쪽.

42.

조연정, 「‘문학주의’ 시대의 ‘포스트모더니즘’」, 『대중서사연구』 제48호, 대중서사학회, 2018.11, 329-374쪽.

43.

진태원, 「‘포스트’ 담론의 유령들—애도의 애도를 위하여」, 『민족문화연구』 제57호,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2, 5-55쪽.

44.

허 윤, 「1990년대 페미니스트 여성 대중의 등장과 잡지 『페미니스트저널 if』의정치학」, 『상허학보』 제53호, 상허학회, 2018.6, 85-117쪽.

45.

고명섭, 「책을 만드는 사람들 30—또 하나의 문화」, 『한겨레』, 2000.10.8.

46.

장정일 인터뷰, 『경향신문』, 2016.9.11.

47.

장정일, 「개인기록」, 『문학동네』 제18호, 문학동네, 1999년 봄, 1-13쪽.

48.

황종연, 「『늪을 건너는 법』 혹은 포스트모던 로만스–소설의 탄생—한국문학의 1990년대를 보는 한 관점」, 『문학동네』 제89호, 문학동네, 2016년 겨울, 445-492쪽.

49.

「21세기를 먼저 시작한 ‘또 하나의 문화’」, 『여성신문』, 2005.5.12.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