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초국적 서비스로서 걸 그룹 노동과 여성서사—소설 「소녀 연예인 이보나」와 『라스트 러브』를 경유하여

Transnational services, ‘girl group’ labor and women’s narrative —Through the novels Girl Celebrity Ivona and Last Love

여성문학연구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21, v.0 no.52, pp.36-61
https://doi.org/10.15686/fkl.2021..52.36
류진희 (건국대학교)

Abstract

지난 30여 년간 신자유주의 전개와 금융위기의 극복에서 초국적 한류 산업이 ‘굴뚝없는 공장’으로 성황이었다. 88만원 세대, 3,5,7포 세대, 흙수저, 헬조선의 시대에 자본 없는 청춘들이 그나마 몇 남지 않은 자수성가 가능한 직업으로 연예인을 선택하고자 했다. 그리고 2021년, 방탄소년단은 BTS가 되어 빌보드, 그래미를 석권하며 한국을 대표하는 동시에 세계에서 각광받는 아이돌이 되었다. 그들의 글로벌 팬덤인 아미가 그렇듯, 여기에는 남성 스타와 여성 팬이라는 상징적 분할이 여전하다. 그러나 한 동안 정체기에 있었던 K–pop을 드라마 중심으로 진전되던 한류와 연결될 수 있게 한 것은 걸 그룹이었다. 2008년 무렵 소녀시대가 중국, 카라가 일본, 그리고 원더걸즈가 미국 등 해외에서 두각을 나타냈다. 그럼에도 이들 여성 연예인들에 대한 논의들은 한국 대중문화의 초국적 진전과 상관없이, 이들 여성 멤버들이 수행하는 서비스 노동의 성격에 대한 언급없이 이뤄졌다. 그렇기에 먼저 이 글은 역사적 결절마다 초국적 서비스 노동을 수행하는 걸 그룹의 계보를 다뤘다. 그 과정에서 최근 여성서사에 대한 촉구로 여성 연예인과 걸 그룹이 유력한행위자로 핵심적으로 다뤄진 두 소설에 주목한다. 바로 2019,20년에 나란히 단행본으로 출간된 조우리의 장편소설 『라스트 러브』와 한정현의 단편소설 「소녀연예인 이보나」이다. 이 이야기들은 서비스 노동을 수행하는 걸 그룹과 그 초국적 연원으로서 여성 연예인들을 내세웠다. 그러나 이 글은 이 두 작품 모두 여성들이 수행해온 초국적, 혹은 서비스 노동을 말하면서도 섹슈얼리티적인 측면을소거하는 선택을 하고 있음도 더불어 지적했다.

keywords
transnational, services, girl group, women’s narrative, Girl Celebrity Ivona, Last Love, 초국적, 서비스, 걸 그룹, 여성서사, 「소녀 연예인 이보나」, 「라스트 러브」

참고문헌

1.

김세희, 『항구의 사랑』, 민음사, 2019, 9-168쪽.

2.

박민정, 「세실, 주희」, 『바비의 분위기』, 문학과지성사, 2020, 41-74쪽.

3.

조남주, 『82년생 김지영』, 민음사, 2016, 9-190쪽.

4.

조우리, 『라스트 러브』, 창비, 2019, 7-179쪽.

5.

한정현, 「소녀 연예인 이보나」, 『소녀 연예인 이보나』, 민음사, 2020, 45-83쪽.

6.

『경향신문』, 『동아일보』, 『매일경제』, 『조선일보』 등의 관련 신문기사.

7.

김대현, 「워커힐의 ‘디바’에게 무대란 어떤 곳이었을까」, 『원본 없는 판타지』, 후마니타스, 2020, 132-167쪽.

8.

김주희, 「발전과 젠더, 환대의 성별정치—1988년 서울올림픽 피켓걸에서 버닝썬게이트까지」, 『페미니스트 타임워프』, 반비, 2019, 9-36쪽.

9.

류진희, 「걸 그룹 전성시대와 ‘K–엔터테인먼트’」, 『소녀들』, 여이연, 2017, 79-104쪽.

10.

배묘정, 『정치의 가극화, 가극의 정치화—소녀가극이 재현한 제국 통합의 이데올로기』, 소나무, 2019, 57-69쪽.

11.

배범수, 『한류의 패러다음 전환을 위한 신한류 확산 전략 연구』, 한국콘텐츠진흥원, 2019, 43-62쪽.

12.

심재겸, 「환상적인 김시스터즈」, 『동아시아 냉전의 문화』, 소명, 2017, 379-416쪽.

13.

아이돌로지 편집부, 『아이돌 연감 2015』, 아이돌로지, 2016, 178-189쪽.

14.

이용우, 「아시아의 디바와 근대성의 목소리들」, 『귀신 간첩 할니: 근대에 맞서는 근대』, 현실문화, 2014, 153-166쪽.

15.

이혜진, 『제국의 아이돌』, 책과함께, 2020, 17-62쪽.

16.

채지영, 『한류 20년, 성과와 미래전략(기초연구 2020-6)』,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20.12, 11-21쪽.

17.

최규성, 『걸 그룹의 조상들—대중이 욕망하는 것들에 관한 흥미로운 보고서』, 안나푸르나, 2018, 11-60쪽.

18.

최지선, 『여신은 칭찬일까?—여성 아이돌을 둘러싼 몇 가지 질문』, 산디, 2021,97-119쪽.

19.

이진경, 나병철 역, 『서비스 이코노미—한국의 군사주의, 성 노동, 이주 노동』, 소명출판, 2015, 33-89쪽.

20.

강은교, 「케이팝 아이돌의 자필 사과문: 손글씨의 진정성과 팬덤의 소비자 정체성」, 『여성문학연구』 제51호, 한국여성문학연구, 2020, 36-71쪽.

21.

고윤경, 「여성 아이돌을 향한 여성 팬 응시의 역동—소녀시대 여성 동성성애 팬픽을 중심으로」, 『여성문학연구』 제50호, 한국여성문학학회, 2020, 49-78쪽.

22.

권김현영, 「이름을 기억할 것, 사랑할 것, 그리고 낙관할 것—『소녀 연예인 이보나』」, 『웹진 채널예스』, 2020.12.11.; http://ch.yes24.com/article/view/43563(웹진 채널 예스, 검색일: 2021년 4월 17일)

23.

김수아, 「소비자–팬덤과 팬덤의 문화정치」, 『여성문학연구』 제50호, 한국여성문학학회, 2020, 10-48쪽.

24.

김신현경, 「기획사 중심 연예 산업의 젠더/섹슈얼리티 정치학」, 『한국여성학』 제30권 2호, 한국여성학회, 2014, 53-88쪽.

25.

듀나, 「케이팝 무대에 서는 여자들과 그 환영에게 보내는 러브레터」, 『북 DB』, 인터파크 도서, 2019.11.6.; http://news.bookdb.co.kr/bdb/Column.do?_method=ColumnDetail&sc.webzNo=38030(인터파크 도서 북DB, 검색일:2021년 4월 17일)

26.

류진희, 「젠더화된 메타서사로서 한류,혹은 K –엔터테인먼트 비판—여성 팬, 걸그룹, 그리고 여성 청년을 중심으로」, 『대중서사연구』 제54호, 대중서사학회, 2020, 9-37쪽.

27.

백현미, 「소녀 연예인과 소녀가극 취미」, 『한극예술연구』 제35집, 한국극예술학회, 2012.3, 81-124쪽.

28.

선우은실, 「해석적 판단과 직접 확인, 자기와의 대결—한정현, 『줄리아나 도쿄』(스위밍꿀, 2019)」, 『문학과사회』 제32호, 문학과지성사, 2019.1, 258-263쪽.

29.

양순주, 「횡단하는 자들의 흔적—한정현, 『줄리아나 도쿄』(스위밍꿀, 2019)」,『오늘의 문예비평』, 오문비, 2020.1, 231-236쪽.

30.

윤선희, 「신 한류 수용의 문화적 맥락과 여성적 정체성에 대한 문화 연구」, 『한국방송학보』 제26권 제2호, 한국방송학회, 2012, 46-86쪽.

31.

장유정, 「행과 불행으로 보는 가수 이난영의 삶과 노래」, 『한국고전영성문학연구』 제33집,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16, 133-160쪽.

32.

정윤수, 「걸그룹을 둘러싼 모험: 위험사회에서 살아남기」, 『대중음악』 제8호, 한국대중음악학회, 2011, 99-125쪽.

33.

최유준, 「이난영의 눈물」, 『한국인물사연구』 제29호, 한구인물사연구회, 2013, 335-364쪽.

34.

허윤, 「그 여름, 사랑하는 너에게: 김세희, 『항구의 사랑』(민음사, 2019)」, 『문학과 사회』 통권 제128호, 문학과지성사, 2019.11, 353-359쪽.

여성문학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