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A Study on 〈Byeongangsoe-ga〉 from the Perspective of Abject Art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21, v.0 no.52, pp.121-145
https://doi.org/10.15686/fkl.2021..52.121
Jung Inhyouk
  • Downloaded
  • Viewed

Abstract

〈변강쇠가〉에 관한 연구 중 성 담론, 특히 여성의 성과 관련한 논의를 정리하면, 음욕에 대한 징계로 해석하거나, 반대로 가부장제에 의해 희생되는 여성성을 드러내어 사회적 억압을 폭로하는 것으로 해석하는 경우, 그리고 성적 유희의 한 양상으로 바라보았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전체적인 맥락에서 보면 〈변강쇠가〉를 지배하고 있는 정조는 죽음과관련된다는 점에서 〈변강쇠가〉의 성 담론은 너와 나 사이의 담을 없애고 세상과소통하는 바흐친의 축제적 구조가 환기하는 성과는 사뭇 다르다. 도리어 매력적인 생명의 탄생 과정이면서 동시에 죽음을 환기하는 아브젝트로서의 성에 더 가깝다. 아브젝트 예술은 바로 그러한 아브젝트와 아브젝시옹을 통해 성, 특히 여성성에 대한 가부장제의 문제를 제기하는 예술이다. 조 스펜스의 〈정물〉은 닭고기, 야채, 과일 등과 더불어 가격이 매겨진 여성의 인공 유방을 함께 두어 여성을 식욕의 대상으로 비하하고 있다. 이는 〈변강쇠가〉의 ‘기물타령’과 동질성을 보인다. ‘기물타령’에서 역시 여성의 성기는 전경화되면서 각종 음식물로 비유되고있기 때문이다. 더욱이 그렇게 나열된 음식을 통해 환기되는 것이 죽음과 관련된제사상이라는 점은 〈변강쇠가〉의 ‘기물타령’, 나아가 〈변강쇠가〉를 아브젝트 예술로서 바라볼 수 있게 한다. 본고의 목적은 〈변강쇠가〉의 ‘기물타령’과 옹녀의 사라짐이라는 문제를 아브젝트 예술의 관점에서 살피는 것이다. 여기에는 여성의 신체에 대한 파편화와재구성, 그리고 그것에 대한 응시를 통해 ‘보여지는 주체’의 문제와 탈맥락화가있다.

keywords
〈Byeongangsoe-ga〉, Song of Genitals, Abject art, abject, abjection, the fragmentation and reconstruction of women’s bodies, decontextualization, 〈변강쇠가〉, ‘기물타령’, 아브젝트 예술, 아브젝트, 아브젝시옹, 여성신체의 파편화와 재구성, 탈맥락화

Reference

1.

강한영 교주, 『신재효(申在孝, 1812~1884) 판소리사설集(全)』, 민중서관, 1971, 533-619쪽.

2.

김종철, 『판소리의 정서와 미학』, 역사비평사, 1996, 51쪽.

3.

김현주, 『고전문학과 전통회회의 상동구조』, 보고사, 2007, 110쪽.

4.

정윤희, 『젠더, 몸, 미술: 여성주의 미술로 몸 바라보기』, 알렙, 2014, 58쪽.

5.

마단 사럽, 김해수 역, 『알기쉬운 자끄 라깡』, 백의, 1996, 65-67쪽.

6.

엘리자베스 라이트, 박찬부 외 역, 『페미니즘과 정신분석학 사전』, 한신문화사, 1997, 312쪽.

7.

핼 포스터, 최연희 외 역, 『실재의 귀환』, 경성대학교출판부, 1996, 132쪽.

8.

Arya, Rina and Nicholas Chare, Abject Vision: Powers of Horror in Art and Visual Culture, Manchester Scholarship Online: January 2017, pp.1-13.

9.

김미경희·민윤숙, 「알레고리로 읽는 ‘탐욕과 수신’의 〈변강쇠가〉」, 『실천민속학연구』 제33호, 실천민속학회, 2019, 119-153쪽.

10.

김승호, 「변강쇠가에 나타난 反 烈女담론 성향—治喪화소를 중시으로」, 『국어국문학』 제152호, 국어국문학회, 2009, 277-306쪽.

11.

박일용, 「변강쇠가의 사회적 성격」, 『고전문학연구』 제6집, 한국고전문학연구회, 1991, 170-200쪽.

12.

박종현, 「아브젝트와 신체 이미지—신디 셔먼의 사진을 중심으로」, 『기초조형학연구』 제10권 4호, 2009, 115-122쪽.

13.

서유석, 「공포와 혐오, 환대의 가능성으로 읽어보는 유랑민 서사: 〈변강쇠가〉를 중심으로」, 『우리문학연구』 제60호, 우리문학회, 2018, 7-31쪽.

14.

서종문, 「변강쇠가」, 『한국고전소설작품론』, 1995, 581-588쪽.

15.

신은화, 「혐오와 지배」, 『哲學硏究』 제143호, 대한철학회, 2017, 189-214쪽.

16.

이문성, 「性描寫의 傳統 속에서 본 〈변강쇠가〉의 ‘기물타령’」, 『한국학연구』 제22호,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05, 121-138쪽.

17.

이정원, 「변강쇠가의 성 담론 양상의 의미」, 『한국고전연구』 제23호, 한국고전연구학회, 2011, 101-132쪽.

18.

임수현, 「변강쇠가의 서사 구조 고찰」, 『한국고전연구』 제5호, 한국고전연구학회, 1999, 61-79쪽.

19.

정수경, 「혐오 미술의 미학적 이해: 신디 셔먼의 후기 작품을 중심으로」, 『미학예술학 연구』 제27권, 한국미학예술하괴, 2008, 125-158쪽.

20.

정윤희, 「‘아브젝트’와 해체·구성된 여성의 몸—한스 벨머와 신디 셔먼의 작품에 나타난 여성성과 그 재현의 문제」, 『헤세연구』 제19집, 한국헤세학회, 2008, 295-319쪽.

21.

정윤희, 「자기 결정적 삶에 대한 소망과 ‘자해’의 의미: 빌리 엑스포르트의 70년대 영화와 퍼포먼스를 중심으로」, 『브레히트와 현대연극』 제20권, 한국브레히트학회, 2009, 349-375쪽.

22.

정인혁, 「〈변강쇠가〉의 구조 연구」, 서강대학교 석사논문, 1999, 1-71쪽.

23.

정출헌, 「천하의 ‘잡년’ 옹녀, 그녀의 기구한 인생역정」, 『문학과경계』 제2호, 문학과경계·마음과경계, 2002, 313-322쪽.

24.

정하영, 「변강쇠가의 성 담론의 기능과 의미」, 『고소설연구』 제19호, 고소설학회, 2005, 167-198쪽.

25.

최혜진, 「변강쇠가」의 여성중심적 성격, 『한국민속학』 제30호, 한국민속학회, 1998, 387-412쪽.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