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Schizophrenia of Patriarchy Nationalism and Potential of Writing Women’s Life History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21, v.0 no.52, pp.177-201
https://doi.org/10.15686/fkl.2021..52.177
LEE JIEUN
  • Downloaded
  • Viewed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how the patriarchy nationalism excludes beings with non-pure blood in 「Red Clay」 written by Jo Jeongrae, and to verify the subversive potential of writing conducted by women who remember the impure history of the national- state. In 「Red Clay」, Taesu, the eldest son who is ‘non-visible’ mixed blood, argue for pure-blood, without konwing his identity, while Dongik, the lastborn son who is ‘visible’ mixed blood, is excluded from the Korean society, due to his visually prominent. They differently experience alienation, depending on physically ‘hidden/revealed’ marks. In particular, Taesu whose own history is removed abuses his younger brother. Such an attitude is problematic, in that it is similar to the mechanism reproducing the pure-blood ideology of nation state which has endlessly excluded others, obliterating their own impure history in which they were mixed with foreign nations. Jeomrye’s writing her life history in the end of 「Red Clay」 can have a subversive potential, in that it discloses the impure lineage of the patriarchy national state.

keywords
mixed blood, mixed race, pure-blood, people (nation), nation, nation-building, patriarchy nationalism, women’s life history, 혼혈, 혼종, 순혈주의, 국민, 민족, 국민 형성, 가부장제 민족주의, 여성 생애사 쓰기

Reference

1.

『경향신문』,

2.

『동아일보』,

3.

『조선일보』

4.

엄흥섭, 「歸還日記」, 『우리문학』 제1호, 우리문학사, 1946.1., 2-19쪽.

5.

윤정모, 「에미 이름은 조센삐였다」, 『에미 이름은 조센삐였다』, 인문당, 1982, 7-101쪽.

6.

조정래, 「黃土」, 『黃土』, 현대문학사, 1974, 11-112쪽.

7.

김수용, 「黃土」, 동아흥행주식회사, 1975.

8.

염운옥, 『낙인찍힌 몸』, 돌베개, 2019, 1-448쪽.

9.

강정구·김종회, 「해방기 소설의 민족주의 과잉 양상 고찰」, 『어문학』 제123호, 한국어문학회, 2014, 243-266쪽.

10.

具仲書, 「주인 바뀌는 時代의 悲劇 추적」, 『韓國文學大全集』 31, 太極出版社, 1979, 605-607쪽.

11.

권명아, 「여성 수난사 이야기, 민족국가 만들기와 여성성의 동원」, 『여성문학연구』 제7호, 한국여성문학학회, 2002, 105-134쪽.

12.

김수자, 「대한민국 정부수립 전후 국적법 제정 논의 과정에 나타난 ‘국민’ 경계설정」, 『한국근현대사연구』 제49집, 한국근현대사학회, 2009, 114-144쪽.

13.

김아람, 「1950~1960년대 전반 한국의 혼혈인 문제—입양과 교육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1-73쪽.

14.

박정미, 「혈통에서 문화로? 가족, 국적, 그리고 성원권의 젠더 정치」, 『한국사회학』 제54집 4호, 한국사회학회, 2020, 83-119쪽.

15.

박정형, 「인종적 ‘타자’로서의 혼혈인 만들기」,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1-83쪽.

16.

변화영, 「분단극복문학에 나타난 혼혈인 연구—조정래의 「황토」와 「미운 오리새끼」를 중심으로」,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제18집 3호, 원광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7, 355-377쪽.

17.

설동훈, 「혼혈인의 사회학: 한국인의 위계적 민족성」, 『人文硏究』 제52권,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7, 127-164쪽.

18.

송명진, 「혼혈의 서사화 양상에 대한 사적 고찰」, 『한국언어문화학』 제7권 2호,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010, 71-90쪽.

19.

李東夏, 「우람한 종합을 향한 전진」, 『黃土』, 동아, 1989, 374-379쪽.

20.

이지은, 「민족주의적 ‘위안부’담론의 구성과 작동 방식—윤정모 「에미이름은 조센삐였다」의 최초 판본과 개작 양상을 중심으로」, 『여성문학연구』 제47호, 한국여성문학학회, 2019, 379-409쪽.

21.

이혜령, 「인종과 젠더, 그리고 민족 동일성의 역학」, 『현대소설연구』 제18호, 한국현대소설학회, 2003, 197-218쪽.

22.

임규찬, 「역사의 비극과 삶의 뒤틀림—중편 〈비탈진 음지〉·〈황토〉의 세계」, 『비탈진 음지』, 해냄, 1999, 313-326쪽.

23.

장수희, 「일본군 ‘위안부’ 문제의 문화적 재현」, 『문학들』 제48호, 심미안, 2017.5, 26-43쪽.

24.

鄭印燮, 「우리 國籍法上 最初 國民 確定基準에 관한 검토」, 『國際法學會論叢』 제43권 2호, 대한국제법학회, 1988, 235-248쪽.

25.

千二斗, 「執念의 文學」, 『趙廷來』, 汎韓出版社, 1984, 466-473쪽.

26.

최강민, 「단일민족의 신화와 혼혈인」, 『어문론집』 제35집, 중앙어문학회, 2006, 287-314쪽.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