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Feminist SF’s Imagination for ‘Disabled Body’ — On Kim Bo-young’s novels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21, v.0 no.52, pp.10-35
https://doi.org/10.15686/fkl.2021..52.10
Heo Yoon
  • Downloaded
  • Viewed

Abstract

로봇이나 인조인간은 인간을 노동으로부터 해방시켜줄 것이라고 기대되었다. 노동은 시민의 의무임과 동시에 시민권을 획득하는 주요 통로였으며, 일할 수 있는 몸을 가진 노동자는 시민권을 행사할 수 있는 자로, ‘일할 수 없는 몸’으로 명명된 장애인–퀴어–여성은 시민권을 획득할 수 없는 자로 나뉘었다. 과학기술의 발전이 신체의 한계를 극복하고 비장애중심주의를 개선시킬 것이라는 기대는, 트랜스휴머니즘 논의에서 보듯 불가능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장애에 대한 판정은 실제로 일할 수 있는지 여부가 아니라 사회적인 것으로 구성되기 때문이다. 김보영의 소설은 이러한 비장애중심주의를 전유하여 능력주의를 규범으로 삼은 사회를 재현한다. 그는 장애–비장애, 여성–남성, 퀴어–이성애자 등의 이분법적 질서를 해체하고, 한국 사회가 상정한 진보의 선형적 시간관을 비틀어낸다. 로봇은 인간을 만들어내고, AI는 이러한 역진화의 상상력은 ‘일할 수 없는 몸’으로 배제된 존재들을 규정하는 통치성을 패러디한다. 근대성을 넘어선 곳에 포스트휴먼의 상상력이 있다면, 김보영이 재현하는 포스트휴먼은 인간성을 탈신화화하는 움직임이 되는 것이다.

keywords
disability, ablism, posthumanism, Kim Bo-young, SF novels, 장애, 비장애중심주의, 포스트휴먼, 김보영, SF 소설

Reference

1.

김보영, 『멀리 가는 이야기』, 행복한 책읽기, 2010.

2.

김보영, 『진화신화』, 행복한책읽기, 2010.

3.

김보영, 『천국보다 성스러운』, 알마, 2019.

4.

김보영, 『얼마나 닮았는가』, 아작, 2020.

5.

김보영 외, 『아직 우리에겐 시간이 있으니까』, 한겨레출판, 2017.

6.

김도현, 『장애학의 도전』, 그린비, 2020, 59-77쪽.

7.

성과재생산포럼, 『배틀그라운드』, 후마니타스, 2018, 215-242쪽.

8.

장애여성공감, 『시설사회』, 와온, 2020, 221-227쪽.

9.

로즈메리 갈런드 톰슨, 손홍일 역, 『보통이 아닌 몸』, 그린비, 2015, 84-91쪽.

10.

로지 브라이도티, 이경란 역, 『포스트휴먼』, 아카넷, 2015, 8-74쪽.

11.

셸리 트레마인, 박정수 역, 『푸코와 장애의 통치』, 그린비, 2020, 21-37쪽.

12.

캐서린 헤일스, 허진 역, 『우리는 어떻게 포스트휴먼이 되었나』, 열린책들, 2013, 25쪽.

13.

킴 닐슨, 김승섭 역, 『장애의 역사』, 동아시아, 2020, 114-157쪽.

14.

헤르만 R. 판 휜스테런, 장진범 역, 『시민권의 이론』, 그린비, 2020, 187-199쪽.

15.

강은교, 김은주, 「한국SF와 페미니즘의 동시대적 조우: 김보영의 「얼마나 닮았는가」와 듀나의 「두번째 유모」를 중심으로」, 『여성문학연구』 제49호, 한국여성문학학회, 2020, 36-62쪽.

16.

김미현, 「포스트휴먼으로서의 여성과 테크노페미니즘—윤이형과 김초엽 소설을 중심으로」, 『여성문학연구』 제49호, 한국여성문학학회, 2020, 10-35쪽.

17.

노대원, 「한국 포스트휴먼 SF의 인간 향상과 취약성」,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제 86집,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 2020, 151-174쪽.

18.

노대원,「포스트휴머니즘 비평과 SF」, 『비평문학』 제68호, 한국비평문학회, 2018, 110-133쪽.

19.

연남경, 「여성 SF의 시공간과 포스트휴먼적 전망」, 『현대소설연구』 제79호, 한국현대소설학회, 2020, 105-139쪽.

20.

우미영, 「한국 현대소설의 ‘과학’과 철학적, 소설적 질문」, 『외국문학연구』 제55호,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4, 121-142쪽.

21.

이양숙, 「한국소설의 비인간 전환과 탈인간중심주의」, 『한국문학과 예술』 제34호, 숭실대학교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20, 227-259쪽.

22.

서승희, 「포스트휴먼 시대의 여성, 과학, 서사: 한국 여성 사이언스 픽션의 포스트휴먼 표상 분석」, 『현대문학이론연구』 제77호, 2019, 130-153쪽.

23.

한민주, 「인조인간의 출현과 근대 SF문학의 테크노크라시」, 『한국근대문학연구』 제25호, 한국근대문학회, 2012, 417-449쪽.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