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 KOREAN
  • P-ISSN1229-4632
  • E-ISSN2733-5925
  • KCI

The Formation of Women’s literary World in 1970s and Ordinary Women’s Assertion of Literary Citizenship —Centered On Park Wan-seo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20, v.0 no.50, pp.320-376
https://doi.org/10.15686/fkl.2020..50.320
Kyunghee Han

Abstract

This paper examines the process of forming a self-consciousness as a woman writer and building a network with women writers with in the 1970s, after Park Wan-seo started her career as Namok was published by Women’s Dong-A. In the 1950-60s, ‘YeoRyu(女 流)’ based on two magazines, Modern Literature(現代文學) and YeoWon(女園) led th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women’s literature. However, when many new magazines came out after the mid and late 1960s, new generation of women’s literature emerged who could work outside ‘YeoRyu(女流).’ In addition, as women’s literary activities became popular among urban middle-class women, ‘YeoRyu(女流)’s Habitus called ‘college graduated women reporter’ gradually collapsed. Park Wan-seo who emerged when the restructuring the Women’s Literary world shows what new women writer’s Habitus was established. As the short story “A Going Out”(1971) shows, Park Wan-seo wanted to be recognized as a ‘normal woman’ and distinguished from ‘special’ women, This is very different from ‘YeoRyu(女流)’ who wanted to be distinguished from ‘normal women.’ However, in the 1970s, new women writers especially who came from marginal magazines like women’s magazine were not possible to perform actively. New women writers entered the literary world without any social capitals to mobilize, so they disappeared immediately after they published their first work. On the other hand, ‘YeoRyu(女流)’ who had a solid magazine basis were more active than new women writers. Park Wan-seo was one of the few new women writers who were able to survive in the 1970s. She could be in the dominant position in literary world at the end but she continued to assert literary citizenship within the literary world with some women writers who had the same Habitus with her. This is why she organized the “Women Dong-A’s Literary Friends.”

keywords
1970년대, 여성문학, 박완서, 여류, 현대문학, 매체, 아비투스, 여성동아 문우회, 어떤 나들이, 세대, 1970s, Women’s literature, Park Wan-seo, Women Writers, HyunDaeMunHak, media, habitus, generation, Women DongA’s Literary Friends, A Going Out

Reference

1.

고정희, 「70년대 여성 작가의 현주소」, 『소설문학』, 1983.4, 108-114쪽.

2.

구명숙·김진희·송경란 편저, 『한국 여성작가 작품목록』, 역락, 2013, 1-455쪽.

3.

권영민, 『한국현대문학작품연표』 1, 서울대학교출판부, 2007, 1-1118쪽.

4.

권영민, 『한국현대문학작품연표』 2, 서울대학교출판부, 2007, 1-1176쪽.

5.

김영희, 「그 빛과 音響밖」, 『현대문학』, 1966.12, 102-120쪽.

6.

박기원, 「女子만이 알고 있다(39)」, 『경향신문』, 1965.2.13, 6쪽.

7.

박완서, 「코 고는 소리를 들으며」, 『샘터』, 1971.2, 80-81쪽.

8.

박완서, 「어떤 나들이」, 『월간문학』, 1971.9, 58-71쪽.

9.

박완서, 「특집 등단전후」, 『여성동아』, 1974.11, 144-147쪽.

10.

박완서, 「나목 근처 그 정직한 여인들」, 『문학사상』, 1976.9, 299-303쪽.

11.

박완서, 「작가의 슬픔」, 『주부생활』, 1978.12, 144-147쪽.

12.

박완서, 「정다운 ‘독설가’」, 『안녕하십니까』 제112호, 한일약품공업, 1987.12, 48-51쪽.

13.

박완서, 「그 집 앞을 지날 때마다」, 임옥인 외, 「나와 『현대문학』」, 『현대문학』, 1988.4, 52-53쪽.

14.

박완서, 「부디 편히 자유의 나라로 드소서」, 『현대문학』, 2003.4, 245-249쪽.

15.

박완서, 『세상에 예쁜 것』, 마음산책, 2012, 40-42쪽.

16.

박완서 외, 「하면 되더라 一九七○年」, 『여성동아』, 1970.12, 170-174쪽.

17.

박완서·이순, 「생활 속의 단단한 시작」, 『문예중앙』, 1980.2, 50-54쪽.

18.

손소희·강신재·한말숙·박완서, 「女流作家의 어제와 오늘」, 『현대문학』, 1982.7, 370-382쪽.

19.

“여성문학” 편집위원회, 『여성문학』, 전예원, 1984, 6-8쪽.

20.

여성동아문우회, 『분노의 메아리』, 전예원, 1987, 1-376쪽.

21.

여성동아문우회, 『불의 터널』, 전예원, 1988, 1-365쪽.

22.

여성동아문우회, 『여덟개의 모자로 남은 당신』,정민, 1991, 1-319쪽.

23.

여성동아문우회, 『예감』, 정민, 1997, 1-320쪽.

24.

여성동아문우회, 『13월의 사랑』, 예감, 1997, 1-314쪽.

25.

여성동아문우회, 『진실 혹은 두려움』, 동아일보사, 2001, 1-439쪽.

26.

여성동아문우회, 『촛불 밝힌 식탁』, 동아일보사, 2005, 1-292쪽.

27.

여성동아문우회, 『피크닉』, 동아일보사, 2007, 1-302쪽.

28.

여성동아문우회, 『나의 박완서, 우리의 박완서』, 문학동네, 2011, 1-247쪽.

29.

여성동아문우회, 『오후의 빛깔』, 위즈덤 하우스, 2012, 1-282쪽.

30.

여성동아문우회, 『저물녘의 황홀』, 문학세계사, 2015, 1-325쪽.

31.

한국문화예술위원회(채록 연구자 조윤아), 「한말숙 구술채록문 제1차 어린 시절과 학창 시절(2005)」, 한국예술디지털아카이브, 2005, 19-58쪽.

32.

한국문화예술위원회(채록 연구자 조윤아), 「한말숙 구술채록문 제2차 전쟁 체험과 문단 데뷔 시절(2005)」, 한국예술디지털아카이브, 2005, 59-101쪽.

33.

한국문화예술위원회(채록 연구자 장미영), 「박완서 구술채록 제4차 문단 데뷔 후 창작과정과 문단활동(2008)」, 『한국 근현대예술사 구술채록연구 시리즈 108, 박완서』, 한국문화예술위원회, 2008, 135-179쪽.

34.

한국문화예술위원회, 『문예연감 1976년도판』, 한국문화예술진흥원, 1977, 193-220쪽.

35.

한국문화예술위원회, 『문예연감 1977년도판』, 한국문화예술진흥원, 1978, 175-205쪽.

36.

한국문화예술위원회, 『문예연감 1978년도판』, 한국문화예술진흥원, 1979, 155-170쪽, 348쪽.

37.

한국문화예술위원회, 『문예연감 1979년도판』, 한국문화예술진흥원, 1980, 120-133쪽.

38.

김양선, 『한국 근·현대 여성문학 장의 형성: 문학제도와 양식』, 소명, 2012, 129-279쪽.

39.

박정애, 『‘女流’의 기원과 정체성』, 한국학술정보, 2006, 23-190쪽.

40.

조은주, 『가족과 통치』, 창비, 2018, 245-247쪽.

41.

현택수·정선기·이상호·홍성민, 『문화와 권력』, 나남, 1998, 92쪽.

42.

홍성민, 『피에르 부르디외와 한국사회』, 살림, 2004, 61쪽.

43.

피에르 부르디외, 하태환 역, 『예술의 규칙』, 동문선, 1999, 103쪽.

44.

스튜어트 홀, 임영호 편역, 『문화, 이데올로기, 정체성』, 컬쳐룩, 2015, 227-228쪽.

45.

아이리스 매리언 영, 김도균·조국 역, 『차이의 정치와 정의』, 모티브북, 2017, 72쪽.

46.

김복순, 「만보객의 계보와 젠더의 미학적 구축」, 『현대문학의 연구』 제33호, 한국문학연구학회, 2007, 63-110쪽.

47.

김성환, 「1960-70년대 계간지의 형성과정과 특성 연구」, 『한국현대문학연구』 제30호, 한국현대문학회, 2010, 405-441쪽.

48.

김옥희, 「한국 현대소설에 나타난 여성의 자각의식 고찰 : 1970년대 소설을 중심으로」, 이화여대 석사학위논문, 1979, 1-111쪽.

49.

김은석, 「‘여류문학전집’(1967-1979)과 여성문학의 젠더 정치」,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9, 1-189쪽.

50.

김혜정, 「박완서 단편소설의 사회의식 연구」, 경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1-61쪽.

51.

명혜영, 「주부의 연극적 자아와 갈등」, 『일본어문학』 제53호, 일본어문학회, 2011, 261-284쪽.

52.

윤금선, 「근현대 여성 독서 연구」, 『국어교육연구』 제45호, 국어교육학회, 2009, 149-194쪽.

53.

윤택림, 「분단과 여성의 다중적, 근대적 정체성: 1930년대 초 출생한 두 실향민 여성의 구술 생애사를 중심으로」, 『한국여성학』 제29권 1호, 한국여성학회, 2013, 127-162쪽.

54.

이봉범, 「1960년대 등단제도 연구」, 『상허학보』 제41호, 상허학회, 2014, 415-466쪽.

55.

이봉범, 「1960년대 등단제도의 문단적·문학적 의의와 영향」, 『반교어문연구』 제37호, 반교어문학회, 2014, 325-370쪽.

56.

정은비, 「박완서 단편소설에 나타난 여성성 연구」, 한국교원대 석사학위논문, 2011, 1-75쪽.

57.

한경희, 「1960년대 근대화와 ‘보통’ 여성의 문학 행위 – 박완서의 『나목』 창작 및 등단 과정을 중심으로」, 『현대소설연구』 제78호, 한국현대소설학회, 2020, 365-411쪽.

58.

이호철, 「女子가 모르는 男子의 고독」, 『여성동아』, 1967.12, 173쪽.

59.

「50만원 稿料 第三回女流長篇小說當選作發表」, 『여성동아』, 1970.11, 112-117쪽.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